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루치안 프로이트(Lucian Freud) 인물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문제

Title
루치안 프로이트(Lucian Freud) 인물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문제
Other Titles
The Subject of Human Existence as Manifested in the Figure Paintings of Lucian Freud
Authors
권민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루치안 프로이트(Lucian Freud, 1922-2011)의 인물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프로이트는 전 작품 활동 기간 동안 ‘인간’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탐구한 작가로, 그의 작품 대부분에는 인물이 가진 취약성이 미화과정 없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노쇠하고 병든 인물의 모습이나, 그로테스크할 정도로 추한 육체가 적나라하게 노출되어 있는 그의 화면은 관객들로 하여금 인간이 대면해야 하는 필연적인 삶의 조건들을 상기시킨다. 즉, 프로이트는 작품을 통해 삶과 죽음, 노화와 고통, 불안과 소외감과 같은 인간의 실존에 관한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끊임없이 숙고하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작품을 당대의 사회적 상황과 미술계의 흐름, 그리고 개인적 경험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작품이 ‘인간 존재’라는 보다 근원적이고 철학적인 명제로 해석될 수 있음을 고찰해 보았다. 양차대전 사이에 베를린에서 태어난 프로이트는 유럽 사회의 격변 속에서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하였다. 전화가 휩쓸고 지나간 유럽에는 기성의 가치관에 대한 의문과 반발이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났다. 그 중 철학분야에서는 합리주의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관념론을 거부하고, 인간 존재가 지닌 필연적인 한계성과 구체적인 삶의 조건에 주목하는 사상적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 조응한 많은 예술가들은 합리적 이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였고, 성적 욕망이나 무의식, 광기, 고통, 불안, 죽음과 같은 삶의 조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하였다. 인간의 존재방식을 모색하였던 유럽사회와 미술계의 상황 속에서, 프로이트는 유대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세계대전의 경험, 피난민 공동체에 대한 관심, 진보적인 미술교육, 인간의 실존에 대해 탐구하였던 동시대의 미술가들과의 교류, 실존주의의 영향과 같은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을 형성해 나갔다. 인간의 삶에 대한 프로이트의 폭넓은 관심은 화면에 인물이 마주하고 있는 삶의 조건들을 여과 없이 묘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먼저 프로이트는 노쇠하고 고통 받는 인물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이 죽음으로 향해가고 있고, 여기에는 노화와 질병과 같은 삶의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는 사실을 환기시켰다. 또한 주류사회로부터 소외된 삶에 주목하였던 프로이트는 하층민들의 모습을 통해 열악하고 거친 현실에서 비롯된 인간의 불안과 고독, 소외감을 주제화하는 한편, 사회의 편견 속에서도 자신의 존재감을 굽히지 않았던 성 소수자들을 통해 실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의미를 숙고하게 하였다. 인간의 삶의 조건에 주목하는 프로이트의 시각은 인체에 덧씌어진 이상주의적 통념을 제거하고, 현실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몸을 그대로 구현하는 경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육체적 취약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는 인물의 나체를 통해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한 관습적인 시각이 결부되지 않은 인간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이트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가 단순히 인물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라는 보다 근원적인 문제를 탐구하는 것에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프로이트는 일생동안 인간이 처한 구체적인 삶의 조건들을 철저하게 탐구하였던 작가였다. 그는 관습적인 미적 가치나 보편적인 관념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실질적인 현실 상황 속에 위치하는 인간 존재를 구현하고자 했다. 프로이트의 작업은 관객으로 하여금 삶의 진정한 리얼리티를 상기시키고 인간의 존재 조건을 자각케 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인본적 성찰에 이르도록 한다. 인간에 덧씌워진 이상화된 가치체계를 걷어내고, 통념으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의 실존 그 자체에 천착한 루치안 프로이트는 예술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을 행했던 휴머니스트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explores the theme of human existence manifested in the figure paintings of Lucian Freud(1922-2011). Freud dedicated his entire career to the study of human beings as the sole subject, while the vulnerability inherent within a person is a consistent theme portrayed throughout his works in explicit detail without the embellishment of beautification. Showcasing the figures of the decrepit and ill and viscerally exposing naked bodies whose ugliness verges on the grotesque, Freud’s paintings remind the audience of the conditions of life that inevitably face every human being. In short, Freud uses his paintings to present the issues inherent in human existence, including life and death, ageing and agony, and anxiety and alienation, over which the audience is led to engage in deep contempl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reud’s works from a number of perspectives such as the social circumstances and artistic trends of the time in conjunction with Freud’s personal experiences, this paper examines the notion that his works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concept of human existence. Born in interwar Europe, Freud began his artistic career amid upheavals across European societies. Ravaged by the flames of war, Europe witnessed the emergence of questions and resistance against existing values in all aspects of society. In particular, the field of philosophy was notable for the prominence of a new ideological trend that rejected the traditional idealism rooted in rationalism, and instead focused on the inevitable limits and actual conditions of life faced by human beings. Identifying with this trend, a number of artists began to study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by reason and rationality, and employed a variety of means to visualize the conditions of life encompassing sexual desires, the subconscious, lunacy, agony, anxiety and death. The pursuit of the modus of human existence was a prevalent theme across societies and the artistic domain in Europe, amidst which Freud developed his interest in human beings based on a diverse range of personal elements, such as his experience of the World Wars as a Jew, his interest in diasporas, progressive education on the fine arts, exchanges with contemporary painters who also focused on the human existence, and the influences from existentialism. The broad interest held by Freud towards human lives was reflected on the canvas through the unfiltered depiction of the living conditions faced by the figure. First, Freud employs the image of the ageing and suffering figure as a reminder of human life’s inevitable path towards death and the necessary involvement of processes such as ageing and disease. For Freud,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lives of the marginalized in mainstream society, as he induced the audience to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of humanity as a species of existential beings through the thematization of the human sentiments of anxiety, loneliness and sense of isolation engendered by the brutality and deprivation of reality facing the lower classes, as well as the depiction of the struggle among the sexual minorities to preserve their mode of existence in the face of social prejudice. Freud’s perspective, which concentrated on the living conditions of human beings, sought to abandon the idealistic conventions perpetuated in relation to the human body, and pursued the trend of embodying the human body in its unadulterated form as in the real world. His raw portrayal of the human body in all of its physical weaknesses demonstrated the human form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conventional preconception towards beauty and ugliness. This study examined the idea that Freud not only strived towards the ultimate artistic endeavor to simply re-create the appearance of a figure, but also explored the underlying issue of human existence. As an artist, Freud was a fervent student of the actual facets of life as faced by ordinary human beings throughout their lifespan. He did not simply accept conventional aesthetic values or universal ideas, and tried to paint a human being placed in real circumstances. Freud’s works remind the audience of the true reality of life and invoke awareness of the conditions in which humans exist, thereby leading to the humanistic reflection towards humanity. Notable as the artist who removed the idealized value system superimposed upon human beings and delved into the reality of human existence free from conventional bias, the evaluation of Freud can also include his proclivities as a humanist that pondered the existence of man through his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