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직업기초능력평가 의사소통 국어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Title
직업기초능력평가 의사소통 국어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ques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anguage in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직업기초능력평가는 대부분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평가는 직업세계가 요구하는 능력을 평가하자는 의견과 일반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구분 없이 시행되는 학업성취도 평가를 직업기초능력평가로 대체하자는 학교 현장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다. 그간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일반 고등학교와 다르고 학습시간과 학교교육의 목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성화 고등학교만을 위한 평가체제가 마련되지 못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된 중등직업교육기관이다. 최근 특성화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전문 기술을 습득한 후 취업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지만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직무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 역시 시행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직업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이면서 공통적인 역량이 무엇인지 검토하고, 국어 교육에서는 어떠한 직업 능력을 갖추게 할 수 있는지 제시하려고 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평가의 국어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평가문항들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직업기초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국어 평가 문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기초능력평가의 국어 문항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직업 상황에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음성과 문자 언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인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형태로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제된 문항은 의사소통 능력이 듣기, 읽기의 수용적 측면과 말하기, 쓰기의 전달적 측면에서 그 능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전제하고 각각의 영역을 정보인식, 정보탐색/확인, 추론/통합/조직화, 구현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 문항을 보면 의사소통능력은 이렇게 영역을 나누어 출제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평가틀에 맞지 않는 문항들도 발견되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 대한 균등한 문항 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읽기 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은 총체적 국어사용 능력이다. 직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모두와 연관되어있다. 따라서 직무 수행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언어 사용의 능력을 나누어 제시하는 것보다는 수용과 전달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문항의 수준을 보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고려를 제대로 하지 않은 문항들이 발견되었다. 문항의 질적 수준이 매우 떨어지는 기초적인 수준의 문항도 있었고 난이도가 매우 높은 문항도 발견되었다. 이는 각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업능력에 차이가 있어서 난이도를 다양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라고 분석되긴 하지만 고등학교 2학년에 한 번만 치러지는 직업기초능력평가에서 난이도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면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특성화 고등학교의 성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직무의 수준을 고려한 능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직업기초능력평가의 문제점은 첫째, 상황과 맥락이 고려되지 않은 한자어 능력에 대한 평가가 많아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 둘째, 국어지식 중심의 언어 능력 평가 문항이 많아 직업기초능력이 국어지식에 대한 능력으로 보인다는 것, 셋째, 읽기 중심의 평가 문항이 많아 의사소통의 모든 측면에 대한 평가가 되지 못한다는 점, 넷째, 평가 영역의 내용과 문항이 타당하지 않은 것이 보인다는 점이었다. 또한 문항의 제작과 실행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발견되었는데 우선 제작과정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평가방법이 컴퓨터 기반 시험이기에 낯설고 어려워 보일 수 있다는 점, 학교마다 실행하는 날짜가 다르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시스템 측면과 문항 제작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우선 시스템 측면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문항과 난이도를 개선하자는 것, 둘째, 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컴퓨터 기반 시험의 장점을 살려 복합양식의 문항이 출제되어야 한다는 것, 셋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영역을 균등하게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통합 문항이 출제될 수 있도록 평가틀을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항 제작의 측면은 특성화 고등학교의 성격에 맞는 다양한 직업 상황을 반영한 지문으로 구성하자는 것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편과 전공 교과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문항 제작을 개선사항으로 들 수 있다. 핵심 주제어: 직업기초능력평가, 특성화 고등학교, 국어교육, 직업문식성, 평가틀;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is designed to evaluate basic and common competencies in order to perform task in most workplaces successfully. The test reflects the opinion to assess abilities required by workplaces and to replace to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from previous “student assessment program” which is performed without distinction of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requested by school fields. Even though the curriculum at specialized high schools was different with general high schools and has its distinction in its education goal and learning time, it has not been established evaluation system only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conduct job training such as professional experience or to train talented individuals in specified areas for students who have similar talents, abilities and aptitudes. These days the rate of students who apply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has increased to get a job after learning professional skills suitable for individual’s abilities and aptitudes. However, current system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s inadequate to enhance employability skills required for working, and the student evaluation program has still many problems to be found in its initial stage. Thus, this research examine the basic and common competencies required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to perform their career successfully and suggest how to have professional skills in Korean education. Also, this paper detects problems by reviewing evaluating questions for Korean communication skills in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propose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assess employability skills precisely by Korean evaluation questions.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is basically set by questions for testing communication skills that understand and express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efficiently to perform task in various workplaces. In case of Korean question, these communication skills are differentiated in receptive aspects of listening and reading; in communicative aspects of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each area is evaluated by dividing into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confirmation, deduction/integration/systematization, and implementation (materialization). However, the questions are found which are not suitable for evaluation frame and raise a question whether theses area can be divided. Each area has not been evaluated equally, rather to evaluate focus on reading. Communication skills are abilities to use Korean language in general. Tasks in workplaces are related to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refore, it is better to evaluate collective abilities both in receptive and communicative aspects rather than separating communication skills within the context and circumstances of task. The levels of questions are not well considered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through low quality questions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is extremely low or high. Some perspectives analyze that various level of questions are consisted depending on the different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s; however,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which is performed by one-time test can put students to difficulties by facing extreme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Proper evaluation should be made by considering the level of tasks because the level of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s variou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The drawbacks of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are: first, communication skills cannot be evaluated properly because of numerous evaluations for Chinese character skills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 and context: second, employability skills seem to abilities for Korean knowledge because of various Korean language-oriented questions: third, communication skills are not evaluated comprehensively because of several reading-based questions; fourth, contents and questions of evaluations are inappropriate. In addition, several problems have been found in making and implementing questions: 1) feedback was not reflected in making process: 2) it appears to be unfamiliar and difficult because of computer-based test: 3) test schedule is different among schools. This paper suggest improvement plan by dividing two sections in terms of system and making questions. For improvements for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to set evaluation method with combined style by using strength of computer-based test: to develop questions to evaluate equally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to improve evaluation frame in order to make combined questions. At the same time, regarding making questions, it is important to form the text with diverse situations at the workplace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t is essential to make questions through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close cooperation with major subjects. Key Words: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Specialized high schools, Korean education, Job literacy, Evaluation fra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