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애-
dc.contributor.author신나리-
dc.creator신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70-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눈부신 과학기술이 가져다준 풍요로운 문명의 해택 속에서 자연은 인간의 무한한 욕구충족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했다. 무분별한 생태계 파괴와 다양한 생물의 감소는 물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자연 재해로 인해 인간의 삶까지 위협받고 있다.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미래사회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공존의 반려자로서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삶의 터전인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생물들의 소중함 및 존재의 가치를 깨닫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제도적인 출발은 제 4차 교육과정(1981~1987)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여려 교과 중에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는 공통적으로 환경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도모하여 환경의식 개선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김은실, 2006, 박수경, 2009). 이와 같은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내용적 특징은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83)가 주장하는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MI) 중에서 시·공간 세계를 인식하고 이러한 지각을 통해 사물이나 현상을 변형시키는 능력인 공간적 지능과 주변 자연현상과 생물에 대해 구분하고 분류하는 능력인 자연 탐구 지능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중에서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 및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개발하여 실제 학습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 향상 및 학습효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과 교과통합에 대한 이해와 유형 그리고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과와 과학교과 단원을 분석하고, 포가티(Fogarty, 1991)의 통합모형 중 공유형에 근거하여 교과 공통개념인‘조화로운 환경’을 중심으로 수업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 설계 및 차시별 지도안과 수업도구를 개발하였다. 다중지능발달 평가척도 도구로는 쉬어러(Shearer, 1996,1998)가 개발한 다중지능 척도 중 초등학생용 다중지능발달 평가척도(MIDAS-KIDS) 도구를 김양분·강계남·이은실(1998)이 번안한 것으로 본 연구에 필요한 공간적 지능(10문항)과 자연 탐구적 지능(13문항)영역에 대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현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실기평가 척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전 다중지능 검사(공간적 지능·자연 탐구적 지능)를 통해 동질성이 검증된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K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총 52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6명으로 구성하여 4주 동안 총 8차시(각 40분)에 걸쳐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교수법인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에 대한 각각의 단일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수업 전과 후에 실시한 다중지능 내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와 집단별 과학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검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고, 실기평가와 태도평가는 사전에 제작한 채점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관찰 및 기록을 통한 질적평가를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평가지 분석을 통해 수업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동기지속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받은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에 비해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 향상 및 학습효과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향상되어 나타났다. 둘째,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주변 환경과 생물의 조화로운 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창의적이고 독특한 표현활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셋째,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과학교과 학업성취도에서 통제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 자신감 및 생태계 보호에 대한 인식과 자연보호 참여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의 공간적 지능과 자연 탐구적 지능 향상과 학습효과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자기평가지를 분석한 결과‘만족도’,‘자신감’,‘동기지속’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주변 환경과 생물들에 대한 보존의식과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에 대한 정의적 측면의 사고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지능에 기초한 교과 간 통합수업을 통해 다중지능 향상 및 학습효과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증 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지능에 따른 다양한 교과 간 통합과 체계적인 교수-학습 연구 그리고 수업방식의 개발을 통해 교육의 양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교육으로 확대, 발전해 나가길 기대해 본다.;Today, in the benefit of prosperous civilization brilliant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rought about, nature fell as a means of satisfaction of unlimited human needs. Indiscriminate destruction of ecosystems, reduction of biodiversity, and natural disasters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threaten human life. For the future society we will live, pursuing for a harmonious life for men and nature as coexisting companions would be a important task. To cope with this actively, the role of education is of most important. Thus, specific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necessary to realiz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xistence of the ground of our livelihood,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nd organisms and seek for measures for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In South Kore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institutional st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1981~1987) and its importance gradually more emphasized through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of various subjects, Art and Science commonly have education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wareness by promoting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nature, based on cognit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content characteristics of Art and Science can be related to spatial intelligence, the faculty to perceive space-time world and transform objects and phenomena through this perception and naturalist intelligence, the faculty to distinguish and classify surrounding natural phenomena and organisms i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MI) Howard Gardner (1983) argues. Therefore, this researcher developed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program based on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i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carried out a study with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procedures and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program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apply it to the actual study site, so as to look into its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spatial intelligence, naturalist intelligence and learning effect. On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inquired into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 understanding and type of integration an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Art and Science-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ckground, it analyzed Art and Science units of elementary school grade 6, and based on share type in Fogarty(1991)'s integrated model, it reconstructed the class contents centering around 'harmonious environment' the common concept of the two subjects. Through this, it designed an integrated program based on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and developed teaching plan and teaching tools by class. As a screening tool,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AS-KIDS) developed by Shearer (1996, 1998) and adapted by Yang-bun Kim, Gae-Nam Kang and Eun-sil Lee (1998) was us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patial intelligence (10 questions) and naturalist intelligence (13 questions) for this study. In addition, referring to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for Art and Science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applied to learners in grade 6 of elementary school currently, practical skill assessment scales were prepa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2 students in two grade 6 classes in K. Elementary School in Ansan, Gyeonggi-do, whose homogeneity has been verified through an advance multiple intelligence test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composed (26 persons each), and eight experimental classes (40 minutes each) were carried out for four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applied while to the control group, a single class of Art and Science by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Pre- and post-tests on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and a test on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by group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fter statistical process, and qualitative assessments of practical skill and attitude were conducted through the researcher's observation and recording based on the grading criteria produced in advance. In addition, through the learners' self-evaluation analysis, interest in the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ity of motiva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is, its impacts on the learning effects,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of the learners'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were appli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 scores of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improv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showed in-depth understanding of harmonious relationship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organisms through creative and unique expressive activitie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showed higher scores in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showed higher interest, satisfaction, confidence in the class and awareness of ecological protection and nature protection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Art and Science-integrated program class based o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d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of learners in grade 6 of elementary school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their learning. In addition,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reactions in every aspect of ‘satisfaction’, ‘confidence’ and ‘motivation continuity’ as a result of a self-assessment.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i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awareness of conserv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organisms and affective thinking of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men and na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s in that it suggested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help develop and promote learning effects of multiple intelligence through integrated class between subjects based on a variety of intelligence learners have and verified its educational effect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udies on integrated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among a variety of subjects by intelligence will be carried out, the quality of education will be increas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nd expansion and development to whole-person education will b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다중지능 이론 4 1. 다중지능 이론의 개념 4 2. 다중지능 이론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11 B. 교과통합 13 1. 교과통합의 개념 13 2. 초등학교 미술-과학 교과통합 수업 18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및 절차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절차 25 B. 연구도구 27 1. 수업도구 27 2. 평가도구 65 C. 자료 처리 및 분석 7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3 A. 연구결과 73 1. 다중지능 발달 평가 73 2. 실기 평가 및 태도 평가 79 3. 과학 학업성취도 평가 91 4. 자기 평가 92 B. 논의 94 Ⅴ. 결론 97 참고문헌 100 부록목차 104 ABSTRACT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777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과통합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간적 지능·자연 탐구적 지능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Integrated Class Program based on H.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 Focused on Spati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dc.creator.othernameShin, Na Ri-
dc.format.pagexi,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