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7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분석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최수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언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유형의 분포를 살펴보고,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제1언어권별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을 조사하였고, 학습자의 언어권을 중국어권으로 통제한 후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에 따른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스타일 및 학습 전략의 구체적인 활용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내 언어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언어권에 따라 중국어, 영어, 일본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학습자 11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제1언어를 중국어로 통제한 학습자는 60명이었다. 학습 스타일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Oxford(1993a)의 Style Analysis Survey(SAS)를 이용하였고, 학습 전략을 위한 측정도구는 Oxford(1990)의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상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담 대상은 중국어권 학습자 가운데 성별과 숙달도, 학습목적 등이 각기 다른 학습자 3명을 선정하였다. 이는 중국어권 학습자로 언어권을 통제했을 때, 구체적 변인에 따라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활용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 스타일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제1언어에 따라 시각형, 청각형, 개방형, 전체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제1언어에 따른 차별화된 한국어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에 따른 학습 스타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습목적, 숙달도에 따라 학습 스타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한국어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학습 전략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언어권별 학습자가 인지전략, 정의적 전략의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제1언어에 따른 차별화된 한국어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에 따른 학습 전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습목적, 숙달도에 따라 학습 전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언어 학습 전략의 활용을 위해 개인차 변인에 따라 적절한 학습 전략의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학습 스타일 유형과 학습 전략의 유형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질적 면담을 통해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이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영역에 따라 각기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학습자의 성향과 수강하는 언어교육기관의 스타일 및 교수 방법이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관찰이나 사고구술, 회상보고, 회상일지, 학급 토론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 스타일 및 학습 전략의 지도 효과에 대한 연구와 학습 스타일 및 학습 전략의 지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한국어 학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맞는 연구 도구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aimed to look at the distribution in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To that end, the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by the first language was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fter controlling the learner’s linguistic area to Chines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by th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was analyzed. Besides,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strategy, specific practical uses of learning style and strategy appearing i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139 learners using Chinese, English and Japanese as their first language who were attending a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in Seoul. There were 60 learners who controlled their first language to Chinese. For analysis of learning styles, Oxford’s (1993a) Style Analysis Survey (SAS) was used, and for learning strategy, Oxford’s (1990)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 was used as measuring instrument.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1, while conducting post-hoc test in cas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sid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to look into specific aspects of practical use. For interview, three learners with each in different gender, proficiency, learning purpose, etc. were selected among learners from Chinese speaking countries. This was done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would appear in learning style and strategy in practical use by specific variables when language area is controlled to learners from Chinese speaking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ing sty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uditory, openness-oriented and global styles by the first langu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uch result indicat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should be made in differentiation by the first language of learners. Beside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by th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on the subjects of learners from Chinese speaking countrie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ender, age, learning purpose and proficiency. This means that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should consider the variables of th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y and affective strategy of learners by the language area. Such result emphasizes the need for differentiated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by the learner’s first language.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by individual difference on the subject of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are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learning strategy by their gender, age, learning purpose and proficiency. Such result indicates there should be a proper guide on learning strategy by individual difference for practical use of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y. Beside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this study proved there is generally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learning styles and strategy styles. Also, through a qualitative interview to learn about specific aspects told that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etween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Also, by the area of speaking, hearing, reading and writing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one’s preferred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can vary with a close association between learners’ propensity and the style and teaching method of the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 he attends. Based on this study, there must be researches made using diverse methods of investigation including observation, think-aloud, retrospective report, retrospective journals, class discussion, etc. which will tell the aspects of actual learning style and strategy appearing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 is a need for study on the effect of guiding learning style and strategy and developing diverse programs for guiding these. Furthermore, there should be follow-ups to develop the study tools suited for the specific situation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