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조수정-
dc.creator조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7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hat measures school adjustment,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Data were drawn from a sample of 4th-6th graders in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four districts in Seoul,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sample was divided randomly into two subsample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hool adjustment scale (1,055 children and 1,082 children, respectively). The survey questionnaires included an initial pool of 97 item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and measures for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Rhee, 2012), social competence (Doh, 1994), self-esteem (Rosenberg, 1965; Suh, 2012), and ego-resilience (Block & Kremen, 1996; Kim, 2011) to test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to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ith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incipal axis factoring from the first sample resulted in 30 items to assess school adjustment which consisted of four factors: academic attitude/rule observance (9 items), relationships with peers (7 item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8 items), and school satisfaction (6 items). Academic attitude/rule observance refers to active involvement in class and school life, preparation and effort making for academic activities, adherence to school rules, and willingnes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Relationships with peers refer to getting along well and creating friendly and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school friend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lso refer to showing amicable behaviors and establish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signifies subjective appraisals of overall satisfaction, pleasure, and preferences related to school life. Correlations with other school-aged children measures supported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Children who had higher scores in academic attitude/rule observanc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school satisfaction reported greater social competence, self-esteem, ego resilience, and their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data from the second sample indicated adequate fit for the school adjustment scale, suggesting that the scale i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late childhood with similar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The school adjustment scal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comprised of four subscales including academic attitude/rule observance, relationships with peer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satisfaction, is an easily administered,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his scale is expected to yield valuable data pertaining to school adjustment and other related areas of study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 후기 아동용 학교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적응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추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네 개구에 위치한 다섯 곳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남녀 아동들로서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과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각각 1,055명과 1,082명의 아동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을 위한 척도와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한 척도로 구성된다. 후자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이선희, 2012), 사회적 능력 척도(도현심, 1994),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1965), 자아탄력성 척도(Block & Kremen, 1996)를 포함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적응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된 학교적응 척도는 학업태도/규칙준수(9문항), 또래와의 관계(7문항), 교사와의 관계(8문항), 학교만족감(6문항)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총 30문항). 학업태도/규칙준수는 수업활동 및 학업에의 적극적 참여, 학습 활동에 대한 준비와 노력, 학교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의지 및 참여도 그리고 규칙을 잘 준수하는 가를 의미한다. 또래와의 관계는 학교에서의 친구와의 관계를 원만하여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뜻하며 교사와의 관계는 학교에서 교사를 잘 따르고 교사와 잘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만족감은 학교에 대해 전반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즐거움과 선호도 및 만족감을 의미한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수렴타당도 검증과 교차타당화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수렴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학업태도/규칙준수,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학교만족감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으며, 사회적 능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또한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가 본 연구대상과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유사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척도임을 확인함으로써,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는 학업태도/규칙준수,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만족감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매우 우수한 도구로 확인되었다. 본 척도는 학령 후기 아동의 학교적응은 물론 부모-자녀관계와 아동발달 등 관련 후속 연구의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학교적응 7 1. 학교적응의 개념 7 2. 학령 후기 아동과 학교적응 9 B.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10 1. 학교적응 척도의 구성 요인 10 2. 학교적응 척도의 보고자 17 C. 학교적응 척도의 타당화 20 1. 수렴타당도 20 2. 교차타당도 26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8 A. 연구문제 28 B. 용어정의 28 Ⅳ.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조사도구 33 1. 척도 개발용 33 2. 수렴타당도 검증용 34 C. 조사절차 37 D. 자료 분석 42 Ⅴ. 연구결과 43 A.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43 1. 탐색적 요인분석 43 2. 확인적 요인분석 48 B. 학교적응 척도의 타당화 55 1. 수렴타당도 검증 55 2. 교차타당화 58 Ⅵ. 논의 및 결론 60 A.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60 B. 학교적응 척도의 타당화 63 참고문헌 68 부록 81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0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령 후기 아동용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dc.creator.othernameCho, Soo Jung-
dc.format.pagev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