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韓國傳統手織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傳統手織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RADITIONAL KOREAN HANWEAVING
Authors
구희경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한국전통수직연구무형문화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만실
Abstract
織物의 발생 동기는 초기에는 人間의 피부 보호를 위한 실용성과 價値性에 있었으나 人類文化가 점차로 발달함에 따라 실용적이며, 위생적인 면에서,美意識을 충족시켜 주는 美的價値로 발전 되어 왔다. 傳統手織은 織物 生産 方式이 手工的 方法에 의한 것으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는 것을 말하며, 韓國傳統手織은 한반도의 농경생활의 시작과 함께 방추차를 사용한 원시적인 織物 生産 方式이 보급된 것이 그 시초이다. 織造術의 발달로 삼베 ( 麻布 ), 명주 ( 明紬 ), 모시 ( 苧布 ), 무명 ( 木緣 )의 순으로 傳統手織物이 生産되어 보급되었다. 傳統手織은 傳統的 生活체제의 붕괴로 인해, 소수의 기능 보유자들에 의해 그 명맥을 유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目的은 우리나라의 織物 발달 과정과 織造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傳統手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民俗工藝로서 선조들이 남긴 유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傳統에 뿌리를 둔 새로운 手織文化 창조에 보탬이 되는 자료 제공에 있다 하겠다. 연구의 과정으로는 문헌자료를 통한 개관과 조사, 관찰 방법에 의해, Ⅱ장에서는 傳統手織의 理論的 고찰로 手織物의 기원과 부족국가시대, 삼국시대 고려조선, 근대 및 현대의 시대별 織物의 종류와 織造術의 發達過程과 織物 生産 도구인 베틀의 구조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현대의 機械織物에 밀려 그 零細性을 면치 못하고 있는 傳統手織物중 그 기능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安東地方의 삼베 ( 安東布 ) , 곡성의 삼베( 돌실나이 ) , 韓山의 모시 , 羅州의 무명 (샛골나이 )의 生産過程과 작업 용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현대 생활에 있어서의 傳統手織의 활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傳統繼承方法을 모색하고, 아래와 같은 개발 방향을 제안하여 보았다. 첫째 傳統手織의 보호, 육성을 위한 政策的 支援이 다각적 측면에서 이루어지기 위해 민속공예단지를 조성하여 교육과 지원이 따라야 하며, 전승공예전과 같은 뜻있는 행사를 효율적으로 운영,장려한다. 둘째, 디자인적 관점에서 과거 평직의 組織에서 벗어나 組織의 변화와 색채의 변화를 줌으로써 시각적, 촉각적 흥미 유발을 갖도록 한다. 셋째 傳統手織物의 활용범위의 확장과 섬유예술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民俗工藝로서의 傳統手織이 과거의 수준보다 더욱 발달된 기량으로 받아들여 현대적 해석을 통해 창조 전승 될때, 수준 높은 手織文化의 형성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연구와 새로운 창조의 끊임없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Originally, textiles were intended to serve the practical and hygienic functions such as the protection of human skin. With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however, textiles came to take on aesthetic value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functions. Traditional Korean handweaving dates back to the agricultural age when the primitive textile production method using spindles spread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av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n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such traditional handweaving textiles as linen(삼베), silk(명주), ramie fabric(모시), cotton(목면), were produced in sequence and were in widespread use. However,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handweaving textiles waned when the traditional lifestyle collapsed in Korea, and at present the traditional handweaving technology is handed down only by a few specialist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xtiles in Korea from histor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at promo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handweaving, seeking the ways to utilize it, and providing information and data conductive to the creation of a handweaving culture that has its roots in the traditional weaving. Through the study of pertinent literature, the origin of handweaving, kinds of textiles in wide use during tribal society age, three kingdom age, Koryo period, Yi dynast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development process of wearing technology,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a loom are dealt with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the production process of traditional handweaving textiles and the tools necessary for their production described are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raditional textiles whose production skill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asset, such as Andong linen(삼베) called Andongpo, Goksung linen(삼베) called Dolsilnai, Hansan ramie fabric, and Naju cottoncalled Satgolnai. Chapter Ⅳ makes an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handweaving and seek the ways to inherit it to the generations to come. High standard of handweaving culture will be materialized When the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handweaving is made in such a way as to meet the demand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f is highly required that a continuous and systematic research be made in order to achieve a high standard in handweaving culture.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