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이주은-
dc.creator이주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7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743-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의 육성과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이 교육의 목표라고 할 때, 협동학습과 구성주의적 교육 환경은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다.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과 타인을 배려하며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는 공동체 의식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총체적 지식을 구성하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교수-학습이 전개될 경우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실현되며 교육적 효과는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협동학습 중 GI모형을 중심으로 구성주의적 수업을 적용하고 이 과정과 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협동학습과 구성주의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협동학습의 개념, 요소, 효과 및 유의점, 협동학습의 여러 모형과 GI모형에 대해 알아보고, 구성주의적 측면에서는 구성주의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리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구성주의적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한 논문이 많았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수업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지식 구성 과정 자체를 분석한 연구는 소수였다. 특히 구성주의에서 강조하고 있는 협동학습의 진행 과정에서의 지식 구성 관찰 및 분석에 대한 논문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학업성취 향상 부분과 학습자의 흥미도 향상에 대한 통계 분석이 아닌 한 학급에서 협동학습 GI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모둠 내에서 학습자들의 대화 과정, 모둠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 협동학습 자체에 대한 인식 변화 등에 대해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 GI모형 적용에 있어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실제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지식 구성 과정과 학습자의 실제 수업 전․후의 지식 변화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모둠 활동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개별적 책무감이 모든 구성원에게 높게 나타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 중 ‘기후 경관과 산업’ 단원을 선정하여, 실제 총 7차시에 걸쳐 수업의 적용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3~6차시가 GI모형을 적용한 협동학습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S고등학교 1학년 4학급 9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GI모형의 소집단 구성은 1학기 중간고사 사회 교과의 학급 등수를 기준으로 모둠별 4~5명씩 이질적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적용 전 연구 주제인 세계 기후의 구분, 세계 기후의 경관과 산업과 관련되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내용과 학습 목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의 학습 내용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전 개별 설문지 작성을 시작으로 각 세부 기후의 특징에 대해 모둠 별로 학습 과제지를 작성하고, 마지막에는 모둠별 발표 준비를 통해 학급 발표 후 동료평가 및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7차시에 사후 개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모둠 학습 과정을 녹화를 통해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개별적으로 작성된 사전․사후 학습지를 통해 협동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지식 구성의 변화에 있어 협동학습의 모둠학습 과정 분석을 통해 구성원끼리 토의하는 과정 속에서 보다 고차적인 지식이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정리, 발표하는 과정 속에서 개인의 맥락적인 상황에 맞춰 본인 스스로 지식을 직접 구성해 나갔기 때문에 실제 수업 적용 전․후의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있어 큰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 존중감 향상과 긍정적 상호 의존성의 변화 여부를 살펴봤을 때 구성원들끼리 학습 과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서로 격려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허용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지를 작성하거나 자료를 찾아가면서 본인이 할 수 있다는 자신감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는 결국 다른 구성원을 존중하는 긍정적인 상호 의존성과 자아 존중감이 수업 과정 중 일부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개별적 책무감 향상 정도에 있어 구성원 개인마다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모둠 활동 과정에서 학습활동에 대한 개개인의 참여도가 강의식 수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 과정 상의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등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보면 책임감 부여를 위해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에 개인 및 동료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협동학습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분석한 부분이 많았다. 본 연구는 학생들끼리의 자체적인 모둠학습과 구성주의적 상호작용을 결합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변화에 초점을 맞춰 수업을 설계․적용한 후 그 과정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는 교사 주도의 경쟁적 강의식 수업이 아닌 학생들의 스스로 수업 과정과 지식 자체를 구성해나가는 구성주의적 접근이라고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본 연구는 입시 부담이 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고1 학생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설계되었는데 이러한 특수적인 환경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를 교육적 환경이 다른 모든 학교에 일반화시키기 어렵다. 실제 수업이 7차시에 걸쳐 단기간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육적 효과를 단정 짓기 어렵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의 결과물 자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학습자들의 활동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결과물에 대해 질적인 판단을 하고자 했으나, 교실 수업에서 일어나는 교수-학습 과정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 knowledge, sex attitudes and communication of sexual matters with parents upon sex act of the youth. And, the study investigated not only difference of the youth's sex knowledge, sex attitudes and communication of sexual matters with parents depending upon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but also effects of the knowledge, the attitudes and the communication upon sex act of the youth. As a goal of education, when we set fostering creative and self-driven talents that will lead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of 21st century, cooperative and constru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s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 to realize the objective. Cooperative learning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diverse and complicate problems of our society and a sense of community to respect others. Furthermore, when our education is give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ism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construct general knowledge,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can be realized and, as a result,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apply a constructive class based on GI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and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the class model. To attain the objective,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onstructive edu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the trend of the study was confirmed. In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looked into the concept, factors, effectiveness, cautions, several models and GI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t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of constructive education. The review of the precedent studies found that there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focused on the designing and application of constructive class. However, it turned out that only a few studies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construct knowledge. Particulate, there were a mere number of studies that observed and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the present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idn't limit its afford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s academic interest, but tried to expend its research scope to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GI) to actual classroom and examining the dialogues of students in group learning process, their attitudes in group participation and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nowledge and to find out the change of knowledge before and after the class of GI model based on constructionism, using dialogues of the learning group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looked into how the interdependency of the members of groups is represented and whether they come to have a sense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or not. As a research tool, this study chose the unit ''Climate Landscape and Industry' of social studies learned by the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Total 7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research objects. Of them, the 3rd through 6th session were run in a manner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applied with GI model. 98 students were sampled from 4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heterogeneous groups of 4 to 5. Before the application of GI model to classroom, the contents and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 classification and landscape of world climates- were reviewed to design the learning contents and goals for the applied class.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in advance. Then, group task assignment sheet was design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sub-climates. Last, assessment was conducted on group presentation by peer group and self-evaluation. At the 7th session, each student was asked to fill out an individual questionnaire. Group learning was video-tap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members.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was assessed with self-filling learning sheet before and after 7 sess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constructed higher level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It is assumed that such remarkable improvement would be made because they constructed their own knowledge fit to their own contexts in the processe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summarizing data, and making presentations. While they were doing task assignment with group members, they showed tolerating attitudes such as cooperating with members, encouraging other members and hearing them out. These attitudes evidenced that the student had positive interdependence on each other, respecting others. In addition, since each member was assigned an own role, they show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group learning than teacher-oriented class. Therefore, it can also be suggested that the students had a sense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some degree. Judging from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as follows. Most of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cooperative learning. However, the present study combined self-driven group learning and constructive interaction in designing class model targeting the participation and change of students and applied the designed model to actual classroom to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 of it. This way of designing class is not a teacher-directed class but a constructive approach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construct class process and knowledge. This study is worth in that it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voluntarily and observed them interacting with others. The present study designed a learning model of 7 sessions and applied it to the first graders, relatively less stricken with burden of entrance exam,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refore, this specific research design can imply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overall education settings. In fact,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short-term application of 7 sessions, so that it is too early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is model.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learning process of learners, rather than examine the outpu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 a hope to determine the results qualitatively. However, it still has a limit that it couldn't analyze the overal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 from various ang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절차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0 A. 협동학습 10 B. 구성주의적 교육 17 Ⅲ. 수업의 재구성과 적용 및 과정 분석 24 A. 수업의 재구성과 적용 24 B. 대화와 협력을 통한 수업 과정 분석 29 Ⅳ. 수업 후 지식 형성의 결과와 협동학습 인식 분석 39 A. 학습자 내용 인식 분석 39 B.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47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록 59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66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협동학습의 구성주의적 수업 과정과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1 '기후 경관과 산업' 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ve Class Curriculum of Cooperative Learning-
dc.creator.othernameLee, Ju Eun-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