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미혼 성인 남녀의 성인 애착과 연인 관계 만족

Title
미혼 성인 남녀의 성인 애착과 연인 관계 만족
Other Titles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as mediators
Authors
백상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미혼 남녀 커플의 애착과 관계 만족을 관계 감사가 매개하는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연인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을 적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성인 애착과 주는 감사 및 받는 감사가 자신뿐 아니라 상대방의 관계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불안 및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의 부적인 관련성, 불안 및 회피 애착과 감사의 부적인 관련성 그리고 감사가 관계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성인 애착과 관계 만족 사이를 주는 감사 및 받는 감사가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는 감사와 받는 감사 각각의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에는 총 248쌍의 교제 중인 이성 커플(총 496명)이 참여했고, 이들을 대상으로 성인 애착(불안 애착 및 회피 애착), 관계 감사(주는 감사 및 받는 감사), 연인 관계 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의 회피 애착과 여성의 회피 애착 간 상관을 제외하고 남성과 여성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은 자신과 상대방의 불안 및 회피 애착과 유의한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의 불안 및 회피 애착은 자신과 상대방의 주는 감사 및 받는 감사, 관계 만족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다만, 남성의 불안 애착은 여성의 받는 감사, 남성의 회피 애착은 여성의 주는 감사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고, 여성의 회피 애착은 남성의 주는 감사 및 관계 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남성과 여성의 주는 감사 및 받는 감사, 그리고 관계 만족은 자신과 상대방의 관계 감사 그리고 관계 만족과 모두 유의하게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는 감사의 최종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여성의 주는 감사는 남성의 불안 애착과 여성의 관계 만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남성의 불안 애착과 여성의 관계 만족 간 집적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두 변인을 여성의 주는 감사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남성의 주는 감사는 여성의 불안 애착과 남성의 관계 만족을 매개했다. 이때에는 여성의 불안 애착과 남성의 관계 만족 간 직접 경로가 유의하지 않아 두 변인을 남성의 주는 감사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녀 모두 자신의 주는 감사는 자신의 회피 애착과 자신의 관계 만족을 매개했다. 이때,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 간 직접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 사이에서 주는 감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주는 감사는 남성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을 부분 매개했으며, 여성의 주는 감사는 여성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을 부분 매개했다. 셋째, 받는 감사의 최종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남녀 모두 자신의 받는 감사는 자신의 불안 애착과 자신의 관계 만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남성의 불안 애착과 관계 만족 간 직접 경로가 유의하지 않아 두 변인을 남성의 받는 감사가 완전 매개하는 반면, 여성의 불안 애착과 관계 만족 간 직접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두 변인을 여성의 받는 감사가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녀 모두 자신의 회피 애착과 자신의 관계 만족 사이를 자신의 받는 감사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의 받는 감사는 남성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을 부분 매개했으며, 여성의 받는 감사는 여성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을 부분 매개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받는 감사는 남성의 회피 애착과 여성의 관계 만족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 말해, 남성의 회피 애착은 여성이 남자친구에게 받는 감사의 정도를 통해 여성의 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관계 만족에 관한 성인 애착의 영향력에 있어 관계 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세 변인 간 상호역동적인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관계 안에서의 자신의 영향력과 상대방의 영향력을 함께 이해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재 교제 중인 연인과의 애착 관계와 연인에게 감사함을 느끼고 연인이 자신을 고마운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각하는 것이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vance and test a conceptual model specifying the associations between attachment insecurities, appreciation in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 sample of young adult heterosexual couples. We expected that attachment insecurities would be associated with both appreciative, appreciated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ppreciation in relationship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insecurity and satisfac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in 248 couples who completed measures of attachment insecurities, appreciation in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we investigated how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mediated based on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API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s anxious attachment and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ully mediated by men’s appreciative, and men’s anxious attachment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women’s appreciative. Second, there are indirect effects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avoidant attachmen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re mediated by appreciative. The link between own avoida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one’s appreciative. Third, men’s anxious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ully mediated by men’s own appreciated, and women’s anxious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women’s own appreciated. Lastly, the link between own avoida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one’s appreciated, and women’s appreciate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men’s avoidant attachment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sum,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attachment insecuriti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gratitude is important fo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insecuriti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