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1 Download: 0

제2형 당뇨환자의 영양교육 중재에 따른 비교 평가

Title
제2형 당뇨환자의 영양교육 중재에 따른 비교 평가
Other Titles
Comparison of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Authors
신지원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정
Abstract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인 제2형 당뇨환자들의 지속적인 자가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임상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영양교육 중재 방법 선택을 위해 영양교육 중재 방법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2013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 소재 대학병원 내분비센터의 외래로 방문하여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되고 영양교육 중재가 처방된 환자 108명 이었으며 연구 실시에 앞서 일반사항, 신체계측, 혈액분석, 식이섭취 조사와 설문조사로 식습관, 영양지식, 처방열량에 대한 순응도 평가, 식이요법 실천 정도, 식이만족도, 식이요법 행동변화단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영양교육 중재로 모든 군에 개별 영양교육 중재를 실시하고 대조군에는 2차 영양교육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1차 영양교육 중재 2-4주 후 2차 영양교육 중재를 추가 개별 영양교육 중재, 뷔페 실습 영양교육 중재, 전화 영양교육 중재 방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영양교육 중재 12주 후 연구 실시에 앞서 조사하였던 내용에 영양교육 효과 만족도를 추가하여 실시하고SPSS ver21.0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평균 연령은 50대이며 70% 이상이 합병증이 없고 15% 미만에서 영양교육 중재 경험을 가진 연구 대상자들은55%이상에서 1년 이내의 당뇨 병력자로 네 군 대상자의 일반특성, 당뇨 관련 특성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모든 군에서 영양교육 중재 후 자가혈당측정과 식이조절 방법을 선택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영양교육 중재 전 식이요법을 고려하는 수준에서 영양교육 중재 후 식이요법의 시작 유지 단계로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영양지식이 모든 군에서 높아졌으며 맞춤형 영양교육 중재군들에서 처방열량의 인지가 높아지고 개별교육군, 실습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아졌으며, 실제로 처방열량에 비해 차이가 10% 이내로 섭취하고 있는 연구 대상자가 50% 이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이요법 실천 정도는 모든 군에서 높아졌으며 실습교육군이 대조군, 전화교육군에 비해 실천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개별교육군, 실습교육군은 대조군과 전화교육군에 비해 단음식과 나트륨 섭취를 줄이려는 실천을 더 했으며, 특히 실습교육군에서는 지방섭취 감소와 섬유소 섭취 증가에 있어서 대조군과 전화교육군에 비해 실천 향상을 나타내었다. 식습관에서 과식과 지방 섭취 횟수의 감소 효과를 모든 군에서 볼 수 있었으며 맞춤형 영양교육 중재군 모두에서 단음식과 나트륨 섭취 횟수를 줄여주는 효과를 보이고 개별교육군, 실습교육군에서 단백질 섭취 횟수의 증가와 야식 섭취 횟수를 줄여주는 효과를 보였다. 식이만족도는 모든 군에서 만족도가 높아졌고 실습교육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열량섭취가 모든 군에서 감소되었고, 개별교육군에서 지방과 나트륨 섭취가 감소 되었으며 실습교육군에서는 비타민C, 비타민E 섭취량의 증가를 나타내는 효과를 보였다. 대조군과 전화교육군은 단백질 섭취가 줄었으나 개별교육군과 실습교육군에서는 탄수화물 섭취가 줄고 균형식 섭취 비율을 이루었다. 공복시혈당, 당화혈색소가 모든 군에 있어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체중과 BMI가 개별교육군, 실습교육군에서 감소되었고 개별교육군이 대조군, 전화교육군에 비해 체중 감소 효과가 높았으며 허리둘레, 혈압도 감소를 보이는 효과를 보였고 개별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 추천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모든 영양교육 중재 방법에 있어 실시 자체의 효과를 알 수 있었고, 2차 영양교육 중재 실시에 따른 효과 또한 알 수 있었다. 영양교육 중재 방법으로는 대조군, 전화교육군에 비해 영양지식을 높이고, 실천에 있어서도 식이섭취 속도 조절과 당뇨 자가관리에 중요한 단음식과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 실천이 이루어지고, 탄수화물 섭취 비율 감소, 단백질 섭취 비율 증가로 균형식을 이루는 식습관 변화가 이루어지는 개별교육이 다른 방법에 비해 유의적 체중 감소와 영양교육 중재 후 허리둘레, 혈압 감소 효과 또한 이루어져 2회 이상의 개별교육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영양교육 중재 방법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와 같은 당뇨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중재 방법에 관해 대규모, 장기간 연구 결과들의 축적이 이루어 진다면 우리 현실에 맞는 제2형 당뇨 환자들의 영양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ntroduction: Diabetes is a chronic disease which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world and the best way to cope with diabetes is preventing complications by self care.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continuous self care is being emphasized. This study di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to find realistic and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in developing a program for continuous self care of Type 2 diabetes patient and enhancing the clinical treatment effect. Patients and methods: 10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Type. 2 diabetes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enter belong to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received the prescrip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were taken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all received the first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Then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the secon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while the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group (II)’ received the secon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individually 2~4 weeks after the 1st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The ‘practice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group (IP)’ received buffet practice nutrition education as the secon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while the ‘mobile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group (IM)’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by mobile phone.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and, dietary intake by 24h food-recalls. In addition, data on dietary habits, diet therapy knowledge, adaptability to prescribed calories, diet therapy practice, diet satisfaction, and, dietary therapy behavior stages of change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difference before/after the study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abetes-related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was proved since the practice of dietary therapy for blood sugar regulation, the ratio of blood sugar self-monitoring, dietary therapy knowledge, the extent of dietary therapy practice and the diet satisfaction score increased in all groups. The tailored intervention groups (IT) showed the change from ‘precontemplation stage’ to ‘action-and-maintenance stage’ in the dietary therapy stages of change. The adaptability on the prescribed calorie of IT also increased. Comparison of groups between control group and IT, dietary therapy knowledge, dietary therapy practice and diet satisfaction of IT were higher than the same of control group. In addition, sodium intake and SBP of IT were lower than control group in the nutrition intake analysis based on intake quantity. It implies that the secon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was effective and the necessity of 2 times or more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II had more enhancements in dietary therapy knowledge than control group and IM. II also showed more improvement in diet therapy practice such as controlling dietary intake speed and decreasing the intake of sugary food or sodium, which are important in diabetes self care, than control group and IM. II also showed more improvement in nutrition intake such as decrease in carbohydrate intake and increase in protein intake than control group and IM. II, which showed the change in dietary habits to achieve balanced diet, also had significant body weight decrease, decrease in waist size and decrease in blood pressure after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than other education group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individual education is mor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method for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than mobile education or practic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 it is believed that two or more times of individual education is the most realistic and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method and it is suggested that it would be considered in preparing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program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