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호남우도농악 징춤 연구

Title
호남우도농악 징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ing dance of Honam Woodo Nong-ak : focusing in the style of Park Ok-joo
Authors
이자헌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Jing dance in individual performance of Honam Woodo Nong-ak Pangut which faces the crisis of the tradition preser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structure. To be concrete, it specifically explores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which is derived from Honam Woodo Nong-ak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e inherent implications of Jing dance.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was the traditional folk dance originated from Honam Woodo Nong-ak and developed with the emergence of the women’s band of Nong-ak. Its featur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environments,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Nong-ak,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deduce the inherent implications of Jing dance by exploring the life of Park Ok-joo, the socio-historical backgrounds of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and the components of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was transformed from the masculine dance which had passed down from old time to the feminine dance. Since Nong-ak had ritual characteristics from ancient times, women were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Nong-ak. In addition, Jing as a musical instrumental is very large and heavy,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for women to play Jing. Howeve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ends and the social changes regarding women’s status, ‘the women’s’ band of Nong-ak’ was formed, and women became to be allowed to play Jing as ‘the women’s band of Nong-ak’. The very person who reflected such historical background is Park Ok-joo. As dancing steps were added to the existing Jing dance which was magnificent and rough, it became neat and feminine Jing dance. Secondly, it is the technical dance to expand the boundary of stick-stroke. Compared to other styles of Jing dance, the prominent feature in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is sophisticated stick-stroke. The technical elements that did not appear in existing Jing dance are prominently found in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such as dancing with the cloth hanging from the end of stick, skipping the beat as flicking the stick with finger, throwing stick over the head and snatching it one at time, twirling stick along the circumference of Jing. In other words, it advanced the frontiers by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with Jing stick. Thirdly, it is the dance of Nanjang (reckless beating) to elicit catharsis.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has the element of festival, and the very spirit of festival is the characteristics of Nanjang.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draws Sinmyeong (pleasure in spirituality) from people as well as own enjoyment and charm of Park Ok-joo. It makes people release their deep sorrow, entertain themselves, feel catharsis. Fourthly, it is the dance of extemporization consist of insertion and competition. The performances with excellent skills show their capabilities through individual performances.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is one of such individual performance. It expands the field of festival by inserting herself among many performances to show her capability. In addition, Jing dance in the style of Park Ok-joo exists in the field where the talented players with musical instrumentals compete each other. Jing dance is conducted as directing spontaneous motions and rhythms depending on the atmosphere Based on the implications stated above, this study provides general basic materials to inspire the attention for Jing dance which has been unremember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let the legacy continu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make an opportunity or opening the new horizon of investigating Jing dance and promoting multifarious follow-up studies as well.;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보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호남우도농악 판굿의 개인놀이 중 징춤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구조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남우도농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박옥주류 징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징춤이 지니고 있는 내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박옥주류 징춤은 호남우도농악으로부터 유래된 민속무용으로 여성농악단의 출현으로 인해 발전되었으며 지리적 환경, 역사적 배경, 종교적 특성과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박옥주의 생애와 박옥주류 징춤의 사회문화적 배경, 박옥주류 징춤의 구성요소 등을 연구함으로써 징춤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의미를 도출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옥주류 징춤은 과거로부터 전해져온 남성적인 춤에서 여성적인 춤으로 변화되었다. 예로부터 농악은 제의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은 농악에 참여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징이라는 악기가 매우 크고 무겁기 때문에 여성들이 연주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위치 변화에 따라 ‘여성농악단’이 형성되면서 여성도 농악 안에서 징을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는 장본인이 바로 박옥주이다. 박옥주류 징춤은 웅장하고 투박했던 기존의 징춤에 춤사위를 가미시키면서 아기자기하고 여성스러운 징춤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둘째, 채놀림의 경계를 넓힌 기예의 춤이다. 다른 지역의 징춤과는 달리 박옥주류 징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바로 화려한 채놀림이다. 채 끝에 달린 천을 이용해서 춤을 추거나, 손가락으로 채를 튕겨서 박자를 먹거나, 채를 머리 위로 높이 던졌다가 한 번에 낚아채거나, 징의 둘레를 따라 채를 빙빙 돌리는 등 기존 징춤에서 보이지 않았던 기예적인 요소들이 박옥주류의 징춤에서 두드러지게 발견되었다. 즉, 징채를 가지고 다양하게 기교를 발전시킴으로써 채놀림의 경계를 넓혔다. 셋째, 카타르시스를 이끌어 내는 난장의 춤이다. 박옥주류 징춤은 축제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데 축제의 정신이 곧 난장성이다. 박옥주류 징춤은 사람들의 신명을 이끌어내고 박옥주 본인의 흥과 멋을 이끌어내는 춤으로써 한을 풀어버리고 흥을 즐기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춤이다. 넷째, 끼워 넣기와 겨루기로 이루어진 즉흥의 춤이다. 기량이 뛰어난 연주자들은 개인놀이를 통해서 관중들에게 자기의 기량을 뽐낸다. 박옥주류 징춤도 이러한 개인놀이의 일환이며, 자신의 기량을 뽐내기 위해 많은 연주자들 사이에 자신을 끼워 넣음으로써 축제의 현장을 더욱 확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악사들 중 최고의 기량을 가진 예인들과 서로 겨루기를 하는 판의 현장에 존재하고 있으며, 분위기에 따라 즉흥적인 몸짓과 장단을 연출하는 징춤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의의는 그동안 묻혀 있던 징춤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전통 보존의 맥을 이을 수 있는 전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징춤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고 다채로운 후속연구를 촉진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데에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