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Title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Other Titles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Authors
백형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을 약물중독자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탐색함으로써, 이들이 약물중독으로부터 회복되면서 경험한 현상의 의미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 질문은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약물중독은 개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폐해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족문제를 야기하고 사회적으로는 경제적 손실과 범죄 등의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최근에는 중독행위의 일시적인 중단에 목표를 둔 치료는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개념 하에 장기적인 회복 유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중독을 병리적인 것으로 보던 관점이 회복패러다임에 의한 시각으로 변화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이 탄력성과 회복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적 가치 측면에서도 회복중인 당사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어떻게 회복이 이루어지고 관리되는지에 관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을 그들의 삶과 연결하여 보다 생생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 기술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특히 약물중독자의 회복경험을 본질 그대로 반영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Colaizzi(1978)의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참여자의 고유경험을 철저히 기술하고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약물중독의 의료적 진단을 받거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자 중에서 1년 이상 단약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자를 찾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은 연구목적에 맞는 참여자 선정을 위하여 ‘의도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6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연구참여자는 총 7명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비구조화된 심층면접으로 시작하였고, 면담횟수는 2~3회로 1회기의 평균 면담시간은 120분이상이 소요되었다.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에 관한 의미 있는 문장들을 추출하고 일반적 의미 형성과 주제묶음을 통해 반성적 고찰을 한 결과, 의미 있는 문장 총 610개, 일반화된 문장 40개, 소주제 15개, 본질주제 4개를 도출하였다.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의 4가지 본질주제는 <이상한 나라에 빠져듦>, <나가는 길을 찾아감>, <또 다른 현실로 돌아옴>, <세상 속에서 새롭게 성장하기>로 분석되었다. 약물중독자의 회복경험에 관한 본질주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시간차원에서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 <이상한 나라에 빠져듦>에서 소주제는 ‘시계 토끼를 만남’, ‘토끼 굴에 떨어짐’, ‘어디로 가야 할지 모름’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호기심에 발을 디뎌놓은 약물이라는 전혀 다른 세상에서 약물중독에 서서히 빠져 들어가게 되었다. 이는 지루한 일상에서 무언가 재미있는 것을 찾던 앨리스가 호기심에 시계토끼를 따라 나서면서 겪는 이상한 나라에서의 경험처럼 낯설지만 신비롭고, 흥미롭지만 벗어나기 어려운 경험이었다. 두 번째, <나가는 길을 찾아감>에서 소주제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음’, ‘깨달음’, ‘모자장수와 여왕을 떠남’, ‘고군분투’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중독 문제를 인정하고 단약에 대한 열망을 가지면서 약물로부터 벗어나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아가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다시 넘어지지 않도록 사람과 환경을 스스로 정리하고, 몸과 마음 그리고 행동에서 회복으로 돌아섰다. 이것은 이상한 나라를 떠나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힘들고도 기나긴 여정이었다. 세 번째, <또 다른 현실로 돌아옴>의 소주제는 ‘가족이라는 마중물’, ‘타인이라는 노둣돌’, ‘탄력이 붙음'으로 나타났다. 천신만고 끝에 이상한 나라에서 현실로 돌아온 연구참여자들은 이전에 경험한 것과는 또 다르게 모든 것이 다가왔다. 가족이나 타인에게서 참여자들은 이전에 느끼지 못했던 긍정적인 감정과 배움을 경험하였다. 이전과 같지만 다른 현실 속에서 참여자들은 이겨낼 힘을 얻고 점점 더 탄력이 붙는 것을 경험하였다. 네 번째 <세상 속에서 새롭게 성장하기>의 소주제는 ‘평생 물리쳐야 할 유혹’, ‘지금 여기를 살아감’, ‘더불어 살아감’, ‘평범한 일상에서 내일을 예약함’, ‘변화된 나로 살아감’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회복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새롭게 살아가고 있지만 약물이라는 유혹은 늘 남아 있기에 장애물을 만나면 그것을 피해가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오늘 하루를 충실하게 세상 속에서 더불어 소통하며 살아가는 것이 회복으로 가는 온전한 길이라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이 길은 평범한 일상에서 소박한 미래를 꿈꾸며 변화된 ‘나’로 살아가는 성장의 길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의 본질은 <세상에서의 되살이>로 비유되었다. 이것은 약물중독자들이 세상과 긍정적인 소통의 끈을 이어가면서 새롭게 몸과 마음 그리고 관계가 다시 살아나는 경험을 하게 됨을 의미한다. 몸의 되살이란, 약물에 의존되어 있고 습관적으로 나쁜 곳으로 향하던 연구참여자들의 말과 행동을 새롭게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마음의 되살이란, 연구참여자들이 스스로 회복에 대한 동기와 의지를 강화하며 이타적인 삶을 지향하고 지금 여기에서의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관계의 되살이란 약물과 관련된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자신의 회복을 돕는 가족이나 온전한 회복자 그리고 전문가들과의 관계망을 다시 촘촘히 짜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상에서의 되살이‘라는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의 의미는, 약물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회복의 긴 여정에서 세상과 소통하며 새롭게 성장하는 삶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과 그 의미를 통해 약물중독자들이 지역사회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신의 회복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experienced by drug addicts during their recovery from addiction by deeply exploring their recovery experience in a community from their perspective.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 was formulated: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Drug addiction brings about various problems in the family as well as physical and mental damage on the personal level, which can also result in economic loss and crimes on the social level.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treatment with the aim of provisionally stopping drug use may cause negative side effects, concerns about the maintenance of the recovered condition in the long term have emerged of late. This shows that the focus of the relevant studies has shifted to resilience and recovery as their paradigm has changed from the pathological perspective to the recovery-focused one. In the aspect of social work values, this is a desirable change, focusing on how drug addicts can be helped to recover and how the recovered condition can be maintained based on their experienc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from addiction. In this contex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in this study to clearly and deeply understand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by connecting their recovery experience to their life. In particular, Colaizzi's(1978)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reflects the essence of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as it is, was employed to exhaustively describe the unique experience of each subject.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mong persons who had been medically diagnosed with substance use and addictive disorders or who had participated in drug-abuse-related programs and have lived a drug-free life for over one year. The subject selection was done via intentional and snowball sampling. The data from seven subjects were gathered for four months, from June to October 2013. Data gathering was done via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to three interviews conducted for over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ata gathering, statements and themes were formulated (610 significant statements, 40 generalized statements, 15 subthemes, four essential themes) by extracting significant statements about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and by conducting reflective consideration through the formulation of general meanings and the organization of themes. The four essential themes of the recovery experiences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were expressed as follows: “walking into wonderland”, “finding the way out”, “turning back to another reality”, and “newly growing up in the world”. These four essential themes did not exist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but we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in the time dimension. First, the subthemes of the essential theme “walking into wonderland” were “meeting Clock Rabbit”, “falling into a rabbit burrow”, and “not knowing where to go”. The subjects had become slowly addicted to drugs, having started only out of curiosity. This is an experience that is strange but mysterious and exciting but is difficult to extricate oneself from, just like the experience of Alice in Wonderland, who followed Clock Rabbit out of curiosity and to get out of her tedious daily life. Second, the subthemes of the essential theme “finding the way out” were “hoping to return home”, “realization”, “leaving Mad Hatter and Red Queen”, and “seeking the way with a great and lonely struggle”. The subjects acknowledged their addiction problem and claimed that they tried to find specific ways to address it, aspiring for a drug-free life. They particularly endeavored to recover their good health and to free their minds and bodies from addiction by repairing their relationships and their environments by themselves so as not to fall again. This is akin to the difficult and long journey that Alice had to take to leave wonderland and to return to the real world. Third, the subthemes of the essential theme “turning back to another reality” were “the family as the priming water”, “others as a stepping stone”, and “gaining momentum”. The subjects, who had “returned to reality from wonderland” after a great struggle, came to confront a reality that everything is different from the one they had experienced. They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and learning from their respective families or from others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before. In the identical reality that is felt different from before, they obtained the power to overcome their addiction, and they gained momentum to start anew. Fourth, the subthemes of the essential theme “newly growing up in the world” were “the temptation to overcome in their life”, “living in the here and now”, “living together”, and “building a better tomorrow with ordinary routine”. Even though they have managed to maintain a drug-free life and to start a new life, they try to avoid the temptation of taking drugs again, which is always present. Moreover, they realized that living in the here and now, in the real world, faithfully, and interacting with others, are the right paths towards recovery, and that they will get to become “themselves”, who have changed and who dream of a simple future, through such ordinary routine. The essence of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that had been revealed was expressed as “the regeneration in the real world.” This pertains to the experience of newly regenerating a body and mind, and relationships, while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e regeneration of a body refers to the changes in the words and behaviors of the subjects, which had been habitually bad and dependent on drugs. The regeneration of a mind refers to living a faithful life in the here and now, reinforcing their motivation and will to recover from their addiction and aiming at leading an altruistic life. Lastly, the regeneration of relationships refers to forming a network with their family, with fully-recovered-drug-free persons and with the professionals helping them in their recovery by cleaning up their drug-related environments. Therefore, “the regeneration in the real world” as a part of the recovery experience of drug addicts in a community pertains to the life experiences that they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newly growing while on th)e long journey of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to explore the concre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ersons who have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to be able to maintain and manage their recovered conditions while such persons interact in the community in positive ways based on their recovery experience and its meaning as drawn from this study, which makes this study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