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전주희-
dc.creator전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1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1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on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two inclusiv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One inclusive class of 29 students(one student with disability and 28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inclusive class of 30 students(one student with disability and 2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two groups. The changes on the results of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12 sessions in the inclusive class and with 24 sessions in the special class.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exposed to special class 2 sessions before inclusive class one session for his participation in inclusive class session and trained social skills sufficiently.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includes creative drama activities that achieve goals of social skills. Creative drama activities were consisted of dramatic game for warm‑up, tableau, mime, empty chair, hot seating, improvisation, teacher in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ent with disability in both 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nd that the stud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ability; however, because the change was insignificant, it cannot be judged as meaningful. Thir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th,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ent with disability in both 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nd that the change in both students was almost equal in social skills, in cannot be judged the significant change.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results in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ithout disability’s social skills. However,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hanges were in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social skill intervention in that (1)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was implemented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specifically during the time slot allocated for creativity-building, (2)the student with disability was provided interventions in special class and inclusive class so that he participated in inclusive class activities well and was trained social skills sufficiently, and (3)this study’s creative drama activities were constructed suitable for achieve social skills goals.;통합교육은 분리된 교육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을 따로 교육하지 않고, 동일한 일반학급 교실 공간 속에서 비장애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받고 생활하는 물리적 통합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 대다수는 사회성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거나 배운 사회성 기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나가지 못한다. 이러한 사회성 관련 문제들은 학업과 정서, 학교생활 적응 등 여러 영역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고, 이후의 삶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성공적으로 적응해나가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런데 학교 현장에서는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경우가 드물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학교 및 통합학급 정규 교육과정으로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의 사회성 중재 관련 연구들은 장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수학교나 특수학급 등 분리된 장소에서 실시되는 경우가 많았고, 정규 수업 시간이 아닌 방과 후 시간, 쉬는 시간 등을 활용하여 실시되어 왔는데 그에 반해 장애학생이 소속된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자기표현과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극놀이 활동을 활용하여 사회성 기술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S초등학교의 통합학급 학생들로 실험집단은 4학년 통합학급 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 28명, 통제집단은 6학년 통합학급 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 29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1회 40분씩 12회에 걸쳐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통합학급 학생들은 담임교사 재량으로 한문교육 등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에게는 통합학급 중재 매 회기 이전에 2회씩 특수학급 중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서 두 집단 간의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장애학생들에 대한 결과는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장애학생은 자기표현행동 체크리스트와 사회성 기술 검사를 교사보고형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과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자기표현능력의 변화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과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변화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통합학급 교사의 평가 결과는 두 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가 미미하였고,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결과도 두 학생의 사전-사후 변화폭이 유사하게 향상되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과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사회성 기술의 변화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성 기술의 하위 요인별 분석 결과, 자기주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협동과 자아통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과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변화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통합학급 교사의 평가 결과는 두 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가 미미하였고,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결과는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점수는 감소한 반면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사회성 기술 검사의 사전-사후 변화폭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표현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학생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 변화량이 미미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중재가 장애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체행동 교수 및 새롭게 배운 행동을 연습할 풍부한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 등과 같이 장애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실시했다는 점,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습득과 활동 참여를 위해 특수학급 중재를 병행하였다는 점, 사회성 기술 목표에 적합한 연극놀이 활동을 선정하여 사회성 중재의 매체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학급에 소속된 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급차원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고, 장애학생에게 나타난 사회성 기술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측정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장애학생과 사회성 중재 6 1. 사회성의 개념 및 중요성 6 2. 장애학생의 사회성 특성 8 3. 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선행연구 12 B.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16 1. 연극놀이의 배경과 개념 16 2. 연극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4 A. 연구 참여자 24 B. 실험기간 및 장소 27 C. 독립변인 :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28 D. 종속변인 37 1. 자기표현능력 37 2. 사회성 기술 38 E. 실험 설계 및 절차 39 F. 중재충실도 42 G. 사회적 타당도 43 H. 자료 수집 및 처리 46 Ⅳ. 연구결과 47 A.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47 B.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47 C.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50 D.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51 Ⅴ. 논의 및 제언 54 A. 논의 54 B. 연구의 제한점 63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4 참고문헌 66 부록 77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5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on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dc.creator.othernameJun, Ju Hee-
dc.format.pageix,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