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활동,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Title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활동,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ocial activiti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elderly
Authors
김영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exam the identify correlation of social activiti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possibility to be encouraged for enhancing life satisfaction resources to approach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Subjects (N=245) were recruited from seniors welfare centers, parks and churches in Seoul between the 1st of November, 2013 and 31st of January, 2014.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n Version (GDSSF-K) was used to measure the elderly depression. In order to assess their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LSSE) was utilize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Below is a summary of the results. 1. Subjects spend time for economic activity(12.30 hours), leisure activity(3.28 hours), religious activity(1.87 hours), volunteering activity(1.52 hours), society activity(.78 hours).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ies was as follows: economic activity(1.56 per week), leisure activity (.95), religious activity (.84), volunteering activity (.50), society activity (.27). The average number of social activities that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were 2.22(±1.20) and 230 people(93.8%) of all the subjects had one or more of social activities. 2. DSSF-K score for patients was 4.20(±3.85), 38.8% of subjects feel depression(mild depression 27.4%, severe depression 11.4%). The education(F=3.786, p=.011), existence of a spouse(t=-3.268, p=.001), health status(F=16.709, p<.001) and economical status for elderly(F=10.219,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3. The mean of LSSE score for elderly was 45.30(±6.83). The age (F=3.994, p=.020), education(F=2.859, p=.038), existence of a religion(t=-2.010, p=.046), existence of a spouse(t=3.490, p=.001), health status(F=13.540, p<.001) and economical status(F=25.442,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4.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y, but elderly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religious activity(r=-.144, p=.024). 5. Life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isure activity(r=.128, p=.046),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r=.159, p=.013), the frequency of religious activity(r=.142, p=.026). And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r=-.593, p<.001). In conclusion, encouraging social activity programs such as religiou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nd offering psycho-emotional nursing support for reducing depression could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elderly.;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활동의 참여여부와 활동의 유형, 참여빈도, 활동량의 수준에 따라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노인의 일반적 특성, 사회활동의 참여여부와 활동의 유형, 참여빈도, 1회시 평균 활동시간, 노인 우울을 측정하는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노인의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 노인생활만족척도(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LSSE)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사회활동의 활동시간은 경제활동이 주당 평균 12.30시간, 여가활동 3.28시간, 종교활동 1.87시간, 자원봉사활동 1.52시간, 사교활동 .78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의 참여빈도는 경제활동이 주당 평균 1.56회, 여가활동 .95회, 종교활동 .84회, 자원봉사활동 .50회, 사교활동 .27회 순으로 나타났다. 1인당 참여하고 있는 사회활동은 평균 2.22(±1.20)개이고, 한 개 이상의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은 230명(93.9%)이었다. 2. 우울은 총점 15점에 평균 4.20(±3.85)점이었고, 경증 우울군 27.4%, 중증 우울군 11.4%으로 총 38.8%의 대상자가 우울감을 느끼고 있었다. 학력(F=3.786, p=.011), 배우자유무(t=-3.268, p=.001), 건강상태(F=16.709, p<.001), 경제상태(F=10.219, p<.001)에 따라 우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삶의 만족도는 총점 60점에 평균 45.30(±6.83)점으로 연령(F=3.994, p=.020), 학력(F=2.859, p=.038), 종교유무(t=-2.010, p=.046), 배우자 유무(t=3.490, p=.001), 건강상태(F=13.540, p<.001), 경제상태(F=25.442, p<.0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우울은 사회활동 활동량의 모든 하위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사회활동 참여빈도 중 종교활동 빈도(r=-.144, p=.024)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5. 삶의 만족도는 사회활동 활동량 중 여가활동 활동량(r=.128, p=.046)과 양의 상관관계, 사회참여빈도 중 여가활동 빈도(r=.159, p=.013), 종교활동 빈도(r=.142, p=.026)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는 우울(r=-.59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노인의 종교활동이나 여가활동과 같은 사회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우울을 감소시켜 주는 정서적인 측면의 간호지지를 제공하면,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