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64 Download: 0

12현 가야금 기보법 및 조현법 연구

Title
12현 가야금 기보법 및 조현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otation and Tuning Method of 12-strings Gayageum
Authors
이정자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12현 가야금의 기보법에는 실음보다 완전 5도 높은 G본청의 기보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기보체계에 대한 선행 연구는 산조 기보법에 국한되어 있다. 관악기와 앙상블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에서 창작관현악곡에서의 가야금의 기보와 조현은 더욱 민감한 문제이지만, 정작 관현악에서의 12현 가야금 기보법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1941년~1995년 사이의 창작관현악곡에서는 50여년 이상 창작관현악에서 12현 가야금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보법 및 조현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창작관현악에서 사용된 12현 가야금의 다양한 기보법을 알아보기 위해 1941년에서 1995년까지의 창작관현악곡과 협주곡의 기보를 분석하여 기보유형을 밝히고, 각 작품의 출현음을 산출하여 조현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김기수, 이강덕, 김희조, 이상규, 이해식의 창작관현악곡에 나타난 기보법 및 조현법에 대한 유형은 다음과 같다. 김기수는 두 가지 기보유형으로 “당악식-낮은음자리표-(黃≒C)”와 “실음기보-낮은음자리표-정악청(黃≒E♭)”의 기보법 및 조현법이다. 이강덕은 네 가지 기보유형을 보였다. “편의기보-낮은음자리표-민요청(한옥타브 아래)”, “실음기보-낮은음자리표-정악청”, “실음기보-낮은음자리표-정악청(한옥타브 아래)”, “실음기보-높은음자리표-정악청”의 기보법 및 조현법이다. 김희조는 두 가지 기보유형을 보였다. “편의기보-높은음자리표-민요청(G=黃)” 기보법과 “실음기보- 큰보표” 기보법 및 조현법이다. 이상규는 네 가지 기보유형을 보였다. “실음기보-낮은음자리표-정악청”,“실음기보-높은음자리표-정악청”, “편의기보・실음기보-큰보표-민요청・정악청”, “실음기보-큰보표”의 기보법 및 조현법의 유형이 나타났다. 반면, 이해식은 한 가지 기보유형을 보였다. 바로 “실음기보-높은음자리표-정악청”의 기보법 및 조현법이다. 둘째, 편의기보를 사용하는 가야금산조와 창작가야금독주곡을 각각 협주곡으로 편곡하는 경우 12현 가야금협주곡에 나타난 기보 및 조현은 다음과 같다. 가야금산조를 협주곡으로 편곡한 경우, 김희조 편곡 <김죽파류 가야금 협주곡>은 가야금 악보 상단에 “산조청: G=無”라고 기재한 총보에 모든 파트를 편의기보로 하였다. 이에 따른 조현은 ‘a♭- b♭-d♭-e♭-f’로 한다. 백대웅 편곡 <가야금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최옥산류 가야금 산조>, 김만석 편곡의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협주곡>은 총보에 실음기보하였다. 이에 따른 조현은 ‘g-a-c′-d′-e′’로 한다. 창작가야금독주곡을 각각 협주곡으로 편곡한 경우, 이상규 편곡 <침향무>, 이강덕 편곡 <비단길>의 기보법은 제4현을 E♭으로 기보하고 조현하는 기존의 정악청 실음기보와 또 다른 실음기보로서, 작품에 나타나는 새로운 출현음에 의한 실음기보를 하였다. 셋째, 관현악곡과 협주곡에 나타난 기보법은 편의기보와 실음기보 두 가지 유형으로 실음기보는 정악청을 기보한 것이며, 편의기보는 민요청과 산조청을 기보한 것이다. 실음기보는 세 가지 유형이며, 이는 “실음기보-정악청-낮은음자리표”, “실음기보-정악청-한 옥타브아래 낮은음자리표”, “실음기보-정악청-높은음자리표” 이다. 편의기보 또한 네 가지 유형으로, “편의기보- 낮은음자리표-당악식 (黃≒C)”, “편의기보-민요청-낮은음자리표”, “편의기보-민요청-높은음자리표”, “편의기보-산조청-높은음자리표”가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12현 가야금 기보법은 시대적인 흐름에 의해 편의기보에서 실음기보로 변화하였다기보다는, 관현악곡에서 정악청은 실음기보를 사용하고 민요청이나, 산조청은 편의기보를 사용함으로 가야금의 음역을 가장 편리하게 표기하기 위한 기보방법이라 할 수 있다. 민요청, 산조청을 편의기보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조악기인 12현 가야금의 실음표기의 문제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과거 창작관현악의 12현 가야금은 왼손주법에 따른 시김새 표현방법인 전통적인 음악어법이 작품에 많이 반영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많은 작곡가들은 12현 가야금의 음색을 선호하며, 관심은 있으나 기보체계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기피하는 경향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독보방법으로는 각 조성의 으뜸음을 중심으로 조율하는 방법으로, ‘솔-도-레-솔-라-도-레-미-솔-라-도-레’의 조율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제6현 ‘도’음에 각 조성의 으뜸음을 맞추어 조율하는 방법으로 악보 독보시에도 계명창(솔미제이션)하여 해당하는 음을 연주하는 것이다. ;12-strings Gayageum notation cheong was transcribed five degrees above c′ as the note g′, which has become the standard in sanjo Gayageum notation. It is very critical issue of notation and tuning method of Gayageum in Guk-ak orchestral works as ensemble with wind instrument, but there is little study of notation of 12-strings Gayageum in orchestra. Especially, there is minimal research with various notation and tuning methods of 12-strings Gayageum, in spite of 12-strings Gayageum has been used over 50 years – 1941~1995 - in orchestra.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12-strings Gayageum’s various notation method, analyzed notation method in scores of orchestra during 1941~ 1995 and concerto and also guided tuning method with analysis of appearing tone in pieces. Firstly, notation and tuning method types of orchestra works of Kim Gi-Su, Lee Kang-Duk, Kim Hee-Jo, Lee Sang-Kyu, and Lee Hae-Sik are as follows; In case of Kim Gi-Su used two types of notation and tuning method; ‘Dang-Ak type – Bass Clef’ and ‘Actual pitch notation – Bass Clef – Jung-Ak-Chung’. Lee Kang-Duk has been used four types of notation and tuning method; ‘Notation convenience – Bass Clef – Min-Yo-Chung (below one octave)’, ‘Actual pitch notation – Bass Clef – Jung-Ak-Chung’, ‘Actual pitch notation – Bass Clef – Jung-Ak-Chung (below one octave)’, ‘Actual pitch notation – Clef – Jung-Ak-Chung’ Kim Hee-Jo showed two types of notation; ‘Notation convenience – Clef – Min-Yo-Chung’, ‘Actual pitch notation – Great staff’. Lee Sang-Kyu wrote four types of notation; ‘Actual pitch notation – Bass Clef – Jung-Ak-Chung’, ‘Actual pitch notation – Clef – Jung-Ak-Chung’, ‘Notation convenience – Actual pitch notation – Great staff – Min-Yo-Chung – Jung-Ak-Cung’, ‘Actual pitch notation – Great staff’. Hence, Lee Hae-Sik just used one notation; ‘Actual pitch notation – Clef – Jung-Ak-Chung’. Secondly, 12-strings Gayageum’s concerto which is arranged with Gayageum San-Jo and Solo with notation convenience had notation and tuning methods as follows; In case of arranging Gayageum San-Jo; Kim Hee-Jo arranged ‘Kim Jook-Pa school Gayageum concerto’ with notation convenience as written ‘San-Jo-Chung: G=Mu’ in top of score. From this, tuning method is ‘a♭- b♭-d♭-e♭-f’. Baek Dae-Woong’s arrangement; ‘Choi Ok-San school Gayageum San-Jo for Gayageum and orchestra’, Kim Man-Suk’s arrangement; ‘Seo Gong-Chul school Gayageum San-Jo Concerto’ used Actual pitch notation, and tuning method is ‘g-a-c′-d′-e′’. In case of arranging Gayageum solos as concerto; Lee Sang-Kyu arranged ‘Chim-Hyang-Moo’, Lee Kang-Duk arranged ‘Silk Road’, which notation method is Actual notation as new appearing tone in score. Thirdly, Notation methods with orchestral work and concerto are Notation convenience and Actual pitch notation. Actual pitch notation notated Jung-Ak-Chung and Notation convenience notated Min-Yo-Chung and San-Jo-Chung. Actual notation has three types; ‘Actual notation – Jung-Ak-Chung – Bass Clef’, ‘Actual notation – Jung-Ak-Chung – Bass Clef below one octave’, ‘Actual notation – Jung-Ak-Chung – Clef’. Also Notation convenience has four types ‘Notation convenience – Bass Clef – Dang-Ak-Sik’, ‘Notation Convenience – Min-Yo-Chung – Bass Clef’, ‘Notation Convenience – Min-Yo-Chung – Clef’. These various types of notation methods of 12-strings Gayageum do not presented with chronicles from Notation convenience to the Actual pitch notation but as follow the convenience of notating 12-strings Gayageum with Jung-Ak-Chung using actual pitch notation, Min-Yo-Chung and San-Jo-Chung using notation convenience. The reason of using notation convenience with Min-Yo-Chung and San-Jo-Chung is due to the problems of actual pitch notation of transposing instrument of 12-strings Gayageum. In past, traditional musical method is reflected on scores with left hand techniques with Sigimsae in 12-strings Gayageum of orchestra. But nowadays composers prefer to tone of 12-strings Gayageum and are interested in 12-strings Gayageum but they would like to avoid using 12-strings Gayageum in orchestra for difficulties of notation etc. As solving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new reading method as tuning with tonic of key signature; ‘G-C-D/ G-A-C-D-E/ G-A-C-B’. This method is tuning tonic of key signature as the 6th string ‘C’ and in reading with the Movable DO and pla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