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1 Download: 0

양성 평등 의식 교육에서의 남녀 공학의 효과성 분석

Title
양성 평등 의식 교육에서의 남녀 공학의 효과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es of Co-educational Effects through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uthors
이라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우리 나라 중‧고등학교에 남녀 공학 형태의 학교가 점차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남녀 공학이 가지는 효과성에 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들이 다수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만큼 학교 유형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바, 본 연구는 남녀공학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유형 별로 양성 평등 의식과 성역할 정체감 및 사회과 학습자료의 성차별성 구별 능력을 각각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지역에 소재하는 남녀 공학, 별학 여고, 별학 남고 1교씩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설문 연구하였다. 남녀 공학 학생의 수는 1, 2학년 남학생 136명, 여학생 172명과 별학 여고 학생의 수는 1, 2학년 199명 및 별학 남고 학생의 수는 1, 2학년 196명으로 하여 총 7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하여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 평등 의식에 있어서 남녀공학 학생과 별학고 학생의 차이를 볼 때, 별학고 학생의 의식이 남녀공학 학생의 의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다만 출신 중학교별로 남학생만을 분석한 결과 출신 중학교가 남녀 공학인 남학생이 남중 출신 남학생보다 양성 평등 의식이 높게 나왔고, 특히 남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남녀 공학을 나온 남고 학생의 양성 평등 의식이 높게 나온 점은 한편으로 남녀 공학의 긍정적인 효과로 보여진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에 있어서 남녀공학 학생과 별학고 학생의 차이를 볼 때, 공학고 학생의 여성성이 높게 나타나 별학고 학생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양성성은 별학고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남녀공학 남학생과 별학 남학생 간의 비교에 있어서는 공학고 남학생의 여성성이 높게 나타나고, 별학 남학생은 양성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 간 비교에서도 공학고 여학생은 여성성이, 별학 여학생은 양성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과 학습 자료의 판단 능력에 있어서 남녀공학과 별학 간의 비교를 봤을 때 전반적으로 별학고 학생들의 판단력이 공학고 학생들의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 간의 비교에서는 별학고 남학생이 남녀공학 남학생보다 성차별적 요소를 더 잘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희소성의 영역에서 보다 높은 판단력을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별학고 여학생이 성 고정관념 영역에서 공학고 여학생보다 높은 판단의식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양성 평등 의식, 성 역할 정체감 및 사회과 학습자료의 성차별성 판단 능력에 있어서 고등학교 유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양성 평등 의식과 사회과 학습자료의 판단능력 부분에 있어서는 통제변인 중 성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하여 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보다는 여학생과 남학생 간의 차이가 두드러지며 오히려 별학고 학생들의 평등 의식 및 판단 능력이 약간 더 높게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양성 평등 의식이 높게 나타남은 앞서 살펴본대로 양성 평등 의식을 실질적 측면에서 실현하여 적극적인 평형화를 이루고자 원하는 쪽은 여성일 것이고 남성은 소극적으로 변하거나 기득권의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최근 공학 형태의 학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음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의 시간의 대부분을 몸담고 있는 학교 유형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양성 평등 의식, 성 역할 정체감 및 사회과 학습자료 판단 능력 등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하여 학생들은 학교 유형에 따른 영향보다는 개인적 사항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들의 양성 평등 의식 고취를 위하여 단순히 학교 유형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개선과 발전 의지를 적극적으로 함양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진보해나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할 것이다. ;With an increasing trend of co-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co-educ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which in turn reflect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role of the school format. Given this trend, in order to grasp the effectiveness of co-ed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areas/criteria based on the format of the school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dentification of gender roles, as well as the judgment ability for gender differentiation in the social sciences curriculum.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in regards to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tended to show higher level of awareness than students from co-ed schools. However, when analyzing only the male students based on the format of middle school they attended, we found out that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co-ed middle schools displayed a higher level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than those who had graduated from boys only middle school. In particular, when we singled out students from boys only schools, those who had graduated from co-ed middle schools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which can be seen as a positive aspect of co-education. Second, in regards to the identification of gender roles, students from co-ed schools displayed a noticeably stronger identification with femininity than those from single sex schools (t=2.516, p<.05). On the other hand,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displayed a stronger identification with androgyne. When male students from co-ed schools were compared with male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the co-ed students showed a stronger identification with femininty while single sex school students showed a stronger identification with androgyne. In regards to female students, co-ed students also identified more with femininity, while single sex school students tended to gear towards androgyne. Third, in regards to the judgement ability for gender differentiation in the social sciences curriculum,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displayed a greater ability than students from co-ed schools. When only male students were compared, single sex school students showed a greater ability in terms of noticing gender discrimination features/factors than those from co-ed schools; they displayed particularly higher judgment ability in the area of scarcity. As for female students,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demonstrated a greater judgment ability in the area of gender prejudice. In summary, when gender equality, gender identification, and the judgment ability for gender differentiation in the social sciences curriculum were considered, the format of high school was not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regards to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the recognition of gender differentiation, the gender, among all control factors,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In other words, it is the difference in gender that affects these variables more than the format of school itself; students from single sex schools were actually found to have a slightly great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judgment ability for gender differentiation than those from co-e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ee that since female students tended to exhibit great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an male students, it would be the female students who would be more willing to push for gender equality by attempting to realize it from practical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hat male students would want to either remain passive or try to maintain the status quo. In light of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co-ed schools, this study, with the goal of finding out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format of school in which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has looked at the following three area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dentification of gender roles, and the judgment ability for gender differentiation in the social sciences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re influenced more by their personal conditions rather than the format of the school they attend. Therefore, in order to advocate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mong students, we should not simply rely on the format of the schools, but must actively foster our willingness for change and development,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advance on their ow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