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의도된 음악에 대한 노인의 정서반응 실험연구

Title
의도된 음악에 대한 노인의 정서반응 실험연구
Other Titles
A Experimental Study of the Emotional Response to Intended Music in Older Adult
Authors
박효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The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responses to film music excerpts and the level of arousal from music in healthy older adults. A total of 53 older adults with the mean age of 74.6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screened to have no discernable hearing impairment prior to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twelve film music excerpts and identified the perceived emotion from each music among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They were also asked to indicate the intensity of the perceived emotion by marking on the 100 mm analog scale with a short vertical line.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although older adults tended to identify the intended emotion the most frequently for nine out of a total of 12 music selections, the correct response rates were still low. With regard tothe level of arousal from music, participants tended to rate the music excerpts which intended to express happiness or anger/fear with higher scores, compared to sad music. Still, differences in ratings were not found significant between the types of emotions. Also, a -tes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gender, education, music listening habit, and previous musical experiences. Thes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older adults tend to perceive the intended emotion of film music with the limited accuracy and intensity. Also, this population tend to show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motional responses depending on the types of intended emotion in music. It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in older adults. Also, it will present the information to base the music selection when intending to elicit emotional responses from this population.;본 연구는 노인이 의도된 음악의 정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인식한 정서에 대한 각성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청력에 이상이 없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전라도에 거주하는 66세에서 91세의 노인 남자 22명, 여자 31명으로 총 53명이었다. 피험자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12곡의 발췌음원을 듣고 정서반응질문지에 각 문항별로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의 네 가지 정서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정서의 각성정도를 10cm의 직선에 세로로 표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12곡의 음악 중 9곡에 대해 의도된 정서와 동일한 정서로 응답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정서유형으로 인식한 비율과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나머지 3곡에 대해서는 의도된 정서와 다른 정서로 인식한 응답수가 높았다. 정서별 각성정도에서는 슬픔에 비해 행복, 분노와 두려움의 정서를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의 폭이 크지 않았다. 또한 음악에 대한 정서인식과 성별, 학력, 음악 감상 시간, 음악 활동 경험의 개인적 특성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정 결과, 정서인식 반응과 개인적 특성 간의 연관성이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의 의도된 정서와 노인이 인식하는 정서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각성수준의 범위가 제한적임을 나타낸다. 또한 노인이 음악을 통해 인식한 행복, 슬픔, 분노・두려움의 정서유형에 따라 각성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음악에 대한 노인의 정서 이해를 높이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프로그램과 정서연구에서 음악의 선곡 시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