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학교 유형별 체육수업 선호도에 따른 체육수업운영 평가

Title
학교 유형별 체육수업 선호도에 따른 체육수업운영 평가
Other Titles
Physic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According to High School Type and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Authors
임경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according to high school type and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0 high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school type: male-only, female-only, and co-ed, and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These variables include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evaluations of: the teacher, the class, and the facilities, and finally desir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via χ², one-way ANOVA, and the t-test through SPSS. Both males and females generally liked physical education class regardless of school type. Groups from all three school types felt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helped them to alleviate their stress. Students at co-educational schools also thought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helped to increase their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tudents at male-only and female-only schools disliked physical education because it was difficult. Co-ed students disliked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y were unhappy with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contents. Students from all three school types generally agreed that physical education was necessary. Male students expressed a greater interest than female students in having mor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vailable to them. All students also had a greater interest in playing various ball games (basketball, soccer, baseball) and recreational activities (playing catch, tag, etc.). Male students thought that the biggest problems with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volved a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while femal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own lack of effor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Male students wanted to have showering facilities, while female students wanted an indoor gymnasiu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expressed a desire for swimming classes, while males also wanted to play soccer and females wanted to skate. Male students except who dislik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ought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d kindness, creativity, efficiency, good listener. All students except for the female students who dislik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ought their grade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objective and fare. These female students were dissatisfied because they thought that taller and stronger students had better grades for class. These students wanted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grades by including evaluations based on their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principles and theory. In general, female students felt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males. They felt that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acked knowledge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needs of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e many different ways in which physical education can continue to develop. Although female students complained that physical education was male-orient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y underestimate their own physical capabilities. However, even this reveals a deficiency in the physical education system. Hopefully physical education will increase female students' awareness of their own physical capabilities and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to go beyond their own self-imposed limitations about what high school girls can and cannot do. That being said, physical education should continue to focus on the specific needs of female students. Non-competitive or even cooperative activities should be interspersed with competitive games. Perhaps male students would hav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from these non-traditional formats. Furthermo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hysical education evaluation system should not be based on competition between other students, but instead should be based on student's improvement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class. To conclude, physical education should continue to develop diverse activities to engage all students. In addition, teachers should receive continuous education in order to continual develop and improve existing physical education programs. Lastly, the physical educatio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scal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not just the physically gifted. By implementing these changes, physical education can become a more significant part of students' lives and help them to pursue healthy lifestyles long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유형별 남·여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선호도에 따른 체육수업운영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특히 여학교 체육수업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3개를 대상으로 학교장과 교사의 협조를 구한 후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체육수업 참여, 체육교사에 대한 생각, 체육수업 평가, 체육시설 및 희망하는 신체 활동에 대한 차이를 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고, 체육수업의 효과와 여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및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생각에서 남· 여 대부분 좋아한다고 나타났다. 좋아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남학교, 여학교학생들은 스트레스, 긴장해소에 도움이 된다, 흥미와 소질이 있어서, 남녀공학 학생들은 스트레스와 긴장해소에 도움이 된다, 체력향상과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체육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다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체육수업시수에서는 현행 체육수업 주당 시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나 희망시수에서는 여학생과 달리 남학생은 체육수업을 좀 더 늘리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종목과 선호하는 활동은 학교 유형별 남학생/여학생, 체육수업 선호/비 선호 집단 모두 구기 종목을 원하였다. 수업 방법은 대부분 실기를 위주로 하는 수업이 높았고 여학생 체육수업 비 선호 집단만이 실기와 이론 반반 수업이 가장 높았다. 바라는 체육수업 유형으로는 학교 유형별과 남·여 체육수업 선호, 비 선호 집단 모두 게임이나 흥미 위주인 수업을 원하였으며 수업 시 문제에 관한 남녀 차이를 보면 남학생은 대부분 체육시설 및 기구 부족을, 여학생은 자신의 적극성 결여를 답하였다. 둘째,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남학생 체육수업 비 선호 집단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상하다고 생각하였다. 자신의 체육교사는 만능이라고 생각하였으며 교사의 지도방법은 자율적이고 특징이 있고, 창의적이고 효율적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대체로 존중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지도능력에 있어서는 학교 유형에 따라 여학교와 남녀공학의 남자 학생들은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반면 남학교와 남녀공학 여학생들은 그저 그렇다고 답하였다. 또한 남학생 체육수업 선호, 비 선호 집단은 체육교사의 지도능력을 그저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나 여학생 선호, 비 선호 집단은 뛰어나다고 답해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체벌에 대한 생각은 대부분 그저 그렇다고 답하였으며 학생들은 자신을 잘 이해하고 친절한 체육교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는 학교 유형별, 남·여 체육선호, 비 선호 집단 모두 객관적이라고 하였으며 평가시기에 대해 남자 체육수업 비 선호 집단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 종목이 끝날 때마다 라고 답변하였다. 또한 희망하는 체육성적 평가 비중에서는 전체적으로 실기 위주를 원하였으나 학교 유형별에서 여학교는 실기 위주, 실기와 이론, 태도 동일하게 나왔으며 여자 체육수업 비 선호 집단은 실기와 이론, 태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 평가는 각 집단 모두 공정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기 평가 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여학교와 여자 체육수업 선호 집단의 만족한다를 제외하고는 그저 그렇다고 답하였다. 또한, 실기시험에 대해 불만을 갖는 이유는 어느 한 부류(키가 크다, 힘이 세다)에 유리한 평가라서, 거리와 횟수, 시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는 종목만의 평가라서가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양적인 평가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평가와 향상도 등을 고려한 객관적인 평가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넷째,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생각을 학교 유형별로 비교해보면 남녀공학의 여학생을 제외하고는 모두 체육수업 효과가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남·여 체육수업 선호, 비 선호 집단을 살펴보면 선호 집단이 건강과 체력증진, 스트레스와 긴장해소, 대인관계와 질서의식, 운동기능 향상, 학업성적 향상과 집중력의 수업 효과에 대해 모두 비 선호 집단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즉, 체육수업을 좋아하는 학생들은 체력 증진과 같은 신체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정서적인 건강, 대인관계, 질서의식과 같은 사회적인 건강, 나아가 학업 성적, 집중력 향상과 같은 학습 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학교 유형별과 남·여 체육수업 선호, 비 선호 집단 모두 부족하다, 그저 그렇다고 답하여 모든 학생들이 체육시설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필요한 체육시설에 대해 모든 집단에서 남학생은 샤워실, 여학생은 모두 체육관을 가장 원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남자 체육수업 비 선호 집단을 제외한 남학생 대부분은 축구와 수영, 여학생은 스케이트와 수영을 하고 싶은 체육활동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 유형에 따른 여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면 여학교는 학생을 잘 이해하는 교사, 선생님의 이해 필요와 체력에 적합한 게임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남녀공학의 여학생은 학생을 잘 이해하는 교사, 선생님의 이해 필요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비 선호 집단 역시 학생을 잘 이해하는 교사, 선생님의 이해 필요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여학생들은 여학생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교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어, 교사 교육에 여학생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학교 유형과 성별, 선호와 비 선호 집단에 따라 학생들의 선호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 유형과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체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현재 체육수업에서 느끼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게임과 같은 비경쟁적이며, 협동하는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및 체육 시설 중에 남학생을 위한 샤워실과 여학생을 위한 체육관 시설의 확충, 그리고 특히 청소년기 학생의 사회 심리적, 체력 및 체격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체육교사의 재교육 및 양성 프로그램 개발, 체육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들과 여학생들에게 객관적이고 공정한 질적 평가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해결책은 학생들에게 체육에 대한 기회를 확대할 것이며, 나아가 졸업 후에도 체육을 통한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