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국내 포털사이트를 매개로 한 선거보도뉴스의 채택 프레임 평가

Title
국내 포털사이트를 매개로 한 선거보도뉴스의 채택 프레임 평가
Other Titles
The Selection-Frame Evaluation of Election News through Korean Portal Sites as the Media : Focusing on the Media Coverage of 18th President Election Selected in Portal, NAVER.
Authors
김소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건호
Abstract
선거 보도에 있어서 언론의 역할은 강력하다. 유권자들은 선거와 관련된 정보를 미디어를 통해 얻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거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은 유권자의 선거에 대한 인식과 평가, 투표행위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언론의 선거보도 행태에 대한 부분은 선거 때마다 비판 받고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 받고 있다. 미디어 환경과 수용자의 뉴스소비 역시 지속적으로 변화했지만, 선거보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매번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매체 환경과 뉴스 소비 행태 변화의 중심에는 포털 미디어와 수용자가 있다. 뉴스 편집권과 여론형성력 등으로 인한 영향력 확대로 포털사이트는 미디어 시장의 주요 축으로 부상했고, 이용자의 뉴스 소비 행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국내 이용자의 70% 이상이 포털 사이트를 통한 뉴스 소비를 하고 있었고, 기존 언론의 영향력은 약화되고, 포털과 언론간의 긴장관계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용자는 뉴스를 선택할 때 언론사보다 본인의 관심을 더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동안 선거보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요소들은 이미 수용자들에게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선거보도 평가기준 역시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거에 있어 가장 큰 정치 이벤트라고 볼 수 있는 18대 대선 보도뉴스를 중심으로 포털사이트의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여 선거보도의 새로운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포털사이트와 이용자가 채택한 뉴스의 바람직성을 평가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새로운 선거보도 평가 프레임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선호와 포털의 채택 경향 및 바람직성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의적으로도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는 크게 1) 선거보도 뉴스 채택 유형, 2) 선거보도를 제공하는 매체 유형에 따라 선거보도 프레임 요소들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자 했다. 측정을 위해서 국내 대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했고, <네이버>에서 제공되었던 18대 대선 관련 보도를 포털이 채택한 뉴스인 ‘정치 홈 뉴스’, ‘분야별 주요뉴스’ 이용자가 채택한 뉴스인 ‘많이 본 뉴스’를 통해 수집, 기사 헤드라인을 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양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채택 유형에 따른 선거보도 프레임 분석 결과 이용자와 포털이 채택한 뉴스 모두 바람직하지 못한 프레임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 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용자가 포털사이트의 채택보다 더 높은 비중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뉴스를 채택하고 있었다. 즉, 포털의 채택경향과 이용자의 채택 경향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며, 이용자가 더 선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포털 채택 뉴스와 이용자 채택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분석했다. 포털 채택 뉴스의 경우 포털에 뉴스를 제공하는 신문, 방송, 통신사, 인터넷 언론 중 방송이 가장 바람직한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고, 통신사가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뉴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반면, 이용자 채택 뉴스가 매체 유형에 따른 프레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점은 이용자가 뉴스를 채택하는데 매체유형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용자의 선호 이슈, 특성에 따라 뉴스가 선택된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포털이 채택유형, 매체유형과 상관없이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보도를 더 많이 제공하고 있지만 바람직한 요소를 추구하는 경향은 포털사이트가 더 강했고, 이용자는 바람직하지 않은 뉴스를 더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포털의 뉴스채택은 매체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이용자의 뉴스채택에는 매체 유형이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용자가 언론과 포털사이트의 채택보다 더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보도를 채택했다는 점은 앞으로 국내 선거 관련 보도와 포털 사이트의 헤드라인 채택이 해설과 검증, 배경 설명이 더해진 객관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조심스럽게 유추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권력의 축이 된 포털사이트 뉴스와 선거보도 뉴스 평가의 새로운 프레임에 초점을 맞춰 한국의 선거보도 영역 내에서 새로운 평가 기준 제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용자가 많이 선택하는 선거보도 뉴스를 분석한 초반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뉴미디어와 선거보도의 바람직성에 대한 논의가 조금 더 다양한 매체와 이슈를 대상으로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The media plays a very influential role in election report because there is a higher tendency that voters get the information on the candidate or election related issues through media. However, Korean media's election broadcasting manner has been the pointed out part for further criticism and improvement during every election time. Furthermore despite the changes in the atmosphere of the media and consumer's media consumption form, evaluation on election report standard constantly shows very similar aspects. There are portal media and user at the center of such media atmosphere and news consumption manner changes. Due to the expansion on the influences of news editorial rights and formations power of the public opinion, portal sites surfaced to be the major axis in the media market. Portal site users' consumption manner on news also brought changes in that the users put their interests in the higher position than the press when choosing the news. Also, because the main factors that has been seen as the problems of election reports became already familiar and important consideration factors, the voices arguing for the changes in evaluation standards for election report has been getting higher. Therefore, this study first decided to analyze the portal site's news frame with the main focus o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report, perhaps the biggest political event, and provide the new evaluation standard for election report. After then, I tried to verify the desirability of the news selected by the users and the Portal sites. Through such procedures, we not only intended to provide the new evaluation frame for the election report, but also provide desirable paradigms for election news selection. And this was thought to b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on presidential election report that would be continu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new media's selection manner and possible predictions on the media's news desirability. The study generally wanted to investigate on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on election news frame according to the selection type of election news and the type of media providing election report. For the investigation, we used one of the major domestic portal site, NAVER as the analysis subject. Then, we also choose the "political home news," "sectional major news" sections by the Portal and "most-read news" by the users as the analysis units for further qualitative results. Firs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selection types of election news frame, it was found that users' selection and the portal's selection were not desirable frames. However, when the differences were observed, it was found that what the users chose on their own were much higher in undesirable news selection than that of the Portal. This is the result of the media and portal sites' leading the users to very sensual area, conflicting with the prior study arguing for the improvement on the report for the users. In other words, Portal's selection result and user's selection result totally vary, and users tend to be more lascivious. Then we analysed the differences in portal's selection in news and user's selection in news according to different media types. In portal's selection case, among newspaper, broadcasting, press agency, internet press, broadcasting used the most desirable frame, while press agency provided with the least desirable news. Also, among selected news by the users, there was no meaning in evaluating the desirability according to media types for the users' selecting news is not much influenced by the type of the media but rather users' issue in favor. As a result, the fact that users are very undesirable in choosing the election news compared to the press and Portal site urges that in further domestic election related news, there needs to be more int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Also, this also is the counter evidence that it is hard to improve into the desirable area when clicking the headline of the news is not very objective. This study confirms the possibility in new evaluation process in Korean election news range where it is currently more based on traditional ways through focusing on the Portal site news that has become the major axis of the media's authority. Through study as this,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dealing with more various media and issue on the desirability of new media and election re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