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moting Multicultur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ies
Authors
양인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대한 논의를 확대시킨 주된 요인은 국제결혼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2012년에는 결혼이민자가 148,498명에 달하고 있으며 그 중 여성이 85.9%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결혼이민자는 언어와 경제, 사회적 차이와 문화 이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대다수의 여성결혼이민자가 여기에서 오는 정보 격차와 사회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은 모든 주민의 알권리와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는 공간으로서 새로운 정보소외계층으로 부각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의 계획·운영·개발에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반영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 연구, 사례조사 및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개념과 특성,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 서비스의 의의, UNESCO와 IFLA의 『다문화도서관선언』(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 2008)과 IFLA의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Multicultural Communiti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3rd edition 2009)을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조사는 대상 선정을 위하여 IFLA의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에서 국제적인 우수 실천사례로 제시한 총 9개의 공공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연합 중 이메일 조사에 응답해준 최종 5개의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사례조사 대상 도서관은 캐나다 토론토 공공도서관, 덴마크 코펜하겐 공공도서관, 노르웨이 오슬로 공공도서관, 미국 뉴욕 공공도서관, 호주 퀸즈랜드 주립도서관을 선정하였다. 각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문헌조사와 선행 연구 및 지침을 바탕으로 제시한 4가지 다문화서비스 유형인 자료 서비스, 정보 서비스, 프로그램 서비스, 기타로 나누어 그 방법 및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현황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의 ‘2014년 다문화도서관 조성 및 프로그램 지원 사업’을 통해 서비스 운영 예산을 지원받은 총 103개의 도서관의 홈페이지와 전화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홈페이지 조사와 전화 조사 결과 현재 다문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총 96개관으로 확인되었다. 전화면담 이후 설문에 응답하기로 한 총 65개관의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 68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28일부터 2014년 5월 9일까지 이메일 발송을 통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42건(61.8%)을 응답받았다.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설문조사를 위해 서울 소재 23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다문화 마을 특구로 지정된 안산시 외국인 주민센터, 주민센터 내에 설치된 안산 다문화 작은 도서관, 서울시 최초로 개관한 다문화도서관인 성북 다문화도서관에 방문 조사를 요청하였다. 그 결과 방문 조사를 허가한 안산시 외국인 주민센터, 안산 다문화 작은 도서관, 성북 다문화도서관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안산시의 외국인 주민센터에서 제공되는 한국어 교실 중급반, 고급반 수강생 45명 중 여성결혼이민자 33명, 안산시 외국인 주민센터와 안산 다문화 작은 도서관의 이용자 중 여성결혼이민자 22명과 성북다문화도서관의 이용자 중 여성결혼이민자 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74부를 회수한 후, 최종 분석에 총 69부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 응답자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사서 응답자의 90.5%가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 응답자 중 한국의 도서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는 50.7%로 나타났으며, 자료 대출 및 열람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었다. 또한 도서관에 방문 미경험자 중 29.3%가 도서관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잘 모르며, 도서관이 있는지를 몰랐다고 응답하여 더욱 적극적인 홍보 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언어 자료에 대해서는 사서와 여성결혼이민자 모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고, 여성결혼이민자는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이용 시 장애요인으로 모국어로 된 볼만한 책이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인적 자원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봉사 및 사회활동 참여 기회 제공 및 결혼이주여성 다문화서비스 전문인력에 대해 여성결혼이민자 응답자보다 사서 응답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 마련에 대해 결혼이민자 응답자보다 사서 응답자가 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여섯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운영 및 내용 요소의 개선 사항과 관련,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적 특성과 흥미가 반영된 프로그램의 기획, 교육 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 여성결혼이민자의 요구가 반영된 진행 시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국외 사례조사와 국내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운영 및 내용 요소와 환경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고자 한다. 운영 및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을 다양화해야 한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 교육에 가장 관심이 많으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흥미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타 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여 같은 지역사회 내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관련 기관과의 중복되는 사업을 자제하고, 가급적 도서관이라는 정체성을 토대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정보제공 서비스를 확대하여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에 정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와 생활정보가 필요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지역사회조사가 필요하다. 환경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언어 자료 서비스의 확대를 위해 지역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인구통계학적 측면의 자료와 특징을 연구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언어 장서와 외국어와 한국어, 이중 언어로 번역된 장서를 구비하여야 한다. 둘째,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해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전담 사서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관련 직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를 도서관의 시간제 직원이나 공공근로 등으로 채용하여 일자리를 제공하여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여성결혼이민자는 자국인 직원을 통하여 모국에서처럼 편안하게 도서관 이용에 대한 도움을 얻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적극적인 홍보를 하기 위해 각 나라의 상징물을 이용한 안내판과 환영 문구를 눈에 띄는 곳에 설치하여 여성결혼이민자를 도서관으로 직접 이끌어야 한다. 넷째, 국내 공공도서관의 실정에 맞는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징은 한국인 남성과 여성결혼이민자로 이루어진 국제결혼가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특히 여성결혼이민자가 정보소외의 상태에 놓이기 쉽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다문화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설계할 때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요구를 연구하여 이들을 위한 지침을 별도로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국외 사례와 국내 현황 및 여성결혼이민자의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다문화서비스의 계획․운영․개발에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반영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더불어 앞으로 다문화서비스에 관한 연구의 발전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The main element expanding the discussion of Korea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As of 2012,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amounted to 148,498 with the number of women occupying 85.9%. Suc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cultural sense of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s in language, economy and society and experiences social inequality and information gap. A public library guarantees right-to-know and information access for citizens and has the obligation of providing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emerging as the new information minority group.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direction which should be continuously reflected in the planning,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Literature research, example survey and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to propose revitalization measures for multicultur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ies. Firstly, with literature research, examinations of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married immigrant women and of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servic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y and of 『multicultural library announcement』 by IFLA of UNESCO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guide line』 (2009) by IFLA were investigated. To select subjects for foreign case investigation, five public library were finally chosen which responded to email investigation during a total of nine public library and public library cooperation which were proposed as the outstanding international practice examples by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guide line』 by IFLA. Example investigation subjects comprise the Toronto public library, the Copenhagen public library, the Oslo public library, NewYork public library, and the Queensland state librar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dvanced research and guidance on the multicultural service by each library, the method and contents of the four multicultural service types which are divided into data service, information service, program service were investigated and were compared comprehensively. For domestic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a total of 103 library were investigated by library homepage and phone calls which were supported with service operation budget by '2014 multicultural library establishment and program support business' from the library information policy planning group i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ccording to the homepage and phone call investigation, a total of 96 public libraries provided multicultural services currently. Based on the 68 people of the multicultural service librarian who were supposed to respond to the survey after the phone call interview, an online survey was implemented by email dispatch from April 28th 2014 to May 9th 2014 and responses were given for 42(61.8%) cases. To conduct a surve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visit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for 23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the foreign citizen center designated as a multicultural village special zone in Ansan-si and the Ansan little multicultural library established in a citizen center and the Seoungbuk multicultural library which is launched as the first multicultural library in Seoul city. As a result, the foreign citizen center in Ansan, the Ansan little multicultural library and the Seoungbuk multicultural library was finally chosen which accepted the visiting researches. Out of the 45 attende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intermediate and high level which were provided in the foreign citizen center in Ansan, 33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chosen. Out of the attendees in the Ansan little multicultural library, 22 married immigrant women, and out of the attendees in the Seoungbul multicultural library, 19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chosen for the survey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74 of them were collected. 69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ly, positive response was shown by the librarian respondents in terms of the necessity for multicultur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90.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an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as demanded. Secondly, the number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users who visited korean library turned out to be 50.7% and they visit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and in material lending and perusing. Also 29.3% of the non library visitors responded they had no idea about what this library does and answered they were not aware of its existence, pointing out the necessity of more active publicity activities. Thirdly, highly positive responses were drawn for the librarians an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erms of the multilingual material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mainly had an opinion that there are no book which can be read in their mother tongue which is the obstructive factor in using the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Fourth, rather tha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he librarian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 professional labor force for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of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wome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and social activities as a labor force for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ifthly, in terms of establishing a guide line for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age immigrant female in public libraries, the librarian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marriage immigrant respondents. Sixthly, in relation with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and content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planning programs which reflects the lingual characteristics and interest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versatility of education programs and passage time reflecting the need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above domestic and foreign case research, a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measur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ies is made which are divided into content element and environmental element. In terms of the operation and content elements, firstly, the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diversifie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high interest in child education so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interest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Secondly, overlapping businesses employed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same region by expanding the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 should be regulated and if possible,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run based on the identity as a library. Thirdly, various information and life information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settle in Korean is demanded by expanding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Fourth, regional society research is demande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erms of environmental elements, firstly, based on the results which investigate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from a demographic perspective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regions to expand multi lingual material service, libraries comprising multi languages, foreign languages, korean language and bilingual should be prepared. Secondly, expansion in the number of librarians with exclusive charge on the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s demanded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s. For this, staff training associated with the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implemented. Also providing job by employi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or a part-time job and public work in libraries, aids should be given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settle in Korea an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given help in using libraries comfortably, just like using libraries in their home land as libraries employ native people as staffs. Thirdly, even if married immigrant women do not comprehend Korean language, direction boards and welcome expressions should be installed in noticeable areas which use symbols of each country for active publicity to lead them to libraries directly. Fourth, a guide line for the multicultur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public library should be se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s that a multicultural family usually consist of korean male and marriage immigrant female. So married immigrant women is left in a status of information alienation. Considering this, a separate guidance should be set for them, investigating the dema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en planning the guideline for multicultural servic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deman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 foreign and domestic present conditions and cases for the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ere investigated. Reflecting the deducted results based on these, a proposal for revitalization measures for the multicultural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y was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