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후식기 디자인 연구

Title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후식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dessert-ware applying the shape of flower
Authors
류현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석영
Abstract
It’s extraordinary that the meaning which dining space in the busy modern life gives. The modern diet has been changed a lot as the standard of living with fast economic growth is rapidly changing. In the past, behaviors of eating food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but now, thoughts on food and the recognition on dining space are changing gradually as a place recognized as space for eating is changing to a concept of ‘enjoying food’ in modern times. The conversion of this recognition has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the food culture of modern people and plays a role of accelerating the westernization of diet. The distinctive dessert culture of modern people has been formed as western dessert culture is being fused naturally and changed, developed with our food culture due to the westernization of diet. And, dessert-centered dedicated space where people can enjoy in various forms such as professional dessert cafes, exclusive dessert buffets, dessert course meals is increasing as desserts are being developed and changed rapidly. Thus, this study fel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ableware designs differentiated to give consumers enjoying dessert greater satisfaction and visual enjoyment, making dedicated space for dessert becoming quickly spread recognized to be more meaningful. And this study try to do a study on tableware designs suitable for the taste of modern people and dessert culture becoming increasingly advanced in decorative, multi-functional forms by applying flowers’ images. This study examined dessert prior to its design, focused on investigating current dessert culture through popular dessert and its cases, and looked at the formativeness of flowers through the expressive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flowers. A study on tableware designs to satisfy the taste and the personality of modern people was conducted with a multi-faceted approach to express the formativeness of diversified flowers, its approach was as follows: -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flower with a funnel-shaped gamopetalous flower in a container shape - to borrow the image of a part of the flower and make a new unit, to indicate the image by reconstructing it in a triangular structure - design unlike a morphological approach through the incidence of a part of the flower applied already or a process of image omitted - to express the formativeness of flowers becoming a motif with a combination of tablewares designed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a flower The same way as above enabled a variety of designs on tablewares for dessert with the balance between practicality and formativeness through a series of modifying∙complementing forms. As manufacturing methods, a slip casting technique to be repeatedly reproduced was used, for the clay, porcelain clay with excellent whiteness was utilized. In addition, this study made color soil by putting color pigments with solidification in a portion of white soil and used it. For objects made, oxide calcination was done for 12 hours at a temperature of 1280 degree after the primary calcination for 9 hours at a temperature of 950 degre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dessert designs by applying images of flowers by the researcher were as follows: The beauty of flowers was infinite, the diversity of their materials was also infinite, a formative analysis diversified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flowers and organic forms could be obtained. In addition, effects to decorate the table and a proper function to contain food were taken only with dishes produced by focusing on the formativeness of flower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the study on tableware designs that formativeness was emphasized was shown, it became an opportunity to do an in-depth study on the effects of forms on the utility through a process of modifying·complementing forms based on the function. Practical and formative tableware desig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have values to be consistently studied. And, a study on tableware designs for dessert also has high growth potential with the development of dessert culture, so it needs to be studied continuously, and the researcher will take ongoing efforts so that this study may be conducted toward more advanced direction.;바쁜 현대인들의 삶에서 식공간(食空間)이 주는 의미는 남다르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현대인들의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과거에는 음식을 먹는 행위를 중요시 여기며 단순히 식(食)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 되었던 곳이 현대에 이르러 ‘음식을 즐긴다.’는 개념으로 변화함에 따라 음식에 대한 생각과 식공간에 대한 인식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현대인들의 식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식생활의 서구화를 앞당기는 역할을 하였다. 식생활의 서구화로 서양의 디저트 문화가 우리의 식문화와 자연스럽게 융합되고 변화, 발전 되면서 현대인들의 개성 있는 디저트 문화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디저트가 발전 되고 빠른 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디저트 전문카페, 디저트 전용뷔페, 디저트 코스요리 등 다양한 형태로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디저트 중심의 전용공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추어 디저트 전용공간을 더 의미 있는 곳으로 인식시키며 디저트를 즐기는 소비자들에게 더 큰 만족감과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차별성 있는 식기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리하여 현대인들의 미감과 점차 고급화되어가는 디저트 문화에 적합한 식기디자인 연구를 꽃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장식적이고, 다기능적인 형태로 연구하려 한다. 디자인에 앞서 디저트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기 있는 디저트와 후식기 사례를 통해서 현재의 디저트 문화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꽃의 표현소재와 구조를 통해 꽃의 조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화된 꽃의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접근하여 현대인들의 미감과 개성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식기 디자인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깔때기형의 통꽃화관을 지닌 꽃의 외형을 기(器)의 형상으로 표현 - 꽃의 일부분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 삼각구도 안에서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나타냄 - 이미 응용되었던 꽃의 일부분의 부각 또는 이미지 생략 과정을 거쳐 형태적인 접 근 방식을 달리 한 디자인 - 꽃의 구조를 응용하여 디자인된 식기들의 조합으로 모티브가 된 꽃의 조형미를 표현 위와 같은 디자인의 접근 방식은 형태를 수정∙보완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실용성과 조형성의 균형을 이루는 다양한 후식기 디자인을 가능케 하였다. 제작 방법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슬립캐스팅 기법을 이용하였고, 태토는 백색도가 뛰어난 자기질점토를 사용하였다. 또한 일부 백색소지에는 고화도 색 안료를 넣어 색 소지를 만들어 사용하기도하였다. 제작된 기물은 950도의 온도로 9시간동안 1차 소성을 한 후, 1280도로 12시간 동안 산화 재벌 소성 하였다. 연구자가 꽃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후식기 디자인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꽃의 아름다움은 무한하며 그 소재의 다양성 또한 무한했고, 꽃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다각화된 조형적 분석과 유기적인 형태들을 얻을 수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꽃의 조형성에 집중하여 제작된 식기만으로 식탁을 장식하는 효과와 음식을 담는 적절한 기능도 취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조형성이 강조된 식기 디자인 연구의 가능성을 엿 볼 수 있었으며, 기능성을 토대로 형태를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형태가 실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실용적이며 조형적인 식기디자인은 지속적으로 연구 될 가치가 있다고 느꼈다. 그리고 후식기 디자인연구 또한 디저트문화의 발달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므로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있고, 연구자 또한 이 연구가 더 발전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