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5 Download: 0

간호사의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간호사의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Authors
최미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간호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중의 하나는 잘 훈련된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간호사의 이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간호업무환경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모든 간호사가 똑같은 강도로 느끼고 반응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최근 간호사의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방안으로 개인의 강점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둔 적응유연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간호사의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은 교수체제설계 절차에 따라 적응유연성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타당도 검증을 받고 예비조사 및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중 근무경력이 1년 이상 10년 이하인 간호사로 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 총 56명이었다. 프로그램은 2013년 8월 12일부터 9월 4일까지 4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실험군은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을 2시간씩, 주 1회, 총 4회 제공받았다. 자료 수집은 중재 1주 전과 중재 직후에 시행하였으며, 자료측정도구는 적응유연성 척도(Wagnild & Young, 1993)와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척도(Watson, Clark, & Tellegen, 1988) 중 긍정적 정서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Cohen, Kamarck, & Mermelstein, 1983)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를 2*2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MANOVA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적응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5.499, p=.023). 2.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긍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2.634, p=.001). 3.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14.286, p<.001).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의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고 지각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기성찰을 통한 학습과정중심으로 구성된 적응유연성 증진 프로그램을 간호사가 적응유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간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four educational sessions with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positivity,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ve, self-reflective, creative and therapeutic processes within the group, which was a workshop. The study desig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was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56 subjects had 1 to 10 career years were composed with experimental group(n=28) and control group(n=28). and investigated the changes in resilience, positive affect, perceived stress of nurses after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August 12, 2013 to September 4, 2013 in the E university hospital and S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by x² test, Independent t-test, and 2*2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MANOVAs)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ilience than that of control group(F=5.499, p=.023). 2.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itive affect than that of control group(F=12.634, p=.001). 3.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perceived stress than that of control group(F=14.286, p<.001). The resilience train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and the positive emotion, decreasing the perceived stress of nurses. This program can be used in a method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