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학교통일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Title
학교통일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and the improvement of it
Authors
이혜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agnosis the present stat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by researching unification consciousness of Korean student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made through theoretical study and the research of unification awareness. First, specific goals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are to be set, so that teachers can conduct 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ly at schools. Second, the ways of increasing the time of unification education to students have to be devised through changing some regular schools to model schools . Third,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turned in a positive direction. Fourth,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have to be composed of social and cultural parts in which students can take interest. Last, the education methods have to be changed. Students have been got instructor-led classes so far, but they can participate in classes and learn a lot from it.;본 연구는 학생들의 통일의식을 조사하여 학교통일교육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학교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현황 등을 비교적 최근의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특별히 추상적이고 규범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통일교육의 목표를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고, 학교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크게 통일교육 소외현상, 교육방법의 획일화, 흥미 없는 교육내용, 교사들의 역량부족 등의 4가지로 살펴보고 이에 다른 대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통일의식 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총 4개 고등학교의 남녀 재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2곳의 학교는 통일교육 시범학교 학생들이었다. 이들의 통일의식을 조사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청소년의 통일문제 무관심에 대한 우려와는 달리 대부분의 학생들이 통일문제에 대해 관심이 있었으며, 학교에서도 어느 정도 통일교육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범학교 학생들의 경우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통일의식의 인지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의식차이를 보였다. 이는 시범학교의 교육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며, 동시에 정의적 영역으로의 교육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이론적 배경과 통일의식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학교통일교육에 대해 제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통일교육이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일반학교에서 시범학교 의 우수사례를 통해 학생들이 통일교육을 받는 빈도를 늘리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북한에 대한 인식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정적인 응답을 보인 것은 학교 통일교육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방향을 심어주는 역할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교육내용이 정치·경제적인 측면에 지나치게 치우쳐져 있으며,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사회·문화적인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교육방법이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어느 영역에서 어떻게 통일의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파악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학교통일교육에 대해 제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교육 시범학교의 교육적인 효과를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학교통일교육의 방향유도가 필요함을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통일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통일교육이 학교와 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