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노찬숙-
dc.creator노찬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159-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1992년 한중 수교를 체결한 지 20여 년이 넘었다. 그동안 양국은 정치·경제·무역·문화·교육 분야 등 다양한 방면에서 폭넓은 상호 교류의 증진을 가져왔다. 현재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 되었으며 많은 한국의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다양한 품목의 제품들을 생산하고, 또 그들을 다시 소비의 대상으로 전환하여 활발한 내수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국의 산업별 개방 정책에 따라 금융이나 보험, 방송, 교육, 법률 등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도 속속 진출하고 있어 앞으로 중국 시장은 한국 기업들에 있어 해외 시장이 아닌 전 산업 분야에서 또 하나의 한국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비즈니스 부문의 인재를 더욱 많이 필요로 한다는 것은 물론, 취업을 준비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광문(2011)은 중국 내 대학 기관과 비정규 한국어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어 학습에 대한 열의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고,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취업을 하기 위한 것으로 보았다. 장영(2009)은 중국 8개 대학 한국어 학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졸업한 학생들은 50% 이상이 취업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지금 중국 대학 한국어과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82%의 학생이 졸업하면 전학이 아닌 취직을 하겠다고 하였다. 이처럼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졸업 후 취업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철(2008)은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대학마다 나름대로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전문 인재 양성과 취업’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만드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진정란(2011 재인용). 그러나 중국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의 주요 내용은 비즈니스 교재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만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많다. 취업을 준비하는 학습자들이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것은 한국어를 능숙하게 표현하는 것인데 의사소통 능력을 전제로 한 비즈니스 교재는 중국 내에서 찾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언어를 표현하고 내재화를 이루려면 다양한 연습 활동과 상호작용적인 기술들을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 중국 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중국의 비즈니스 교재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장영(2009)은 중국의 한국어 전공자들이 직장에서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의 직원과 같이 일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어휘로 인한 말하기 정확성이 부족함과 말하기의 상호 능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밝혔고, 직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휘를 선정하여 정리하였다. 서민아(2012)는 교재 전체의 교육 방향을 알 수 있는 교육 목표가 뚜렷하게 밝힌 교재가 없고, 단원 구성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보다는 지나치게 전통적인 교육법을 지향하고 있으며, 교재 구성이 대외 업무 또는 사무 업무의 한 방향으로만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흑백 글씨체로 텍스트가 구성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어려움이 있고, 잘못된 맞춤법, 부적절한 어휘 수준 제시, 번역이나 어휘 확인 정도의 단순한 과제 지시, 한국 개별 기업의 문화, 직장 문화 및 예절 관련 내용도 부족해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기존의 선행 연구와 실제의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느낀 바는 직장에서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어 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비즈니스 한국어 회화 교재를 찾아보기가 힘들어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고려하여 교재를 개발할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목표를 기준으로 참고하여 구성할 것이며, 중급 이상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중급에서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유창하게 의사소통에 임할 수 있고, 사회적 소재와 관심 분야에 대해 표현할 수 있으며, 공식적인 상황에서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다. 기본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며 한국 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고급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분명하고 상세하게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고,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으며, 공식적·비공식적 맥락과 구어적·문어적 맥락에 따라 언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아래와 같은 교재 개발 원리를 반영할 것이다. (1) 특수한 상황에 어울리게 자세한 목표를 제시한다. (2) 의사소통 교수 원리를 적용한 통합형 교재로 구성한다. (3)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갖고, 연습을 통해 4대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4)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직장 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5) 비즈니스에서 요구되는 언어와 지식을 함께 습득한다. (6) 실제적인 본문을 구성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7) 실제적인 사진이나 그림, 삽화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돋운다. (8) 전반적인 직장 생활에 대해 간접 체험을 하며 한국 비즈니스 문화에 대한 이해를 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교재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1 Ⅱ. 선행연구 검토 3 A.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 대상 학습자 집단 3 B. 대상 학습자 집단의 요구 3 C.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4 D. 교수 학습 상황 7 Ⅲ. 목표 교재 개발의 기반 교수법 11 Ⅳ. 교재의 구성과 교재 사용의 교육 효과 12 1. 구성 13 1) 전체 구성 13 2) 단원 구성 15 2. 교재 사용의 교육적 효과 16 Ⅴ. 교재 17 VI. 부록 64 참고문헌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7762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