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오지영-
dc.creator오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1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0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and conduct effective ways to teach literacy for five-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reactions of the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owards the methods. The subject matters to discus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ive ways for implementing literacy education for five-year-old children? 2. What reaction do the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have towards such effective way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4 teachers, the children’s parents, and 58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Yeonkot and Nancho class at NaRi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Studying the subject matters, the literacy curriculum for the five-year-old class was carefully examined, the literacy test was taken, and the survey comprehending parents’ perceptions and home training of literacy education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12th, 2009 and June 7th, 2010, through whole class reading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assigned to literacy abiliti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 process of recognizing issues of five-year-old children’s literacy education, searching for solutions, applying and evaluating the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orderly of the methods. All the activities instructed by the researcher and teachers were recorded and reconstructed by transcription. Moreover, researcher’s and teachers’ journals, teacher's interview data, and parents’ surveys were analyzed by subject matter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encoding.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apply effective method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five-year-old children, exist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reorganized according to their appropriate needs and life subjects. Also, an efficient method was devised to determine the literacy levels of each child since there were huge gaps among children’s literacy capabilities. On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methods, reading activities for the whole class, group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ssigned to children’s literacy abilities were carried out. A detailed plan involved selecting picture books, reading the books for the whole class, conducting intensive and expanded activities after reading books, grouping children in accordance to their literacy abilities, assigning group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children’s literacy abilities, and sharing activities among groups. Upon evaluating the first application,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methodologies was raised in that they had pressure on teachers to give lessons. Additionally, group activities according to children’s literacy levels were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It was also necessary to teach children to recognize consonants and how to write. On the second application, the group activities assigned to children’s literacy abilities were modified and carried out reflecting the assessment of the first application. Concrete methods involved reading picture books for the whole class through several classes, regrouping the children with regards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conducting group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combined with the writing instruction for consonants and notation recognition, and continuous sharing and integrating activities among groups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Second, by analyzing the reactions of the five-year-old children to the effective methods for implementing literacy education, their interest i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creased and children from relatively low literacy ability group showed more interest in written letters. With regards to teachers’ reactions, their understanding of accommodating teaching methods to each literacy level of children increased; they acknowledged various reading and writing approaches; and they were willing to continue applying the methods. In reference to parents’ reaction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nd showed interest towards the literacy education. This the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literacy abilities of the five-year-old children by identifying their literacy skills, awakens the needs to direct children reflecting their interest in literacy education, and also designs an effective means of group activities to accommodate the literacy level of the children for teachers.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nticipate to support teachers to manage effective literacy education by providing specific ways to conduct literacy education for each children's literacy abilities.;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위한 읽기․쓰기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방안에 대한 유아들, 교사들, 부모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유아들, 교사들, 부모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부속유치원인 나리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만 5세 학급인 연꽃 반과 난초 반 교사 4명, 학급 유아 58명과 유아의 부모들이다. 만 5세 유아를 위한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수립하고자 읽기․쓰기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유아들의 읽기․쓰기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정에서의 읽기․쓰기 교육 실태 및 부모 인식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들을 분석했다. 연구 기간은 2009년 12월 5일부터 2010년 6월 7일까지이며, 대 집단 읽기 활동과, 수준별 소집단 읽기 ㆍ 쓰기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위한 읽기․쓰기 교육의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와 학급 담임 교사가 실시하였으며, 이를 녹화 및 전사하여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연구자 및 교사 저널, 교사 면담 자료, 부모 설문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연구문제 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하여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읽기․쓰기 교육활동을 계열성 및 생활주제를 고려하여 선정, 재배치했으며, 유아들의 읽기 ㆍ 쓰기 발달 수준을 파악하여 개별적인 수준을 고려함과 동시에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대 ㆍ 소집단 활동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대 집단 읽기 활동과 소집단 수준별 읽기․쓰기 활동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읽기 그림책 선정, 대 집단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그림책 읽어주기 후 심화․확장활동, 수준별 교육을 위한 모 둠 구성, 수준에 따른 소집단 읽기․쓰기 활동 실시, 수준별 소집단 활동 후 모 둠 간 공유 활동 및 타 영역과의 통합 활동 실시 등이었다. 1차 실행 결과 교사의 수업 부담이 크고, 소집단 수준별 수업이 시간․공간적 제약을 받는 것으로 드러나 운영 방안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자음인식지도와 표기를 위한 쓰기 지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평가를 반영하여 소집단 수준별 읽기․쓰기 활동을 수정하여 실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여러 차 시에 나누어 대 집단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시간적․공간적 제약 및 모둠 원의 특성을 고려한 모 둠 재구성, 자음인식지도와 표기로서의 쓰기지도를 병행한 소집단 읽기․쓰기 활동 실시, 수준별 소집단 활동 후 모 둠 간 공유 및 타 영역 활동과의 통합 활동 지속 실시 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읽기․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으며, 읽기 ㆍ 쓰기 수준이 낮은 유아들의 글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교사들은 수준별로 실시하는 읽기․쓰기 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력이 신장되었으며, 다양한 읽기․쓰기 방법에 대한 인지를 하게 되었고, 지속적인 실행에 대한 자발적 의지를 표현하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부모들의 반응은 유치원 읽기․쓰기 교육 방법에의 만족, 유치원 읽기․쓰기 교육 강화 요청, 유치원 읽기․쓰기 교육 방법 공유 요청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읽기․쓰기 수준차이를 고려한 수준별 읽기 ㆍ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소집단 수준별 읽기․쓰기 교육의 운영 방안을 제시해 주었다는 의의를 지니는 연구이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에게 수준별 읽기 ㆍ 쓰기 교육을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주어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자 배경 3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언어교육 6 B. 유아 읽기ㆍ쓰기 교육 11 Ⅲ. 연구 방법 17 A. 실행 연구 17 B. 연구 대상 18 C. 연구 절차 22 D. 자료 수집 및 분석 29 Ⅳ. 연구 결과 32 A.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32 B. 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들,교사들, 부모들의 반응 71 Ⅴ. 논의 및 결론 89 A. 논의 89 B.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0 부록1. 연구에서 사용한 전사 양식 107 부록2. 만 5세 유아 읽기ㆍ쓰기 교육 활동 108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87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 5세 유아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Effective Ways to Teach Literacy For Five-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Oh, Ji-Young-
dc.format.pagevii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