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5 Download: 0

상악 치열궁 구내 디지털 스캔시 구개부 영상 유무에 따른 재현성 분석

Title
상악 치열궁 구내 디지털 스캔시 구개부 영상 유무에 따른 재현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precision of the intraoral scanner on the maxillary dental arch:with and without palatal area images
Authors
이윤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구강 스캐너로 상악 치열궁 스캔시 구개부의 촬영 여부가 치열궁 영상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구개부를 포함한 스캔 영상과 포함하지 않은 영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 여 30명이며, 연구 방법은 각 지원자의 구개부를 포함한 상악 치열궁과, 구개부를 포함하지 않은 상악 치열궁을 Trios®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각 한 번씩 두 번 스캔 하였다. 얻어진 두 군의 영상을 Geomagic Verify™ 소프트웨어로 중첩하여, 두 영상 간의 편차의 평균과 편차의 최대값을 측정하였고, 전치부와 좌, 우측 구치부로 영역을 나누어 편차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또한 구개부를 포함한 군과 포함하지 않는 군간 견치간 및 구치간 폭경을 측정하여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p<0.05) 그 결과 구개부를 포함한 영상과 포함하지 않는 영상 중첩 시 편차의 평균은 56.63±19.98㎛였다. 전치부 보다는 구치부의 편차가 유의한 수준으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좌측과 우측 구치부 간의 편차의 평균은 스캔의 기시부의 반대측인 우측 구치부의 편차의 평균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구개부를 포함한 영상과 포함하지 않는 영상에서 견치간 폭경의 차 보다 구치간 폭경의 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p<0.05) 편차의 최대값은 전체 대상자 30명 중 최대편차가 1mm 이상인 경우가 13명 이었으며 최대편차값은 2.22mm 였다. 본 연구의 결과 Trios® 구강 스캐너의 편차의 평균은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편차의 최대값의 폭이 크고 편차가 발생하는 부위가 다양하여 임상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3D images of maxillary arch scans with palate and those without palate using intraoral scanner Trios® (3shape dental systems, Copenhagen, Denmark), This study was based on 30 participants, comprised of men and women over 19 years old, who were scanned twice. Each group was named Dentition group (Maxillary arch scans without palate) and Palate group (Maxillary arch scans with palate), and the images were acquired according to the study protocol approved by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Ewha Womans University. Data obtained from the two groups was superimposed using Geomagic Verify™.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deviations between the molar and the anterior regions, the arch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right and left molar, and the anterior.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ntition group and Palate group, was compared by measuring the intercanine and the intermolar distanc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 one-way ANOVA and an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and their evaluation was made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05. The results showed the mean deviation of 56.6±19.9㎛ when the data from Dentition group (Maxillary arch scans without palate) and those from Palate group (Maxillary arch scans with palate) were superimposed. Deviation of the molar region showed a higher significant level in comparison to the anterior region, and the right molar region showed a higher mean deviation than the left one. In addition, Dentition group and Palate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canine and the intermolar distances. The low mean deviation obtained using Trios® suggests its possible usage in clinics. However, 13 cases out of 30 showed deviation greater than 1mm, with the greatest deviation value being 2.22mm. Thus, in order to apply Trios® to clinics, it is necessary for orthodontists to selectively consider cases within the available ran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