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최경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합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조사 결합은 국어학계나 한국어 교육학계에서 꾸준히 다루어졌다. 특히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는 조사 결합에 대한 습득 연구도 진행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에 주목한 습득 연구는 많지 않다. 더욱이 그간 이루어진 조사 결합의 습득 연구는 주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언어 유형학적으로 유사한 일본어를 대조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한 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과연 조사 결합에 대해 어떠한 습득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조사 결합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조사 결합에 대해 결합 유형에 따라 일본인 학습자의 습득 양상이 어떠한가이며 둘째, 조사 결합의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Ⅰ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조사를 분포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위 분류한 임동훈(2004)의 견해를 받아들여서 조사를 문법격 조사, 의미격 조사, 후치사, 첨사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각 조사의 결합을 배열 순서에 따라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더 나아가서는 총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해 결합 시의 특징을 기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각에 해당하는 일본어의 표현들을 정리하여 한국어의 조사 결합과는 어떻게 다른지 검토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양상을 살피기 위해 개발한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이다. 각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별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64문항을 개발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46명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4급 이상의 학습자와 국내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습자이다. 이어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시행한 실험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 번째, 배열 순서에 따른 결합 유형에 대해 정답률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사이에 사용 양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별로 습득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도 나타났다. 특히 일본어와의 대조에서 후치사가 전치하는 유형이 한국어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실제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후치사가 전치하는 유형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조사 결합에 숙달도 변인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결합 유형에서 하집단의 학습자보다 상집단의 학습자가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조사 결합이 그 사용 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기 때문에 숙달도 변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합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서 습득 양상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결합 유형별로 형태적 특성을 명시적으로 교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 조사 결합 습득 시 형태적으로 각별히 강조해야 할 결합 유형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조사 결합의 형태적인 습득에 대해 숙달도 변인이 존재함을 밝혔다. 그러나 여전히 본고에서 시도한 조사 결합의 항목 수가 포괄적이지는 못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울러 형태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했으나, 조사 결합에 따른 의미기능을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studies on Korean Josa's combination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in both the Korean language field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ere have been a good number of research studies on this topic, especial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among these studies, there is only some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Korean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se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have targeted only Chinese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Japanese learners who use Japanese, which is linguistic typologically similar to Korean. Chapter I sh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studies of particle combination.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a new study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and also presents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what does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in terms of combination forms look like? Secondly, Can fluency be taken as a variable in this study of particle combination? In chapter II,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demonstrated in chapter I, Korean case mark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grammatical case markers, semantic case markers, post positions, and particles, in accordance with Im Dong Hoon(2004)’s viewpoint on the subclassification of Korean Josas based 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each particle combin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4 forms, or subdivided into a total of 16 forms, according to order of arrangement. Continuously,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featur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presented. Also, each Japanese expression equivalent to the Korean in formative features has been organized and the equivalent ones have been taken into examination as well. Chapter Ⅲ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instrument. In order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Josa's combinations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was developed as a measure. Sixty-four questions were created according to each form of Josa's combination us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tudents who are: firstl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ith higher proficiency than level 4 who are studying Korean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the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and secondly, current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of domestic universitie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ducted through the tool referred in chapter III.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there appear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regarding combination forms based on order of arrangement. Th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using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 acquisition aspect of Josa's combination forms was also revealed. Contrastively, in Japanese the form pre-modified by a postposition is acquired differently from Korean. In actualit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n the aforementioned form. Secondly, the results show whether or not fluency as a role of variable acquisition of Josa's combination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group of high-achieving students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tha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in all combination forms. With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learners’ fluency in Korean is one of a variable in this research. Finally, chapter V draw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 well as refers to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vestigated the formative features of Josa's combination as well as identified the acquisition aspect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ased on this result, it is realized tha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instruction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combination form needs to be imparted explicitly. Also, through the comparison to Japanese, there is a discussion about the combination form that needs to be well emphasized when acquiring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re was a confirmation that the fluency variable did exist in the acquis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Josa's combination.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umber of the items of Josa's combination suggested is not inclusive. Moreover, sin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formative features, that the change in the seman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Josa remains uncovered becomes a limitation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