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종묘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현장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itle
종묘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현장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Field Trip in Jongmyo Shrine
Authors
김진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동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Program of Scientific Field Trip in Jongmyo Shrine. This study would focus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necting scientific knowledge with real-world problems and changes in the scientific attitudes, when the student group itself has been the subject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by knowledge acquired through before science field trip, activity recording papers and smart devices in Jongmyo Shrin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This study was based on activities of 19 students who attended the Center for Gifted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s. In this qualitative works, we carried out th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cience field tri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cience field experienced trip materials and reorganized them. We expla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location of Jongmyo Shrine and asked them to write what to learn or to do and what to do after the science field trip through the pre-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the pride of Jongmyo Shrin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The science field trip was conducted on a group basis consisting of 3-4 people with one teacher of each group. The teacher acted as an observer for three groups, but as a guide for two groups. After the science field trip, misconceptions were corrected through discussions. We conducted interviews for each group and individuals, and analyzed the science field trip materials and modified the materials. Ou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atial recognition is different among individual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a systematic scientific knowledge is well prepared for real-world problems. Third, Cooperative learning makes learners to get more interested in science and help them solve the problem through mutual exchange of ideas. Fourth, the science field trip with smart devices help students to involved in science, but we recommend a limited usage of smart devices.;본 연구의 목적은 종묘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즉,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종묘에서 사전 활동을 통해 습득한 종묘에 관한 역사적 사실과 배경, 활동지 및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학생 스스로 탐구의 주체가 되어 모둠별 활동을 실시하였을 경우 과학 지식을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황에 연계하여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그러한 활동을 통한 과학적 태도의 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탐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화영재교육원 초등 과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활동, 현장 활동 및 사후 활동은 물론 집단 면담과 개별 면담을 실시했다. 사전 활동으로 종묘의 역사적 배경과 위치를 설명하였고 사전 설문지를 통해 종묘에 관한 정보 검색과 현장 활동을 통해 배우고 싶은 것이나 하고 싶은 활동 및 기대되는 사후 활동 내용을 적어 보도록 지도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종묘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더불어 대부분의 학생들이 종묘와 같은 문화재 탐방 경험이 있었고 설명만 듣는 탐방 활동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원했다. 또한 사후 활동으로는 모둠 활동사진을 스크랩하거나 발표, 또는 신문을 만들어 정보를 공유해 보는 것을 제안하였다. 현장 활동에서는 3~4명으로 구성된 모둠별 활동을 실시하였고 각 모둠마다 1명의 교사가 배치되어 세 개의 모둠에서는 관찰자로, 나머지 두 개의 모둠에서는 안내자로 그 역할을 하였다. 현장 활동이 끝난 후 사후 활동에서는 모둠 활동에서 오개념으로 형성될 만한 문제들을 수정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간의 토론 시간을 마련하였다. 그 이후 집단 면담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촬영 동영상과 활동 전사 및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를 비교하며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교사의 지도 없이 모둠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공간 방향 감각의 개인차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미 학습한 과학 지식을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황에 적용하는 경우 사전 개념을 구체화하거나, 오개념이 있었지만 협동 학습을 통해 자신들의 과학 개념이나 지식을 재구성하여 명료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러한 현장 체험 학습에서 소규모 협동 학습은 상호 보완적 효과를 강하게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학관이나 천문대와 같이 과학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아닌 역사적 요소가 강한 종묘라는 공간에서 과학적 요소를 찾아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슬기를 찾아보는 소규모 협동 학습은 상호 의견 교환을 더욱 활발하게 만들어 주었다. 더불어 과학 탐구 활동의 흥미 유발을 위해 최근 활용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측정 도구로 사용해 보았다. 스마트 기기에 나침반, 각도 측정기, 거리 측정기, 길이 측정기, 지도 보기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탐구 활동에 각자 사용하도록 제시하였다. 처음부터 손쉽게 도구 사용을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사용이 서툴렀다. 하지만 같은 모둠 친구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며 사용법이나 측정법 등을 알아가며 재미있게 탐구 활동을 진행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활동지에 제시한 방법과 다른 방법을 시도해 보면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었다. 탐구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스마트 기기에만 너무 집중하는 경우 친구들과의 대화가 방해받거나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한된 사용이 좋다는 평가를 하였다. 현장 활동 후 학생들과의 집단 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종묘에서의 과학 탐구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새로운 현장 체험 학습 장소인 종묘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 활동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 속 우수한 과학성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에서 배운 과학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과학 교육의 장으로서 우리 문화재이자 세계인들도 함께 공유해 나아가야 할 자산인 세계 문화 유산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