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n the Qualify of Peer Relations by Art Classes Incorporat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 A Study on Fourth-grade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오늘날 교육현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입시위주의 교육과 경쟁적이고 개인주의적인 학습 환경으로 인해 학생들은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성과 인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한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학교는 또래와의 상호 소통에 기반을 둔 인성 발달은 무시하고 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쟁의 장소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는 생활과 서로간의 경쟁으로 타인과의 대화와 소통이 단절되어 있는 개별지향적인 학습방법에서 벗어나, 성숙한 공동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자신의 가치와 개성을 발견하고 또래 친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또래친구들과 소통하며 공감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중 아동의 또래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인 협동학습 모형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또래관계의 의미와 또래관계의 질에 대해 살펴본 후, 본 연구의 대상인 4학년이 속해있는 아동기의 또래관계의 특성 및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협동학습의 다양한 모형 가운데 협동적 프로젝트(CP)모형을 대표하는 수업모형인 GI (Group Investigation)모형을 적용하여 또래관계와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단원과 학습제재를 선정하고 초등미술수업에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설계하여 차시별 학습 지도안 및 수업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로는 김진경(2002)이 개발한 또래관계의 질 척도를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측정항목별 신뢰도를 검증 한 후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7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실기평가 척도를 세웠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G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으로 형성평가와 또래관계의 질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입증된 두 집단인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5명으로 총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총 4주간 총 8차시(각 40분)에 걸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같은 기간 동안 ‘교실벽면 무늬꾸미기’를 제재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학급에는 GI(Group Investigation)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모둠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 전에 실시한 사전·사후 또래관계 질 검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고, 실기 결과물은 사전에 제작한 실기평가 척도를 통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모둠학습을 적용한 통제집단에 비해 또래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또래관계의 질에 6가지 긍정적 요인 중 우의를 제외한 5가지 하위 영역(상호친밀·공감대, 정서적·사회적지지, 갈등의 해결, 인기, 또래관계 만족)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설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또래관계 질의 부정적 요인인 5가지 하위 영역 중 무시와 또래관계의 불만족을 제외한 나머지 3영역(갈등과 대립, 일방적 주도, 철회·고립)에서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기 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실기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모둠별 활동일지와 모둠활동 평가지, 교사의 관찰일지를 토대로 질적 평가 한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미술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으며 상호 소통하는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인 태도와 책임감을 갖고 성실히 참여하였고 더 나아가 또래관계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자기주도적인 탐구활동과 모둠 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불러일으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미술교과에서 다양한 대상에 맞는 교수-학습방법의 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 아동기 학생들이 전인격체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질 높고 효과적인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Today, overall atmosphere of education in Korea is surrounded by problems such as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training,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nvironments. Those matters make students difficult to perform their social role properly as members of the society living together. Also, schools, that are supposed to aim for holistic human growth through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have become competing places, tendentious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telligence, and undervaluing personality development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peers. To remedy the problem, schools need a new approach of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make students possible to find their own values and individualities, and interact between peers at the same time. Thus,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is on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among peers, can be a suitable method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way it affects peer-relationship of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at art class which is appli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purpose, as theoretical backgrounds, I looked into the meaning of peer-relationship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lso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s of peer relationships about the subject,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I conducted experiments using GI (Group Investigation) model representing Cooperative project(CP) model to see the its effect to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eaching-learning plan for elementary art classes by time and class tools are developed by selecting units and learning materials and planning art classes appli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s assessment tools, peer-relationships' quality scale, which Jinkyoung Kim(2002) have developed, were used as adjusted for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fter verifying the reliability by measuring item, pre and post surveys were conducted. Practical-skills-evaluation scales were set up referring to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according to the 2007 revision. The subject of study was two classes of 4th grade at G elementary school in Song-pa, Seoul. Total 48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23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25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 groups were verified as equivalence by pre-testing formative evaluation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scale. The experimental class is conducted each 40 minutes 8 times for 4 weeks from April 2014 to May 2014. During the same period, both groups had classes in the same topic, 'decorating classroom walls'. The clas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applied with GI(Group Investigati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the other hands, the class of control group had the traditional-cooperative-learning method. Pre and post peer relationships' quality tes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e result of practical tests were evaluated through qualitative assessment which was made in advance. Hereby it is analyzed i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er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raditional cooperative learning. In summar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ositive 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showed positive effects, which the control group didn't have, in five areas(mutual intimacy·empathy, emotional·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popularity, peer relationships satisfaction) among six areas including friendship. In experimental group, secondly,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by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d positive effects statistically on 3 sub-areas(conflict and confrontation, unilaterally driven, withdrawn·isolation) among negative factors, which consist of total 5 sub-areas including neglect, and unsatisfaction of peer relationship, of peer relationships' quality. Third, th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result is assessed not only using a rating scale for practical skill, but also conducting the qualitative assessment based on the study diary by group, the evaluation form for group activities,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diary. As a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terests of art becam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articipating in a process of interactions sincerely and active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I noticed that i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s. This art teaching program, which was applied with GI cooperative model, has significance at verifying educational effects on peer-relationships' quality developments of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by evoking active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and self-directed research activities. In the future, I hope that, in art subject, by developing more programs and studi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various objects, high quality and effective art education are proceeded, in order to help childhood students grow as whole pers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