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Title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uthors
안지숙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동안 잠재적인 건강 위험요인을 갖게 되며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함께 관리해야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건강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 이해, 처리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건강문해력을 갖춰야하나 언어장벽과 환경적․문화적 변화로 인해 낮은 건강문해력을 가질 위험성이 크며 이는 건강수준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건강강문해력 측정도구가 개발되지 않아,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건강문해력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1.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는 문헌고찰과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16개의 초기 예비문항구성 후, 3차례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3개 요인 14개 예비문항으로 수정되었다. 이후 전문번역사를 통해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 후 한국어에 능통한 결혼이주여성으로부터 감수를 받았고, 사전조사로 문항의 이해도, 응답소요시간 등을 점검하였다. 최종 수정․보완된 14개 문항으로 시․군․구 각 1개 지역, 총 3개 지역의 결혼이주여성에게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자 수는 229명이었다. 2. 도구의 타당도 검정은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로 확인하였으며, 구성타당도는 요인분석, 집단비교 및 수렴타당도를 통해 검정하였다.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제 1요인 4문항, 제 2요인 4문항, 제 3요인 2문항의 총 3개 요인 10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 3개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을 61.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비교법에 의한 검정 결과, 체류기간이 짧은 집단, 학력이 낮은 집단, 주관적 한국어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최종 도구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렴타당도는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측정문항과 모성지식 측정도구를 통해 검정하였는데,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모성지식이 높을수록 최종 도구의 총점이 유의하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준거타당도는 REALM-SF(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Short Form)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는데, 최종 도구의 총점이 높을수록 REALM-SF의 총점도 유의미하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내적일치도로 산출하였는데, 전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α 값은 .773이었고, 3개 구성요인은 각각 .760, .768, .533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는 문항 수가 적고 측정 소요시간이 짧으며 자가보고형(self-reported) 문항으로 대상자의 응답부담이 적어 보건의료현장에서나 대규모 설문조사 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적용편이성이 높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읽기능력에 초점을 둔 기존의 기능적(functional) 건강문해력 측정도구와 달리 상호적(interactive) 건강문해력과 비판적(critical) 건강문해력까지 포함하여 측정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교육자료 개발 뿐 아니라 보건의료제공자의 의사소통 전략 마련 및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self-report measure that quickly assesses health literacy of Asian women who migrated to South Korea through marriage, guided by the health literacy model (Nutbeam, 2000). After a literature review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16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These items were submitted to experts in nursing and research methodology for consultation and three rounds of content validity evaluation, resulting in three factors and 14 preliminary items. The 14 item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y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the translation was reviewed by native speakers of each language who are also fluent in Korean. Levels of comprehension and difficul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through a pilot study with 20 Asian immigrant women. A 14-item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Data were collected from 229 Asian immigrant women who were residing in three regions in urban and rural areas.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nown-group validations, and convergent validity tests. Factor analysis yield final 10 items in three factors including health literacy factor 1, health literacy factor 2, and health literacy factor 3, explaining 61.9% of the total variance of health literacy of Asian immigrant women. In addition,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using known-group validations in accordance with time since immigration, education, and subjectiv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recent immigrants, those with low education levels, and low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ith regard to convergent validity,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specific self-efficacy and maternal health knowledg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ALM-SF.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was .773 for the overall instrument. The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KHLAS) represents a complex, multidimensional construct which encompasses functional, interac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This self-report measure can be a useful method for appraising health literacy among Asian immigrant women, and is easily administered and scored. The KHLAS has potential uses in both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for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enhance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