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2 Download: 0

영·정조대 공문서 위조의 실태와 정부의 대응

Title
영·정조대 공문서 위조의 실태와 정부의 대응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gery of Official Docum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ungjo and King Jeongjo
Authors
조은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옥경
Abstract
As official document forgery had gradually increased in the late Choson period, the number of the forgery cases reached its pinnacl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The reason the antisocial crime soared during this period was that the societal changes were very active at this time which brought out some negative phenomenons at the same time. Also, it was caused by the government intending to strengthen political and legal systems which turned out finding out a a number of crimes. The official document forgery was a result of commoners’ desire for exemption of labor service and upward mobility, and a pursuit of financial benefits. Yangin (良人, the class of commoners) hoping to have noblemen's privileges tried to obtain the privileges through legal ways such as Napsok (納粟, a way to be a commoner, have exemption of labor service or secure a government position after offering cereal crops to the government to support financial problems and aid projects) or passing Gwageo (科擧, state examination), or illegal ways to forge family register or genealogy. In the period, the official forge was also a similar crime aspect to them. Gongmyeongcheop(空名帖) was an authorized document the government legalized to trade among papers related to status. Thus, cases to forge and sell documents supposed to trade were prevalent. The objects of Napsok had been changed into rich class to reduce over issued Gongmyeongcheop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it caused to increase the price of Gongmyeongcheop, which resulted in that people purchased less expensive forged documents. When it comes to Gwageo, Hongpae (紅牌: scarlet certificate of the national examination), a state examination certificate, was also consistently forged with constant harmful effects of the past. Official documents were forg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People from all different walks of life committed the crime in the period. It indicates that official document forge was rampant in the society but in general, not upper classes such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but lower classes committed the crime. They tended to forge and trade documents related to status including Hongpae and Gongmyeongcheop. In particular, a sudden increase of great seal forge implies that forging status documents soared. In terms of Yiseo class (吏胥, official clerks), mainly, Gyeongajeon (京衙前, clerks in central government offices) took part in document forge. They dealt with document forge involved with assigned work. Seori (書吏, petty official) in Yijo (吏曹, Ministry of Personnel) and Byeongjo (兵曹, the Ministry of War) forged certificates including an appointment certificate. While they had forged a number of documents for a long time, they committed the crime with a request during military service or labor, or after retirement as a mean to earn money. Besides, Seori from each government office such as Jangyewon(掌隷院), Ho-jo(戶曹) and Hanseongbu(漢城府) committed the crime, document forge. It was caused by them to manage general administration and it brought out the illegal action. Not only a process to write a paper and carve seal but also baseline funds to make products were required to forge documents. The fake documents through the process were traded through mediation throughout the nation. The countryside came to Hansung (漢城, the capital of Joseon Dynasty) to obtain the forged documents or brokers went to all places to sell them after forging them in Hansung. It is because information and manpower converged on Hansung in the period. It is why the brokers' role was significant and several people not just one or two were implicated in the crime after mediation. The government could not help but take measures to control the document forge prevailing in the period. The government reformed the document systems and criminal law. They aimed to organize systems and invoke the law according to current state of the society. Ruling on the forgery, nevertheless, did not follow the contents of the written law. Even though the forge was a capital offense, generally death penalty decreased and commutation occurred. Second conviction rate rose due to the commutation but it showed the government's attempt to build the root and establish fundamental principles rather than punishing and suppressing the criminals through severe punishment. It was also a try to draw respect and obedience towards authority through lighter penalty, reabsorb the criminals in the system and solve the social conflicts smoothly when the king had absolute authority.;공문서는 국가 또는 국왕이 권위를 통해 내용의 신빙성을 증명한 문서이다. 이와 같은 증명은 국왕의 어보와 관청의 인신 등 인장을 통하여 상징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공문서의 위조는 공권력을 사칭해 문서를 작성·변조하는 행위로, 반사회적 불법행위일 뿐만 아니라 국가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까지 해석될 수 있는 것이었다. 조선 후기 공문서 위조 범죄는 차츰 증가하다가 영·정조대 최고치에 달했다. 영·정조대에 공문서 위조 범죄는 免役과 신분상승 욕구,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현상 때문에 발생하였다. 당시 양반의 특권을 누리고 싶어 하던 良人들은 納粟, 과거 합격 도모 등 합법적인 경로와 호적·족보의 위조 등 비합법적인 경로로 특권을 얻고자 하였다. 공문서 위조 또한 이 과정에서 등장한 범죄 양상이었던 것이다. 당시 空名帖은 신분과 관련한 문서 중 국가에서 매매를 합법화한 문서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매매 대상이 된 문서를 위조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점차 속출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조대에는 이전 시기 공명첩의 남발 현상을 줄이고자, 납속의 대상을 부민층 중심으로 바꾸었고, 이에 따라 공명첩의 가격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가격이 저렴한 위조 문서를 구입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또 科擧와 관련해서도 그 합격증인 紅牌의 위조 역시 계속 발생하였다.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공문서를 위조하는 경우도 확인되었다. 당시 공문서의 위조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저지르고 있었다. 이는 문서 위조가 사회적으로 만연한 행위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고위관직자 등 상위 계층의 범죄가 아니라 주로 그 이하의 계층이 주체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은 주로 홍패와 공명첩 등 신분 관련 문서를 위조·매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吏胥層의 경우에는 京衙前들의 문서 위조 행태가 특징적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담당 업무와 관련한 문서의 위조를 주로 하였다. 이조와 병조의 서리는 告身 등 첩문을 위조하였다. 이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다수의 문서를 위조하고 있었는데, 입역 기간에 청탁을 받아 일을 도모하거나, 퇴역 후에 돈벌이 수단으로 삼아 위조 행위를 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장례원, 호조, 한성부 등 각 관아의 서리들이 문서 위조라는 범죄를 저지르고 있었다. 이는 서리들이 행정 전반을 맡아 처리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그 과정에서 부정 현상이 파생된 것이다. 문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글을 작성하고 印章을 조각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상품을 만들기 위한 기본 자금도 필요했다. 또 만들어진 문서는 주로 중개를 통해 각처에 매매되었다. 한성에 올라와 지방민들이 문서를 구하는 경우가 있었고, 한성에서 문서를 만들어 중개인이 경향 각처에 판매하러 다니기도 하였다. 이는 당시 한성에 정보와 인력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개인들의 역할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으며, 한 두 명이 아닌 여러 명이 문서를 거간하다가 연루되기도 했던 것이다. 당시 성행했던 문서 위조에 대해 중앙정부는 대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국가에서는 문서의 제도를 다시 바로잡고, 형법의 정비를 통해 범죄 현상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체제를 정비하고 당시 실정에 맞도록 법을 적용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문서 위조죄에 대한 판결은 법전의 내용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위조죄는 사형에 해당하였음에도, 전체적으로 사형은 줄어들고, 감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형국이었다. 이런 형벌의 감화 현상을 악이용해 다시 범죄를 일으키는 등 재범률이 상승했음도 부인할 수 없지만, 이는 엄벌을 통한 처단과 억압보다는 근본을 바로 세워 기강을 확립하고자 하는 국가의 시도였다. 이는 국왕권이 강화된 시점에서 관형을 통해 권위체계에 대한 경외심과 복종을 도출해내고, 죄인들을 체제 내로 재흡수하여 사회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려는 의지였다고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