View : 1353 Download: 0

The Metropolitan Body in the Rise of the Early English Novel

Title
The Metropolitan Body in the Rise of the Early English Novel
Other Titles
초기 영국 소설에 나타난 대도시와 몸
Authors
류혜원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주리
Abstract
본 논문은 런던을 주요 배경으로 대도시적 몸을 그리고 있는 네 편의18세기 영국 소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도시적 몸이라는 개념은 물리적으로 구성된 육체적인 몸뿐만 아니라, 그 몸이 위치한 도시라는 공간과 그 공간을 규제하는 훈육의 담론이 구성하는 몸을 지시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런던이라는 도시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몸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며, 이러한 재현의 방식은 몸에 대한 당대의 논의를 반영하고 재생산 한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는 몸의 담론적 구성에 참여하게 된다. 런던을 배경으로,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물들의 몸이 18세기 영국 소설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구성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이는 질서정연한 근대적 대도시의 등장을 공간의 재배치, 몸의 훈육, 소설의 발생이라는 세 축을 바탕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훈육의 체계에 대한 푸코의 분석틀과 일상의 경험에 대한 철학 비평을 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소설이 몸과 도시 공간에 대한 훈육의 담론을 생성한다고 주장한다. 본론의 첫 장은 『런던 스파이』(1698-1700)에서 그려지는 왕정복고기의 도시를 대도시적 몸의 그로테스크한 측면과 연결하여 분석한다. 17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제도적 개혁과 새로운 행동 규범의 등장은 중세의 수도를 근대적 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급작스러운 인구의 증가와 훈육의 부재로 인한 무질서는 런던의 거리를 카니발의 일탈이 이루어지는 군중의 결집소로 만든다. 유동적이고 집합적인 군중의 몸체는 도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계층적, 공간적 구별을 일시적으로 무력화시킨다. 위계의 질서를 불분명하게 만들고 훈육의 규범을 넘나드는 일탈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런던의 거리를 장악한 군중의 몸체는 경계가 불확실한 그로테스크한 몸으로 자리매김한다. 작품의 서술자인 스파이가 런던의 거리에서 관찰하는 거대한 군중과 이들의 구별되지 않은 몸은 오로지 도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감각적인 즐거움의 원천이 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전염병 연대기』(1722)를 무질서하고 혼재된 군중을 통제하고 개혁하려는 서술자의 시도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18세기 초반부터 등장한 훈육의 잣대를 통해서 런던은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대도시로 재편되기 시작했다. 역병에 대비한 검역과 격리의 의료체계는 병자들에 대한 면밀한 감시를 통해서 관료주의적 통제의 한 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질병의 위협에 시달리는 대도시적인 몸으로부터 벗어나 위생적인 몸을 지향하려는 서술자의 노력은 훈육의 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음을 지시할 뿐 아니라 그러한 담론의 실패를 예증하기도 한다. 완벽한 통제의 체계를 세우고자 하는 서술자의 시도는 전염병의 창궐로 급증하는 병자들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쌓여가는 시체와 고통 받는 병자들의 비명은 전지적 관찰자로서의 서술 능력을 혼란 시키고, 개혁적 시도를 가로막는다. 논문의 마지막 장은 『아멜리아』(1751)와 『이블리나』(1778)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대도시적인 몸을 훈육하려는 시도의 결과로 런던이 지형적으로 구획되고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이 분리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대도시적인 몸은 등장인물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가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지닌다. 런던에서 경험하게 되는 익명성은 전통적인 공동체에서의 사회적, 계층적 제한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넓은 범위의 교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교류는 또한 원치 않는 사회적 노출을 강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기도 하다. 두 작품의 등장인물들은 대도시에서의 양가적인 경험을 통해 안정되고 개별화된 자아상을 갈망하게 되고, 가정은 이러한 자아상을 생성할 수 있는 절대 영역으로 부상하게 된다. 각 인물들의 정체성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시로부터 가정으로, 혼잡한 거리로부터 고요한 내면의 세계로 이동하여 정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설이 문학의 한 장르로 자리잡는 과정은 대도시적 몸이 훈육되는 과정과 궤를 같이 한다. 본 논문은 무질서하고 난폭한 대도시적인 몸이 사적인 영역에 안착함으로써 훈육되고 개별화된 근대적인 몸으로 변모되는 과정을 18세기 영국 소설을 통해서 고찰하고 있다.;This thesis examines the eighteenth-century English novel in terms of the metropolitan body, molded in and by the discursive space of London. Viewing the body as both specific and collective, somatic and discursive, this thesis trace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of the novel and the bod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ity of London. The analysis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many strata coordinate the construction of the body as a nexus of discursive, spatial, and somatic operations. The eighteenth-century novel not only reflects the physicality of the body but shapes it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iscourses about the body. How the disruptive corporeality of the metropolitan body and its discipline configure the topography of London in the new form of the novel is the main concern of this thesis. Extending the Foucauldian framework of changing technologies of discipline, and incorporating the critique of everyday lived experience to the literary domain of the novel, this thesis views the structure of the eighteenth-century novel as corporeally and topographically figured. The first chapter investigates The London Spy (1698-1700) as a product of post-Restoration London. The metropolis that the narrator of the work, the spy, explores continues to be haunted by the ghosts of the two Charleses and Cromwell even while modern institutions were beginning to emerge. Through imaginary adventures that the spy undergoes, London is presented as a gigantic, disorderly, heterogeneous metropoli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e observed in his walk mark out the increasingly divergent topography of the metropolis. While parts of the city are being reorganized by the new protocols of corporeal and spatial demarcation, the agglomeration of its huge population transforms the metropolitan space into a locus of carnivalesque transgression. This chapter takes particular note of the promiscuous bodies of London crowds as constituting a paradigmatic instance of carnivalesque transgression, producing an intermingling that suspends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a laughter that evokes the economy of the grotesque within the city spac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1722) in regard to the new spirit of Enlightenment that permeated the eighteenth century. Set in the Great Plague of 1665, the narrator’s reformative bent is continuously disrupted by the irregular topography of the old city and the inefficiency of traditional regulations before the emergence of modern bureaucracy. The grid of discipline that emerged at the beginning of the eighteenth century intended to transform the city from the site of disorderly agglomeration into a structure of clearly differentiated segregation. In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the differences thereby produced and controlled are intertwined with matters of bureaucratic administration and medical concern raised by the narrator’s proposal to deal with the potential threat of the plague. Veering away from the sick, heterogeneous body toward the construction of the sanitized, enclosed self, the narrative of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not only prefigures reformist tracts that attempt to demonstrate the constructive power of disciplinary regime but also their ultimate failure. The uncontainable bodies of the sick disrupt the narrator’s attempts at complete authoritative surveillance, implicating him in corporeal sameness. The last chapter concerns the metropolitan experience from the female point of view. By elaborating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women to the trope of the metropolis, this chapter attempts to connect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space and the expulsion of the heterogeneous body from such space with the containment of the novel as a form of domestication. In Amelia (1751) and Evelina (1778), the city of London has ambivalent effects on the two female characters. Their anonymity in the metropolis temporarily incapacitates the demarcation of propriety, exposing them to a wide range of social intercourse. At the same time, this freedom affects the female body, threatening its integrity through dangerous corporeal exchanges. The experience of anonymity in the urban masses creates a continuous fluctuation of identity, and this fluctuating selfhood eventually prompts return home, where the female character can anchor identities within a stable domestic sphere, seemingly a safe haven from the disorderliness of the metropolis. This process of domestication is interrelated with a newly accentuated focus on interiority and the literary convention of transparency, which render the character’s internal life fully accessible and intensely visible without direct intervention of the author. The movement of the two characters from outdoors to indoors, from the metropolis to the confines of the home, and from public sites to the domestic interior marks out the separation of the individual body from the collective composite corporeality. The eagerly wild, exuberant, unruly roaming in the city streets is contain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domestic sphere that sets out to establish propriety in both spatial and corporeal senses by the end of the century. The alignment of the metropolis, the body, and the novel establishes the modern order of the civilized metropol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