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광고제작 활동이 학업 성취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광고제작 활동이 학업 성취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duction of Advertisement on Climat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김은실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최근 세계적인 환경 이슈인 ‘기후 변화’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미래세대를 위한 기후 변화교육이 필요한 때이다.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다. 시대가 원하는 창의성과 창의적 문재해결력을 갖춘 인재상의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수업을 광고로 제작하는 것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정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기후변화교과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동을 통해 나타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창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은 서울 소재 E 초등학교 6학년 114명을 대상으로 기후 변화 관련 지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성취도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평가는 이은진(2007)이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도구와 김병희, 한상필(2008)의 광고 창의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두 종속 표본 t-검정과 공변량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CPS 3단계 모형을 바탕으로 총9차시로 계획하였다. ‘문제인식’, ‘아이디어의 생성’, ‘행위를 위한 계획’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문제인식’ 단계에서는 기후변화의 현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회사를 탐색하며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아이디어의 생성’ 단계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산적 사고과정을 통해 생성한다. ‘행위를 위한 계획’ 단계는 생성된 아이디어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스토리보드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CPS 3단계 과정을 거친 후 기후변화 광고 동영상을 제작하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기후변화 광고제작 프로그램을 적용 후 두 집단 모두 지식 성취도가 올랐으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5). 본 연구는 개념 학습보다는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산출물을 만드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탐구학습 보다 제작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하였다. 실험반의 성취도가 향상 되었다는 결과는 이 수업이 탐구학습 만큼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취도 하위영역에서는 ‘기후변화의 현상‘ 영역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모둠원들이 회사와 기후변화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연결 짓는 과정을 능동적으로 해결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활동지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평균은 10점 만점에 6점이다. 창의성의 하위요소별로 민감성(1.5점), 재구성력(1.4점), 유창성(1.2점), 독창성(0.9점), 융통성(0.9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창성은 상위 모둠일수록 잘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났고 중위 모둠의 경우에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독창성은 창의성의 역량 수준과 상관없이 개선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생들의 광고 동영상에 나타난 창의성은 112점 만점에 평균 74.6점이다. 창의성의 하위요소별 분석 결과 실용성(16.8점), 독창성(15.1점), 조화성(14.8점), 적합성(14.6점), 정교성(13.3점) 순으로 나타났다. 실용성과 독창성은 과학의 개념이해가 제대로 일어나지 못한 경우 점수가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교과 시간에 과학 학습 개념을 제대로 인식시키는 것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창의적 문제 해결과정 평가결과 6개의 상위 모둠 중 5개 모둠은 산출물인 동영상의 창의성 평가 결과 모두 상위에 속하였고 1개 모둠은 중위에 속했다. 문제해결과정의 중위에 속하는 총 6개 모둠의 경우는 동영상 평가에서는 상위 1개, 중위 3개, 하위 1개로 나뉘어졌다. 문제해결의 하위권에 속했던 4개 모둠은 동영상 평가에서 상위 1개, 중위 2개, 하위 1개로 나뉘어졌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창의성을 높게 평가 받은 경우 광고 창의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에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산출물로의 평가 결과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잘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기후변화 광고제작 프로그램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의견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기후변화 광고 제작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취도와 창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Education on climate change can be seen as an essential part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urrently,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such school level yet.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ment an integrated program for education on climate change, which can be utilized in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sis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resulting from the relevant activities. For doing so, achievement test has been carried out on 114 of 6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test sheet has been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scientific knowledge obtained. Further, 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2.0. In addition, modified version of the tool for evaluati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developed by Eunjin Lee has been employed to analysis creativity of students for problem solving during the activities. Advertisement creativity index of Byeonghee Kim, Sangpil Han (2008) have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creativity for production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n integrated program for climate change has been developed by utilizing advertisement production.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including ‘problem perceiving’, ‘generation of idea’, ‘plan for activity’ which are based on three-stage model. During the problem perceiving stage, students investigates climate change, figure out various companies related to such phenomenon and perceives climate change as a member of the society. During the idea generation stage, students presents ideas on climate change advertisement dispersing thinking process by utilizing mind map and brain storming. The plan for activity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collects various ideas presented on mind map selectively and prepare picture about how to produce advertisement on story board. The class for production of advertisement on climate change consists of all three stages Secondly,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have improved after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advertisement program.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ave been found (p>.05).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making results rather than conceptual learning. Accordingly, more time has been spent for advertisement production than traditional inquiry learning. Therefore, the impro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of experiment-focuses group, which is the same with that of traditional learning group, indicate that this study course positive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s much as inquiry learning. Regarding the sub-area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has been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climate change phenonenon according to the studying method of each group (p<.05). The reason can be that the stude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s company and climate change as the member of the company and they have sorted out problem creatively and actively through connecting this to company management. Third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ctivity sheets analysis of the average of 10 points out of 6 points. By a sub-element of creativity, sensitivity(1.5p), the reconstructed output(1.4p), fluency(1.2p),originality(0.9p), flexible(0.9p) order. Originality is a very important element, but it is not very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riginality tends to be in the top group but Intermediate group also tends to be higher. Thus, regardless of the capacity of creativity originality can be improved possibil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hown creativity in advertising video made ​​out of 112 with an average of 74.6 points. By a sub-element of creativity, Practicality(16.8p), originality(15.1points), harmony(14.8 p),compatibility (14.6p), sophistication(13.3points) order. Creativity is the core of the newness and Compatibility. Aware of the concept of science is a scie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o help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creative output is to be associated. Advertising message forwarding, which is the object of creativity, persuasion, high interest can be achieved. Fourthly, the satisfaction on advertisement production program has indicated positive reactions as a whole. Regarding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e program for production of advertisement on climate change can be seen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