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국어과 교과서 읽기 단원 텍스트 복잡도의 과제 요인 상세화 연구

Title
국어과 교과서 읽기 단원 텍스트 복잡도의 과제 요인 상세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aborating Task Factors Reading Text Complexity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uthors
김도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Text complexity, the assessment of text difficulty, enable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terial for each grade level and contributes to cognitive development by connecting with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produce an adequate reading content. This effectively helps students reach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greatly enhancing their learning achievements; furthermor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enabling by-level teaching-learning in not only reading education but also in general education. But until now, research on text complexity has been centered on readability studies that take only text factors into accou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extbook text complexity of the process of learning to read, which takes place through learning activities, with solely textbook text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of textbook text complexity, text complexity analysis, with task factor taken into account, should be executed. In this study, the goal is to elaborate task factor among the configuration factors of text complexity. Therefore, I review previous research on text complexity to determine the need for research on task factor and elaborate on it to search for ways to apply the information to text complexity. Because the study on text complexity was restrictively centered on CCSS, research on text level was examined comprehensively.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research on the task of general language education, I re-conceptualized the task and through this restructured the text complexity model, which considers task factor. By forging a task factor model, which consists of language complexity, cognitive demand, and task performance conditions, and initia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 secured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lso, becau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reading uni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verification on step-by-step learning activities is necessary. Consequently, I additionally analyzed students’ perceptions and effects on step-by-step reading activities by configuring survey questions. Based on this, I provided a standard for text complexity task factor and applied it to the duplicate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reading unit. As a result, from the text complexity measurement, task factor appeared to be supplementing a large part of the limits of text factor. This study explored ways to apply task factor to the text complexity study that had been centered on best facto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s raises the necessity for task factor studies and moreover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text complexity studies. If, considering task factor, I make the text complexity formula more detailed, I will be able to obtain a more adequate result when determining text level. This will be able to contribute an objective standard in composing a learning activity based on text from textbook development or achievement level. Furthermore, it will provide the text appropriate to the learner’s reading level, which will help enhance the learner’s reading abilities.;텍스트 복잡도는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함으로써, 학생들의 학년별 수준에 적절한 읽기 텍스트를 선정하도록 돕는다. 나아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인지 발달에 알맞은 읽기 교육 내용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증진시켜 효과적으로 성취기준에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읽기 교육뿐 아니라 교육 전반의 수준별 교수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그동안 텍스트 복잡도 연구는 텍스트 요인만을 고려한 이독성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텍스트 요인만으로는 읽기 학습 과정에서의 텍스트 복잡도를 분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과서 텍스트 복잡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읽기 과정에 유관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복잡도 분석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과제 요인을 상세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과제 요인을 고려하여 교과서 텍스트의 복잡도를 분석한다면 텍스트 수준을 판단하는 데 좀 더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I장에서는 과제 요인을 상세화하기에 앞서 텍스트 복잡도와 과제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 복잡도의 과제 요인 상세화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텍스트 복잡도와 과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텍스트 수준에 대한 연구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과제 요인을 고려한 텍스트 복잡도 모형을 재구조화하였다. 또한 과제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국어교육의 실정에 맞추어 과제 요인을 재개념화하였다. III장에서는 텍스트 복잡도에 영향을 주는 과제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과제 요인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였다. 과제 요인 모형은 II장에서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읽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 요인을 추정하여 과제의 언어적 복잡도, 과제의 인지적 수준, 과제 수행 조건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요인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국어과 교과서의 읽기 단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단계별 학습 활동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읽기 전-중-후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과제 요인을 고려한 텍스트 복잡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제 요인은 III장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된 하위 범주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복잡도 분석에 앞서 과제 요인을 교과서 텍스트 복잡도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 읽기 단원의 학년군간 중복 제재를 선정하여 텍스트 복잡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과제 요인이 기존의 텍스트 복잡도 모형을 상당 부분 보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텍스트 복잡도에서 과제 요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아가 텍스트 복잡도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교과서 개발에서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성취 수준에 의거한 학습 활동을 구안하는 데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학습자의 읽기 수준에 알맞은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