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성윤신-
dc.creator성윤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5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8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5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형별 학급 구성형태에 따른 남녀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 수업 운영 시 남녀학생들의 체육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를 높이며, 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업 방법을 모색하고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체육학습의욕척도와 체육수업만족도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체육수업이 이루어지는 학급구성형태를 남녀별학(男女別學)의 동성학급과 남녀공학(男女共學)의 혼성학급 및 분리학급으로 구분하여 12개교를 임의로 선정한 뒤 남학생 879명, 여학생 881명 총 1,760명의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 한 뒤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체육수업 학급구성 형태에 따른 체육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성이 발견된 때에는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의욕도와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p<.05, p<.01, p<.001에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학생들의 체육학습의욕은 여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의욕도가 높게 나타난 순서로는 남자고등학교의 동성학급, 남녀공학의 혼성학급, 남녀공학의 분리학급 순서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학생들의 체육학습의욕은 남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습의욕도가 높은 순서로는 여자고등학교의 동성학급, 남녀공학의 분리학급, 남녀공학의 혼성학급 순서로 나타났으며,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는 남녀공학의 혼성학급, 남자고등학교의 동성학급, 남녀공학의 분리학급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는 여자고등학교의 동성학급, 남녀공학의 분리학급, 남녀공학의 혼성학급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체육학습의욕도와 체육수업만족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남학생의 체육학습의욕도와 체육수업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실패불안요인을 제외하고는 정적상관관계로 유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학생의 체육학습의욕도와 체육수업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남학생보다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남학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교육의 목적을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이라고 보았을 때 체육교과는 신체활동에 내재되어 있는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를 다루고 가르침으로써 전인이라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시킬 수 있는 교과임이 분명하다. 특히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한 체육교과의 지식 전수방법은 다른 교과와도 구별될 수 있는 고유영역이며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신체활동은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수의근의 작용으로 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신체 움직임에 대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의지와 활동욕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운동학습적인 측면에서 학습자의 운동수행 능력과 체력의 차이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고 학습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신체 움직임에 대한 의지와 운동수행 능력은 각 개인별로 다를 수 있으나, 특히 남녀 학생간의 차이는 중등학교시기 발달단계를 거치며 그 차이가 더욱 확연히 나타나기 마련이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동성이라 하더라도 학급구성형태에 따라 체육에 대한 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육교육을 실천함에 있어서 이러한 양성의 차이와 특징이 고려되어져야 하며, 특히 남녀가 함께 교육받는 상황에서는 성에 대한 더욱 민감한 주의가 기울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학습자 집단의 특징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이 계획․운영되어야 학교체육에서 체육교과가 추구하고자 하는 본래의 교육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양성의 균형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This research investigates and analyzes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s and class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and develop more effective ways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n high schools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satisfaction while they are involved in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760 samples of students including 879 male students and 881 female 1st graders students are attending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oyang-si, Gyeonggi-do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a survey of their eagerness to learn the PE syllabus and their gym class satisfaction.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was sco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Statistics Program 18.0. More specifically, ‘Cronbach′s α’ was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criterion adopted for this research and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general matters of the above student samples. Meanwhile, ‘One way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eagerness to learn PE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ym class organization types. As a post verification method, the Scheffe test was conducted to find any significant result. Then,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eagerness to learn and their class satisfaction, with the result of p<.05, p<.01, and p<.001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stated. 1. The eagerness to learn P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It was highest in male same-sex classes in male high schools, lower in coeducation co-ed classes, and lowest in coeducation same-sex clas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organization types. 2. The eagerness to learn PE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high school male students. It was highest at female high schools with all same-sex classes, lower in coeducation schools with co-ed classes and lowest in coeducation schools with coe-ed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organization types. 3. The gym class satisfaction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st in coeducational class, lower in male high school same-sex classes, and lowest in coeducation schools with same-sex classes. Here to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organization types. 4. The gym class satisfaction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was highest at female only, same-sex classes, lower in coeducation schools with, same-sex classes, and lowest in coeducation schools with co-ed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organization types. 5. The eagerness to learn PE and the gym class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e eagerness to learn PE and the gym class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excluding the ‘failure of fear’ factor, while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relatively less correlated than the male students. The trend, however, was very simil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연구가설 5 D.용어의 정의 5 E.연구의 제한점 7 Ⅱ.이론적 배경 8 A.남녀공학제도 8 B.혼성체육수업에서의 쟁점 9 C.체육학습의욕 13 D.체육수업만족도 17 E.선행연구의 고찰 21 Ⅲ.연구방법 24 A.연구대상 24 B.연구도구 25 C.자료수집 27 D.자료분석 28 Ⅳ.연구결과 29 A.고등학교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체육학습의욕도 30 B.고등학교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체육수업만족도 44 C.학습의욕도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64 Ⅴ.논의 67 Ⅵ.결론 및 제언 73 A.결론 73 B.제언 75 참고문헌 76 부록 80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6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등학교 유형별 학급구성형태에 따른 남녀 고등학생의 체육학습의욕과 수업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s and Class Organizations-
dc.creator.othernameSung, Yunshin-
dc.format.pagex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