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김미연-
dc.creator김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4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495-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인간에게 물질적 풍요로움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인간의 욕망을 부추기며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상태 뒤에는 언제나 욕망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욕망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복잡한 현실세계에서 소비주의 현상에 끊임없이 구속받고 더 나아가 무의식적 충동을 통한 욕망을 추구 하려한다. 소비주의 이데올로기의 핵심적인 의미는 자본주의를 정당화하고 환상 속에서 사람들이 욕망을 느끼게 하는 데에 있다. 현대사회는 대중매체(광고, 잡지, TV등)를 통해 허황된 이미지로 사람들을 유혹하고 욕망을 부추긴다. 이러한 매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본능에서 나온 욕망인지 타자에 의해 나온 욕망인지 모른 채 계속 욕망을 채우려 다른 무엇인가를 갈구한다. 우리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간다. 항상 나를 타인과 비교하고 더 우월하기를 원하며 차별화되기를 바란다. 타인보다 더 좋고 아름다운 것의 소유로 타인보다 더 높은 지위에 서 있는 자아를 발견함으로써 쾌락과 만족을 느낀다.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 소비문화는 현대인들에게 소비욕망을 자극시키며, 사물의 소유로 차별화되는 경쟁사회를 만든다. 욕망에 근거한 소비는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만족할 수 없는 결핍상태로 또 다른 무엇인가를 욕망하게 된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욕망이론 중 가장 중요한 핵심 개념은 욕망은 충족될 수 없다는 데 있다. 라캉은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을 영원히 충족할 수 없는 결핍으로 규정하고 언어적 욕망이론을 통해 영원히 충족되지 못하는 욕망결핍의 원리와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라캉은 욕망이론에서 인간의 발달단계 즉 인간이라는 본질적 존재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인간의 근원은 ‘욕망’이라고 정의한다. 이처럼 욕망이 충족되지 못하는 이유는 주체의 욕망은 본질적으로 ‘타자의 욕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체는 스스로 욕망이 충족되었다고 믿는데, 그것이 바로 ‘환상(Fantasy)’에 따른 허망함과 허무함이다. 라캉은 이때 발생하는 욕망이 주체 자신의 욕망이 아니라 타자의 욕망이라고 한다. “인간의 욕망은 대타자의 욕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주관적인 욕망에 대한 의미를 객관적인 의미와 정황으로 정의하고, 객관화된 욕망을 시각적으로 재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 사회 전반적인 의미와 구조와, 욕망의 철학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철학적 의미로는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결핍욕망’, ‘타자욕망’, ‘환상욕망’ 세 가지로 구분하여 욕망에 대한 의미에 대해 정의 내렸다. 욕망은 현대사회의 중심이 되는 대중매체에 의해 소비를 기호화하는 현상을 낳는다. 소비사회에서는 기호적 소비에 의해 조작된 이미지가 재현되어 이미지와 원본과의 구분이 모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보드리야르의 상징적 소비와 시뮬라끄르로 정의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이론적 바탕으로 욕망을 객관화시키는 것의 의미고찰을 할 수 있었다. 욕망을 객관화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 의해, 타매체에 의해 본인의 욕망이 조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작된 욕망은 본인에 의한 것인지 타인에 의한 것인지 모른 채 끊임없이 욕망을 재생산한다, “욕망의 객관화” 현상은 주체와 타자의 욕망을 현대사회의 객관화 현상은 결핍된 욕구가 욕망을 계속해서 재생산되게 하며 그러한 욕망은 환상이라는 결과로 허망함과 허무함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환상으로 만들어진 허황되고 왜곡된 이미지 표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왜곡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거울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환상과 허망함을 지닌 대중매체 즉 잡지, 광고의 텍스트를 차용하는 표현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작품을 통해 기호와 이미지에 의해 통제되고 조작되는 현대 사회, 실재가 없이 기호와 이미지만이 넘쳐흐르는 현대 사회를 표현하였다. 욕망은 자신으로부터 만들어지지만 타인에 의해 조작되고 만들어짐으로써 허황되고 왜곡된 상황을 만들어간다. 즉 욕망은 결핍 때문에 생기지만 절대로 '채워지지 않는 것'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결핍을 느끼며 살아가기 때문에 인간존재 자체를 근원적으로 결핍과 부재, 분열의 존재라고 말해진다.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의 대상을 갈구하지만, 그 대상을 획득한 순간 허무와 결핍을 느끼며 다시 또 새로운 대상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렇듯 완전한 충족 없이 항상 새로운 것, 그 다음 것을 추구하는 '욕망'에 대해 우리는 인간의 원초적이며 근본적인 원동력으로서 인간존재의 근원을 이루는 것이라 말한다. 본 논문은 현대 소비사회에서 욕망이 만들어내는 환상적 허무함을 인식함으로써, 진정성이 느껴지는 욕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자 한다.;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has given people material abundance, but it has caused a variety of psychological problems encouraging human desire. We need to investigate the desire pointed out as a cause of a variety of psychological problems to understand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since desire is always included behind human psychological state, occurring as side effects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have redeemed constantly in phenomenon of consumerism of the complex real world, furthermore they have pursued desire through unconscious impulse. The key meaning of consumerism ideology is to justify capitalism and make people feel desires in fantasy. The modern society has attracted people with absurd images and encouraged them through mass media(advertising, magazines, TV, etc.). Through these media, people have longed for something different to satisfy their desire, not knowing whether desires come from their own instincts or other people. We have lived being conscious of the eyes of others. We have always compared ourselves with others and want to be superior and differentiated. We feel pleasure and satisfaction by discovering ourselves standing in a higher position than others, owning better and more beautiful things than those of others. As a result, the consumer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stimulated the modern people's desire to consume, and created differentiated competitive society with the possession of things. Consumption based on desire wants other things in the deficiency state that we can't gratify and be satisfied with our desire. The most important key concept of Jacques Lacan(1901~1981)'s desire theory is that desires can not be met. Lacan regulates the ontological nature of human as the deficiency not to be met forever and explains the principles and the process of lack of the desire not to be met forever through linguistic theory. To this end, Lacan defines the origin of the human as 'Desire' by classifying stages of human development, essential presence of the human into imaginary, symbolic and actual world in desire theory. The reason why people are not satisfied with desire is that subject's desire is 'Others' desire essentially. However, subjects believe their desire is met for themselves, but they are vanity and emptiness according to 'Fantasy'. Lacan tells the desire generated at this time are not subject's desire but others' desire. "Human desire is others' desire"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meaning for individual's subjective desire in objective meaning and context, and reinterpreted objectified desire visually. For this, we examined the overall meaning and structure in modern society, desire's philosophical meaning. The philosophical sense was separated into three kinds of 'Lack of desire', 'Others' desire' and 'Fantasy desire' focusing on Lacan's desire theory and we defined the meaning of desire. Desire caused the phenomenon of symbolizing consumption by the mass media central to modern society. In the consumption society, manipulated images by symbolic consumption have reproduc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images and the origin has been obscure. This phenomenon could be defined as Baudrillard's symbolic consumption and Simulacra.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meaning of objectifying desire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o objectify desire is to operate one's own desire by others and other media rather than to reveal one's own desire. The desire to do this operation has reproduced constantly desire without knowing whether it was one's desire or others' desire. "Desire objectification" means that the desire of the subject and others makes lack desire reproduce desire in the objectified phenomenon of the modern society and such desire results in vanity and emptiness as a result of fantasy. Like this, this researcher expressed fanciful and distorted representation created with fantasy visually. In this work, this researcher used a material of a mirror to express distorted images. In addition, the mass media with fantasy and vanity, magazines were used as a expression way of borrowing the advertising tex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er expressed the modern society controlled and operated by symbols and images and the modern society overflowing only symbols and images without its existence through this work. Desire has been made of itself, but it has made fanciful and distorted situations as being manipulated and created by others. That is, desire occurs owing to the lack, but it never 'won't be met'. It's said that human existence is the presence of the lack and the absence, division because people live by feeling constantly the lack. Though humans have constantly longed for objects of desire, they have pursued new targets again by feeling the emptiness and the lack at the moment of acquiring the targets, regarding 'desire' seeking always for new things without being satisfied fully, the next thing, we say that desire is the origin of human beings as a human primitive and fundamental driving force. In this paper, we try to think the desire with authenticity by recognizing the fantastic emptiness which desire creates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ag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C. 연구의 플로어 차트 5 Ⅱ. 표출된 욕망 6 A. 욕망의 철학적 의미 6 1. 잠재된 본능적 충동으로서 욕망 8 2. 형이상학적 원리로서 욕망 11 3. 구조화된 무의식적 욕망 14 B. 욕망의 사회적 생산 18 1. 현대 소비사회의 욕망 18 2. 매스미디어와 소비사회 21 3. 시뮬라끄르의 상징적 소비 25 C.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28 1. 결핍으로서의 욕망 29 2. 욕망으로서의 타자 :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 37 3. 욕망과 환상의 메커니즘 : 환상은 근본적으로 상호 주체적이다 40 Ⅲ. 욕망의 객관화 45 A. 욕망의 객관화에 대한 의미고찰 46 1. 주체와 타자의 욕망 47 2. 욕망의 객관화 현상 53 B. 주관적인 것의 객관화 59 1. 욕구와 욕망의 재생산 60 2. 환상의 주체 63 3. 욕망의 재현 72 Ⅳ. 욕망의 객관화에 따른 작품 제작 표현연구 79 A. 기호와 텍스트의 차용 79 B. 타이포그래피 표현 87 C. 왜곡된 시선 93 Ⅴ. 작품 연구 및 분석 107 A. 작품제작 배경 107 B. 연구 과정의 작업 108 1. 거울작업 112 1-1. 환불이 안되십니다 113 1-2. 섹스 엔 더 시티의 캐리가 된 듯 114 2. 컬러작업 118 2-1. 요즘 도쿄에서는 119 2-2. 섹스 엔 더 시티의 캐리가 된 듯 121 3. 불빛작업 125 3-1. 신상품 나오셨습니다 126 3-2. 그 상품은 품절되셨습니다 126 3-3. 로열블랜드 러브콜렉션 126 4. 거울 프레임작업 128 4-1. 당신의 스타일을 완성해주실 빽 129 4-2. 홈메이드 스트로베리 130 Ⅵ. 작품제작 132 A. 거울작업 132 B. 컬러작업 140 C. 불빛작업 149 D. 거울 프레임작업 152 Ⅶ. 결론 156 참고문헌 159 작품도록 165 Abstract 1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67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욕망의 객관화(Objectifying the Desire) 그래픽디자인 표현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raphic Expression Objectifying the Desire-
dc.creator.othernameKim, Mi Yeon-
dc.format.pagexii, 1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