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소극장에 특화된 공연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Title
소극장에 특화된 공연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Other Titles
Mobile Application Design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mall Theater Performances
Authors
임은실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the five-day workweek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July 2005 have brought growth of cultural Industry and performing arts field is experiencing a boom due to increase of cultural life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only the large scale musicals and commercial performances are coming into the spotlight, whereas small theaters are being closed in succession. Accordingly, performing arts companies shall take efforts for attracting more audience to visit theater through public relations strategy to develop and secure audience of performance. For the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into a mobile app to promote performances held in small theaters with limited budget of performance and provide information of small theater performances to people who want to enjoy performance. Detaile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meaning, type and operational method of theate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is study grasped the meaning of theater in performance and classified theaters according to the size. Also, it was able to confirm by grasping operational method of each theater that operational method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ater. This study also analyzed type and characteristic of promotional methods by dividing largely into offline and onlin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promotion of performance and look into promotional method in depth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This study was able to lay the groundwork of research by drawing geographical limit of offline promotion and difficulties of securing information of small theaters in online promo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thods of public relations. Second, this study looked into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mobile app capable of improving limits of each promotional method and proceeded with case analysis. Through the foregoing, it was able to confirm increase of performance mobile app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martphone and change of audience's attitude.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performance mobile apps into standalone mobile app and portal type mobile. Through the above, this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type and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apps and components of mobile app suite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erformances held in small theaters. Third, this study proceeded with usability evaluation on 'Daehangno Performance Information'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obile app for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app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was able to grasp problem and improvement of current performance mobile apps simultaneously with performance attitude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interview on the important factors and standards that influence when selecting performance they want to enjoy and experience of watching performance at a small theater, it was also possible to draw main functions of mobile app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Fourth, this study designed an improved performance mobile app by synthesizing result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analysis of performance mobile apps and usability evaluation, and defined total 4 functions for enabling mobile app users to easily find information of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which is relatively hard to obtain information of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ones held in large theaters. This study also introduces 'Recommended Performance of the Month' for offering a wider choice in a situation that information of performance is nonexistent, and provides 'Customized Search' function to enable users to search performance with the genre, date and location of theater without knowing the name of performance or actors. In addition, ‘Performances in My Surroundings' which is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of surrounding theater and performance by grasping mobile app user's current location is offered and users are also allowed to sort performances with a variety of standards in all performance lists. This study designed wire-frame of performance mobile app centering on such main functions and proceeded with evaluation by manufacturing a prototype. Objects of investigation evaluated that supply of various methods capable of accessing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with ease as compared to existing performance mobile apps will be a great help to people who want to find information of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Existing performance mobile apps show only sensational performances, but it has limits that it is relatively hard to find small scale performances held in small theaters. Performance mobile apps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let more people to know about information of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and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joint marketing. ;국민 소득의 증가와 2005년 7월 시행된 주5일 근무제는 문화산업의 성장을 가져왔고, 대중의 문화생활 증가로 인해 공연계는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하지만 대형뮤지컬이나 상업극만이 각광을 받고 소극장은 잇따라 폐관하고 있다. 따라서 공연예술단체는 공연 관객을 개발, 확보하려는 홍보 전략을 통해 공연장을 찾는 관객이 많아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제한된 공연 예산을 가진 소극장 공연을 홍보하기 위하여 공연 관람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소극장에 특화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공연장의 의미와 공연장의 종류 및 운영방법을 파악하였다. 공연에서 공연장이 갖는 의미와 공연장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또한 공연장별 운영방법을 파악함으로써 공연장의 크기에 따라 운영방법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객의 공연 관람 목적과 상품으로써 공연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연 홍보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홍보방법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홍보방법을 크게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나누어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홍보 방법의 분석을 통하여 오프라인 홍보의 지역적 한계와 온라인 홍보에서 소극장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도출함으로써 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공연 홍보 방법별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공연 모바일 앱의 의미와 특징 및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스마트폰의 증가와 관객들의 태도 변화에 따라 공연 모바일 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연 모바일 앱을 단독형 모바일 앱과 포털형 모바일 앱으로 나누어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공연 모바일 앱의 종류와 특징 및 소극장 공연 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모바일 앱의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가장 대표적인 소극장 공연 모바일 앱인 ‘대학로 공연정보’의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모바일 앱의 사용성 평가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현재 공연 모바일 앱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분석함과 동시에 조사 대상자의 공연 행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관람 공연 선택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및 기준과 소극장 공연 관람의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추후 개선될 모바일 앱의 주요 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넷째, 문헌 조사와 공연 모바일 앱의 사례 분석 및 사용성 평가의 결과를 종합하여 개선된 공연 모바일 앱을 설계하였다. 모바일 앱 사용자들이 대형극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연 정보를 얻기 어려운 소극장 공연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총 4가지의 기능을 정의하였다. 공연에 대한 정보가 전무한 상태에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이달의 추천공연’을 소개하였고, 공연의 이름이나 배우의 이름을 모르더라도 공연의 장르, 날짜, 공연장 위치 등으로 공연을 검색할 수 있도록 ‘맞춤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주변 공연장과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내 주변 공연’과 모든 공연 리스트에서 다양한 기준으로 공연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공연 모바일 앱의 와이어프레임을 설계하였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기존 공연 모바일 앱과 비교하여 소극장 공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제공이 소극장 공연 정보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 홍보 방법의 지역적 한계와 소극장 공연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 출시된 공연 모바일 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공연 모바일 앱은 소극장 공연 정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며 소극장 공연 활성화 및 공동 마케팅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