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Title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uthors
지은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렸을 적 중요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욕구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거절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 거부민감성이 초기 성인기의 주요 과업인 연애 관계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타인에 부정적 행동에 대해 그것이 고의적이며 이기적인 동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고 비난받을 만하다고 여기는 책임귀인이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서 친밀감을 주요 과업으로 가지는 20-35세의 성인 중 연애경험이 있는 사람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거부민감성 질문지(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책임귀인척도(Responsibility Attribution Measure: RAM), 연애관계 만족도 질문지이다. 연애관계 만족도 질문지는 점수가 높을수록 연애관계에 불만족함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 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남녀 집단간에 차이가 유의하였으므로 각 집단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은 연애관계 만족도(점수가 높을수록 연애관계에 불만족함)점수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책임귀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책임귀인과 연애관계 만족도 점수 역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책임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타인의 거절에 민감한 정도가 낮았고, 연인의 부정적 행동에 대해 고의적이라고 느끼고 그것이 이기적인 동기에서 비롯되었으며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책임귀인을 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또한 여성은 남성에 비해 거부민감성이 연애관계의 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남성 집단에서는 책임귀인이 이 둘의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여성 집단에서는 부분매개 하였다. 이는 친밀한 관계에서 타인의 거절을 쉽게 지각하며 과도하게 반응하는 사람일수록 연인의 행동이 이기적인 동기에서 비롯되었고 고의적이며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여겨 연애관계에서 불만족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거부민감성이 책임귀인을 매개하여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기도하지만 거부민감성이 관계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기 때문에 높은 거부민감성을 지닌 여성에게는 개인의 책임귀인 성향 뿐만 아니라 거부민감성 또한 개별적으로 다루는 상담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거부민감성이 높은 사람이 연애관계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특징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거부민감성이 책임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통해 연인과의 부정적 상호작용 속에서 상대방에 대한 강한 평가와 비난을 하는 내담자의 이면에는 거절에 대한 민감함과 두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상담에서 상대연인에 대해 높은 책임귀인을 하는 내담자를 만날 때 거절과 관련된 두려움과 분노, 슬픔에 대한 공감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상담의 함의점을 가진다. 또한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이 이 둘을 매개한다는 사실은 상담 장면에서 거부민감성이 높은 개인에게 연인의 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재귀인하도록 교육함으로써 보다 만족적인 성인기의 연애관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early adult(N=416). Participants completed 4 self-report measure: a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Responsibility Attribution Measure(RAM),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questionnair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e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jection sensi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was positively relate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gender differences i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Men tend to higher responsibility attribution to their partner than women. Women has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than men. Third, responsibility attribu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men, and partially mediation effect was found in woma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rejection sensitivity could be on of th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Korean, which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in western cultures. In addition, mediational analyse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clinicians need to re-educate attribution style who has high rejection sensi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