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중학생을 위한 과학 관련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Title
중학생을 위한 과학 관련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course-searching program for middle-schoolers
Authors
이재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이공계기피현상과 직업편중현상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입시위주의 교육에 치우쳐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 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더불어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하는데 필요한 태도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총 9차시로 개발하여 경기도 P시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인 학생 참여 중심수업, 과학학습내용과 직업세계의 연결, 실질적인 진로정보 탐색 기회 제공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진로탐색이 중요한시기로 연구되어 졌기에 본 프로그램은 진로탐색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자기이해, 일과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 순으로 진행되었다. 개발된 과학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과학진로지향도와 진로성숙도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SPSS statistics 17.0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과학진로지향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었다(p<.05). 또한 과학진로지향도의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p<.05). 성별에 따른 사전·사후 과학진로지향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과학진로지향도 하위영역에서 사전 '과학진로 선호도'와 '과학진로에 대한 가치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 `과학진로선호도'에서도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진로성숙도 또한 본 프로그램을 통해 효과적으로 향상되었다(p<.05).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3개의 하위영역에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지향도와 진로성숙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5).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특성과 발달에 기초한 학생중심수업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진로지향도에서 여학생의 경우 과학 진로 선호도가 낮은 연구결과를 보면 여학생을 고려한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It has been a recent trend in Korea that Korean students have been concentrated on certain occupations while avoiding science. It is probably because Korean students are in difficulty to take education for lifelong course and are obliged to take only education for enroll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intention to measure effect that happens from development/application of scientific course-searching program. As its purpose, it has in total develop nine programs for improving attitude and capability for preparing and planning individual course and for raising public interest in scientific course. After all, we applied those nine programs to Third graders in some middle-school of P city in Gyeonggi-do. We had been developing them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time, scientific learning connected to occupational world, providing opportunity for searching job-related information. Besides, in case of middle-schoolers, as course-searching was studied in pilot study during very important period, this program is most time-consuming program for course-searching. This program was progress from corners such as from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work and job, course- searching, course-planning. To measure efficiency of scientific course-education program, we executed examination of pre/post-pursuit for scientific course and maturity of course. As result, we used SPSS statistics 17.0 for analysis. It showed that this program is so effective that middl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it had their rate of pursuit much higher. It also showed positive effect in four of sub-areas. as well. There was no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pursuit for scientific course. However, in sub-area of science depending on gender,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in 'rate of favor for scientific course' and 'awareness of value.' Even maturity of course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out this program. And in three of sub-areas of maturity, there was all significant effect shown as well. The science-related program that was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good influence on rate of pursuit for science and maturity of course both.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ing: First, based on this program, we must keep considering development of course-searching program for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iddle-schoolers. Second, in case of female students in rate of pursuit for scientific course, there should be some scientific course educational program for female students as low rate of pursuit as resul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