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Out-door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Full-day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uthors
송주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는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 하위 요인 중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 중 성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S사립유치원 만 4, 5세 방과후 과정 유아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한 실외 전래놀이 활동은 실외에서 만 4, 5세 유아가 할 수 있는 전래놀이 중 또래들과 함께 집단으로 놀이가 이루어지는 활동을 중심으로 ‘대문 놀이’, ‘술래잡기’, ‘여우 놀이’, ‘달팽이 집’, ‘8자 놀이’, ‘사방치기’, ‘얼음 땡’, ‘앉은뱅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숨바꼭질’ 총 10가지 활동을 선정하여 이루어 졌다. 실외 전래놀이 활동은 총 5주 동안 매주 2회 실시 하였으며, 두 집단을 나누어 25분씩 활동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평균의 증가분을 t검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 전래놀이 활동은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 전래놀이 활동은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 하위 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중에서 유아의 주도성 향상에 가장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외 전래놀이 활동을 통한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 중 성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남아보다 여아의 또래 유능성 향상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과후 과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외 전래놀이 활동은 유아들의 또래 유능성 향상에 전반적으로 도움을 주었다. 또래유능성의 하위 요인 중 유아들이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또래 관계를 맺는 능력, 즉 ‘주도성’ 향상에 가장 큰 변화를 주었으며, 남아의 또래 유능성 변화보다 여아의 또래 유능성 변화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This study investigated how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effected young children’s full-day peer competence.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effect full-day young children’s peer-competence? 2. How do out-door traditional play activities effect full-day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sub-factor, sociability, leadership and prosocialability? 3. How do out-door traditional play activities effect full-day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of gender?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27 full-day young children for 4 to 5 years old of S-kindergarten, The kindergarten is located in Yang Cheon Gu in seoul city. This study utilized Instruments for Peer Competence, developed by Park Ju-Hee and Rhee Un-Hai(2001) The experimental process for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of 4-5 years olds group play activities with peers including door play, tag, fox play, snail home play, eight play, hopscotch, round-kicking, freeze tag, cripple, Mugunghwa have blossomed and hide-and-seek. These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were executed twice a week for 5 week for two groups with each time lasting 25 minutes.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mental data and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mean increment t-test of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PSS Windows 21.0 software packag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y were as follows: First,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full-day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Second,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full-d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factor of peer competence, sociability, leadership and prosocialability. Third, looking at the influence of peer competence of gender ,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help female children more than male children with peer-competence. Therefore,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for full-day children were a helping influence for peer competence. Out-door traditional play aci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full-d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 leading role of peer relationship and were a helping female children more than male children with peer-competence chan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