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7 Download: 0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업무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업무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Communication for the activation of creative work space design research- A game company center -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21세기는 산업사회에서 지식과 정보가 산업의 핵심을 이루는 지식기반 사회로 전환되면서 대부분의 업무가 고도의 창의력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또한 기존 업무 환경과 차별화 된 새로운 업무 환경을 요구한다. 즉 단순한 공간이 아닌 사람이 생각하고 토론하고, 휴식을 취하며, 활동하는 생활의 장으로써의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실내 공간 디자인은 창의적이고 효율적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직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유도한다. 이런 커뮤니케이션은 크게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되는데,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구성원간의 공식적 관계를 전제로 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권한의 체계적 관계가 분명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말하는 반면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공식적 의사소통 이외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계층이나 직종을 초월한 의사소통으로 정보전달 속도가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매우 빠르다. 또한 구성원간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유발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 생산력을 중시하는 최근의 기업환경의 경우 공식적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직원들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더욱더 창의적 사고가 활발해 진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계획은 기술의 발달로 공간에서 제약을 받지 않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공간을 계획하고 기존의 공간과는 차별화되며 업무공간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진화시키며 쾌적하고 효율적인 창의적 업무 공간을 창출해 내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 되었다. 제 1장에서는 그 배경과 목적, 계획의 범위와 방법을 한정 짓고 그 구성에 대해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또한 창의성의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창의적 업무 특성을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공간적 특성 5가지를 사 례와 함께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의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업무 공간에 대해 디자인 방법을 제시한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조사 분석한 내용을 용약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한 후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근 창의적 업무공간에서 부각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 사례들을 통해 그 개념 및 특성들을 이해하기 위해 국내 업무공간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우선 커뮤니케의션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이에 배경이 되는 창의적 업무 공간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 특성들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보다 창의적인 업무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 되는 것에 연구 목적이 있다.;Industri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which is composed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the core of industry. In addition, most workings need to develop higher creativity, want interaction from around environment, and demand different environment from existing work. In other words, people who are able to think and discuss, take breaks from their active lives and want a lot of useful functions. Interior design is able to affect community work and creativity. Also, it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the induction for communication of freedom. This communication is classified as largely official and unofficial communication. The formal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official communications are subject to the permission of the communication that takes place in a state of an apparent systematic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unofficial communication makes a faster information transfer rate than the official communication because it is different system. Also, it forms a bind between members, and it has the motivation of the advantage of creative ideas. Consequently, the recent emphasis on creative productivity in the case of the corporate environment becomes busier in unofficial communication that guarantees freedom of expression as opposed to official communication. This research project is free from restraint of the space, and it makes a new plan of space by changing times.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pace and the working space is a developed place of the active communication, and its main contents that are comfortable and efficient makes it a creative work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The first part limits the background with the object and the plan of the scope with the way to suggest.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means of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features major theories of creativity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ork that results from it. Building on the second section, the third i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 kinds of active communications with the four cases that were analyzed. The fourth part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done for communications that enabled business for the creative design methods that are presented. The fifth part analyzes the content of the research in this study that outlines the substances after the conclusion that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in a creative workplace through a variety of design pract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work. It appears in the design of spaces investigated for these properties and methods. This is the first illustration of communications and is thus a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The background is often used in a creative work space. Most importantly, to underst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ork space are what remain active for communication purpo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