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at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Authors
신인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Due to advances in medicine and consumerism, health information has been spread from health service provider to health service consumer. Therefore,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which is health information written in plain language for general public has become important. Due to this trend, there is a huge and varied supply of CHI provided through myriad sources but often it is not authoritative. So, public libraries has been required to link users to quality health information in appropriate formats. To go along with this demand,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of CHI services for domestic public libraries, and to suggest how to activat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uture public libraries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foreign case study and 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 on CHI service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various definitions of the CHI service were searched to study features, types, and the necessity of CHI service. And guidelines related to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were also examined. Second, on foreign case study, 6 public libraries from Members Directory 2013 by National Network of Libraries of Medicine of the U.S.(NNLM) were targeted. Six public libraries are County of Los Angeles Public Library(CLAPL), New York State Library(NYSL), Crandall Public Library(CPL), Queensborough Public Library(QBPL), Saratoga Springs Public Library(SSPL) and Las Vegas Clark County Library District(LVCCLD). CHI service of each librar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en types such as facility, human resource, cooperation, guideline, promotion and evaluation, collection, reference servic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homepage and social network service, program, outreach service.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hird, status of the CHI service by domestic public librarie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select subject libraries, 『2013 National Public Library List』 provid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i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tilized. Among 843 public libraries, 85 children libraries and 43 branch libraries were excluded. In order to find public libraries that were providing CHI service, homepage and telephone survey were conducted on 600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ly 180 public libraries responded that they were providing CHI service. Total 150 public librarians in charge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accepted responding to survey. It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3th to November 27th by online and 86 questionnaires(57.3%) were responded. For the research of the CHI demand by users, survey was conducted in 3 of the public libraries among 86 public libraries which responded to survey for libraria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8th, 2013 to 27th November 27th, 2013 and total 18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n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survey of librarians and users, the activation method of CHI service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by dividing it into development of operational resource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based on such survey are as following. First, in operational elements, improvement of facilitie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expansion of cooperation, development of CHI service guideline and improvement of promotion and evaluation were suggested. Second, to improve information service on CHI, expan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improvement of reference service, provision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homepage and social network service, improvement of user program and outreach service were suggested. The activation methods for CHI service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help domestic public libraries that need to start or improve CHI service. Also, the activation methods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continous study on CHI servic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소비자주의의 영향으로 의료소비자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건강정보의 이용이 보건의료 제공자 중심에서 의료소비자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일반인을 위한 평이한 언어로 쓰인 건강정보인 소비자건강정보의 생산과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삶의 질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소비자건강정보를 이용자 스스로 수집하고 판단하여 이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공공도서관은 정보서비스를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공기관으로서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는 원활하게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연구,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소비자건강정보의 개념과 특성,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에 대한 개념 및 유형과 필요성 그리고 관련 지침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 조사는 미국 의학도서관협력협회(National Network of Libraries of Medicine, 이하 NNLM)가 홈페이지에 게시한 NNLM Memebers Directory(2013)를 바탕으로 하였다. 여기에 정회원으로 보고한 1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응답해준 최종 6개관의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6개관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공공도서관, 뉴욕주립도서관, 크랜달 공공도서관, 퀸즈버로우 공공도서관, 사라토가 스프링스 도서관, 라스베가스 클락 카운티 도서관이다. 선정된 6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시설, 인력, 협력, 지침, 홍보 및 평가의 운영자원과 장서, 참고면담, 전용홈페이지 및 SNS, 프로그램,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의 정보서비스로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현황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3년 전국 공공도서관 명단』의 정보를 이용하였다. 총 843개 공공도서관 중 어린이도서관 85개관과 분관 43개관을 제외한 일반 공공도서관 715개관을 대상으로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제공 유무에 대해 홈페이지 조사하였다. 홈페이지상 의학주제 장서를 소장하고 있거나 건강정보 관련 게시물이 있는 569개관과 홈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31개관인 총 600개관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180개관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요청하였으며 이메일을 제공해준 총 150개관을 최종적으로 사서대상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서대상 온라인설문은 총 150개관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13일부터 2013년 11월 2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최종 응답은 총 86부(57.3%)을 받았다.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이용자 요구조사는 사서대상 설문에 응답해준 86개관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요청하였다. 그 결과 방문조사를 허가한 3개관(강동도서관, 도봉정보문화센터, 마포평생학습관)을 직접 방문 한 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용자 설문은 2013년 11월 18일부터 27일까지 3개의 공공도서관에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7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국내 현황조사와 이용자 요구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은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와 관련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지 않았으며, 이용자 조사에서는 혈압, 체중, 체지방 등을 체크할 수 있는 간단한 의료기구의 비치는 희망하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둘째,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전담인력을 갖추고 있는 도서관은 3.5%에 불과했으며,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운영을 위한 정보 및 재교육프로그램의 부족을 15.1%의 응답자가 서비스 운영 장애 요인으로 선택했다.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운영을 위한 정보 및 재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하고 있는 도서관은 10.5%에 불과했지만,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4.53의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어서,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원 구축 현황은 단행본과 인쇄저널이 67.2%로 과반수 이상으로, 전자정보원 구축은 미흡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건강정보 주제의 장서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사서응답자는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용자 요구조사에서 다양한 장서 확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건강정보 주제의 참고서비스를 현재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 응답자는 11.6%에 불과했으나 사서대상 조사 결과 소비자건강정보 전용 참고봉사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여섯째, 소비자건강정보 주제의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 응답자는 14.0%에 불과했으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에 의하면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일곱째,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 응답자는 8.6%에 불과했으나 소비자건강정보 주제의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여덟째,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홍보 방법으로는 홈페이지와 게시판을 통한 홍보만 조사되었다. 또한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장애 요인으로 홍보 부족이 16.7%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적극적인 홍보 방안 모색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이상의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조사, 이용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운영자원 개발과 정보 서비스 확대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운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의 시설자원 개선을 위해 소비자건강정보 전용자료실을 제공해야하며, 건강관련 편의시설을 마련해야한다. 둘째,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소비자건강정보 및 건강정보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의 계획·운영·평가 활동이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소비자건강전문사서를 양성하기 위해 정규교육과정 및 사서 재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의료기관, 대학도서관, 타 지역의 공공도서관 등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예산절감 효과와 더불어 더욱 풍성한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지침을 마련하여 기본적인 서비스 운영 방안에 대해 제공해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특성에 맞추어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계획·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이용자가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하며,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 정보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적 특성 및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반영하여 소비자건강정보 주제의 장서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인쇄매체 뿐 만 아니라, 시청각자료, 온라인 정보원 등 다양한 정보원이 고려되어야한다. 둘째, 소비자건강정보 접근점의 확대는 소비자건강정보 전용 홈페이지의 운영과 더불어 모바일 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건강주제의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의 기획·개발·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정보서비스는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필수적인 건강정보 서비스로 인식되어야하며, 이용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참고정보원의 개발과 더불어 온·오프라인에서의 적극적인 참고봉사가 이루어져야한다. 다섯째, 건강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는 건강정보의 균형을 위해 반드시 제공되어야하며, 그 대상으로는 고령자, 이주민, 장애인 등 다양한 정보취약계층을 포함해야하며, 이들의 건강정보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에 대한 국외 사례와 국내 현황 및 이용자의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