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문학능력 향상을 위한 시 단원 학습활동 개선 방향 연구

Title
문학능력 향상을 위한 시 단원 학습활동 개선 방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fo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oetry Section to Improve the Literary Ability
Authors
조하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시 단원 학습활동을 문학적 표현능력과 주체적 해석능력으로 범주화하여 양상을 분석해 보고 문학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의 개선방향을 논의해 보는 데 있다. 시는 자연이나 인생에 대한 감흥과 사상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시 교육은 학생들의 정서 체험과 가치관 형성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크다. 시를 교육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작품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해 그러한 감흥과 사상을 체화함으로써 문학적 감수성, 상상력, 그리고 표현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학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이러한 시 교육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교과서이다. 특히, ‘문학’은 상상력과 다양한 해석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자율적이고 직접적인 활동이 요구되는 데 이를 구현한 것이 바로 교과서 학습활동이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힌 뒤, 문학능력과 교과서 학습활동 및 수록 시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Ⅱ장은 Ⅲ장의 전제가 되는 장으로‘문학능력에 대한 고찰과 학습활동 분석 기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문학능력의 개념 정립이 어려웠던 그 간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개념 정립의 당위성에 대해 개진한 후, 그 안에서 문학 능력에 대한 공통의 개념들을 추출하여 본고의 관점 및 입장을 공고히 하였다. 또한 문학교육 내에서의 문학능력에 관한 단서들을 교육과정 내에서 찾아보고 결국 문학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습자들의 문학 능력 향상이라는 전제를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내의 문학 영역 성취기준과 문학능력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학습자들의 성취기준의 도달이 문학능력과의 연계선상에서 일정한 문학능력을 성취했다고 볼 수 있는 본고의 관점을 개진하였다. 이런 제반의 전제들 속에서 본고에서 핵심적으로 살펴볼 교과서 학습활동의 분석 기준을 시에 대한 문학적 표현 능력과 주체적 해석 능력으로 범주화 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절에서 추출한 분석 기준에 입각하여 실제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먼저, 문학적 표현능력에 따른 비판적 양상의 입장에서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내용 분석 요소들을 ‘문학적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활동’,‘문학적 표현 방식이 드러난 부분을 찾는 활동’,‘문학적 표현 방식이 드러난 부분의 의미를 찾는 활동’,‘문학적 표현 방식의 효과를 이해할 수 있는 활동’,‘다양한 문학적 표현 방식을 활용하는 활동’,‘문학적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의 6가지 범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이해활동과 표현활동으로 상위 분류한 후, 각 활동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검토 하였다. 다음으로 주체적 해석능력에 따른 비판적 양상의 관점에서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내용 분석 요소들을‘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활동’,‘주체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근거를 들어 작품을 이해하는 활동’,‘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하는 활동’,‘주체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근거를 들어 작품을 해석하는 활동’,‘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평가한 글을 읽고 독자의 관점에서 타당성을 판단하는 활동’,‘주체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근거를 들어 작품을 평가하는 활동‘의 6가지 범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이해활동과 평가활동으로 상위 분류한 후, 각 활동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검토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학습활동 비판적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문학능력 향상을 위한 시 단원 학습활동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Ⅲ장을 분석해 본 결과, 작품에 대한 이해 활동은 교과서마다 충분히 제시된 것에 비해, 문학적 표현 활동과 주체적 해석 활동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은 다양하고 충분하지 못 하였다. 이에 ‘문학적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의 개선 방향을 창의성의 신장, 장르 인식의 강화, 공감적 자기화 과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제안하였다.‘주체적 해석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의 개선 방향은 비판적 사고력 신장, 지각 능력의 활성화, 능동적 생성 전략을 강화시키는 활동으로 제안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그 간의 연구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 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교육과정과 연계된 교과서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추출한 다양한 활동 영역을 기준으로 학습활동의 양상을 분석∙검토 해보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는, 문학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문학능력에 관한 그간의 다양한 논의와 개념을 정립해 봄으로써 문학능력을 재조명 해 볼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는 2015년부터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전 학년에 적용되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poetry section into the literary expression ability and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ability, thereby analyzing their patterns, and to discuss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literary ability. Chapter I presen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reviewed existing studies about the literary ability,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and their included poems. Chapter II is the premise of Chapter III, and suggested "standards to study the literary ability and analyze learning activities." First, existing discussions which had difficulties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literary ability were organized, and common concepts about the literary ability among them were extracted, thereby solidifying this paper's perspective and position. Along with this, this study dealt with which values poetry education have as the sub-domai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their correlations with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textbooks that contain the contents of poetry education. Eventually, amid such overall premis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analysis standards for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that will be examined essentially in this paper into "the literary expression ability about poetry' and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ability about poetry". Chapter III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actual textbooks based the analysis standards extracted from Chapter II. First,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the critical viewpoint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literary expression ability.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extbooks, our content analysis elements were grouped into three upper-level domains: "activities that understand literary expression methods and find areas where these methods are revealed", "activities that understand the effects of areas where literary expression methods are revealed and find their meanings, "activities that express one's thoughts and emotions by utilizing literary expression methods", and then the pattern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belong to each category were critically analyzed and reviewed. Next,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patterns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ability.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extbooks, our content analysis elements were grouped into three upper-level domains: "activities that understand poems from independent viewpoints based on appropriate bases", "activities that interpret poems from independent viewpoints based on appropriate bases", "activities that judge the validity of evaluation from independent viewpoints and perform evaluation based on appropriate bases", and then the pattern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belong to each category were critically analyzed and reviewed Chapter IV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fo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oetry section to improve the literary ability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III. In this regard, improvement directions for 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literary expression ability were suggested in connection with the literary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By making this viewpoint more concrete, the desirable learn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via division into "activities that paraphrase the poetry's meaning" and "activities that internalize and describe the poetry's meaning". Next, improvement directions for activities to improve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ability was suggested by organizing leaning activities through critical reading. These viewpoints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in more detail by diving the desirable activities into "activities that interpret poems with a focus on the foregrounding elements of poetry" and "activities that appropriate poetry utilizing the strategy to create the questions of students."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V, earlier studied contents were summarize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in terms of showing a new approach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First,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analyzing and reviewing the patterns of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various activity areas extract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extbooks linked with curriculums. Second, this study will be able to shed new light on the literary ability by reviewing and reestablishing existing various discussions and concepts regarding the literary 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study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s in 2009, which will be applied to all grader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s from 2015. In addition, this study was notably performed amid the recent decline of studies on "learning activities" of the poetry s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