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지영-
dc.contributor.author배성신-
dc.creator배성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2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2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0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회에서 부정적 감정의 기호로서 ‘우울증’과 ‘여성’이 연관되어 등장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보편적 젠더’로서의 여성 범주를 전제하는 방식에 비판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여성 우울증의 원인을 생식능력과 성역할에서 기인한 것으로 설명하였던 기존의 논의방식에서 탈피하여, ‘여성’을 ‘문제’로 보는 우울증 담론 자체가 우울한 여성을 생산해내는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시대의 변화된 조건 속에서, 성별규범에 관한 갈등들이 감정의 문제로 축소되는 국면들을 살펴보았다. 본질화된 방식으로 여성의 우울증을 설명하는 담론의 효과는 무엇이며, 여성의 감정을 매개로 젠더규범을 재/생산할 때에 ‘여성’범주는 어떻게 재구성 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우울증 담론에서 성별에 따른 유병률을 강조하고 여성의 우울증을 독립적인 방식으로 서술하는 것은 ‘여성’과 ‘우울증’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 때 여성은 전 생애에 걸쳐 우울증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 간주된다. 여성의 우울증은 해부학에 근거한 ‘성별의 차이’로 설명되는 한편, ‘필연적으로 겪어야 할 일’로 설명되고 있다. 여성의 우울증이 생리-임신-출산의 흐름에 근거하여 해석될 수 없는 경우,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로 기대되는 조건들이 ‘우울증’의 원인으로 다루어지게 된다. 우울증 담론은 ‘여성’을 성별분업이 이루어지는 가족 구성원으로 위치시켜, 가족주의를 강화하는 매개로 작동하고 있다. 둘째, 우울증 담론에서 여성의 감정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우울’은 신자유주의시대 성공신화와 만나 부정적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실패자의 감정, 목표에 달성하지 못하거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이들의 감정이 주로 ‘우울’로 통칭된다. 따라서 우울증의 예방을 위한 감정관리가 하나의 규범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한 엄마’의 등장은 우울증으로 인한 모성의 결핍 즉, ‘여성의 본질’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위협하면서 우울증의 경계를 한층 강화하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우울증 담론에서는 중년의 연령과 임신 등의 특정한 경험을 가진 여성의 우울증만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편적인 여성의 우울증으로 설명하여 여성을 고정적이고 단일한 범주로 묘사하였다. 감정관리의 내용은 그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어, 여성이 처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구체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실상 개인의 성격과 정체성이 ‘외모’를 통해 구성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성차별적인 인식과 이성애 규범을 정당화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신자유주의시대의 ‘여성’범주는 우울증 담론을 통해 기존의 성별이분법을 강화하며 재구성된다. 여성 우울증의 원인을 호르몬 변화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는 것은 여성을 단일한 존재로 가정하고, 생식능력으로 ‘여성’범주를 제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성 호르몬은 생식능력 즉, 생리-임신-출산-폐경의 시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으로 다루어지며, 여성의 우울한 감정은 이러한 ‘몸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된다. 감정에 대한 관리의 방법은 여성에게 정교하게 제시되며, 여성에게 특히 감정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여성을 대인관계에 의존적인 존재로 바라보면서, 여성 우울증을 성별 특징을 고려하여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감정의 잣대는 남성과 여성에게 각기 다르게 적용되어 감정의 과잉과 적정이 성차별적인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감정의 영역에서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의 의미를 구성하는 데에는 성별규범이 적극 활용되고 있었다. 특히나 중년의 여성들이 우울한 주체로 활용될 수 있었던 것은 이성애적 감정회복의 서사와 ‘엄마’의 감정에 관한 해석이 모성이라는 규범적 틀 안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에서 감정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는 철저하게 개인의 ‘선택’에 달린 문제로 치부되지만, 실제로 ‘감정’이라는 것은 모두 가시화되지 않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정서와 규범적 틀 안에서 발현된다. 결국 젠더화된 우울증 담론은 신자유주의적 주체로서 감정관리를 통해 여성 스스로 젠더규범을 내면화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시대의 우울증 담론에서 여성의 우울증은 생물학적 요소와 성역할에서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생물학적 성(sex)과 성차에 따른 역할로 보편적 젠더(gender)로서의 여성 범주를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성’ 범주를 강화하고 재/생산할 뿐, 새로운 범주를 상상하지 않는 방식으로 작동되었다. ‘감정’의 문제를 개인의 질병의 문제로 단순화하여, 감정의 의미가 성별화된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는 과정과 맥락은 은폐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신자유주의시대 한국사회에서 생산되고 있는 우울증 담론은 ‘감정’을 매개로 성별 이분법을 재생산하는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tervene critically into the convention that women are considered to be 'universal gender', focusing on the current phenomena which relate 'women' to 'depression', as a sign of negative emotion, from 2007 in Korea. The existing researches tend to explain that female depression results from reproductivity and gender roles. Hence, this study, breaking from the certain traditional way of dealing with women depression, is attempted to inquire of whether the discourse of depression itself regarding 'women' as 'problem' produces depressed women.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situation which conflicts over gender norms are reduced to the matters of emotion under the changing condition of neoliberalism. I analyzed what the effect of the discourse, which accounts for female depression in an essentialized way, is, and how the category of 'women' is reconstituted while it reconstructs gender norms through women's emotion. The results are such as follows. First,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is highlighted and female depression is treated in a different form in the discourse. These ways create the effect that shows 'women' are closely relevant to 'depression'. At this moment, women are counted as the object required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throughout a whole lifetime. Women depression is modified in two ways; 'gender differences' based on anatomy and 'inevitable hardships'. In the case that it is unable to be construed on a basis of the evolvement in menstruation-pregnancy-childbirth, the conditions for women's role are rendered as its cause. The discourse of depression affects to strengthen familism as it locates 'women' in the member of the family enacted gender division. Second, 'depression' is utilized as the negative sign encountering the myth of success in the era of neoliberalism upon investigation into how women's emotion is manipulated in the discourse of depression. The emotion felt by who fails to achieve her goal or to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n amicable way is commonly called as 'depression'. Consequently, emotional management for the prevention of it becomes one of norms. Since 'Gloomy mom' appears in the discourse, she serves to consolidate the boundary of depression threatening motherhood, which is supposed to be 'the essence of women'. Even though the certain experiences such as the mid-life and pregnancy are centered on the discourse of female depression, those are assumed to the general type of it, describing women as static and unitary category. With different depiction depending on its subject and target, the contents of the emotional management are reified as measures to settle the situation to which women face. However, it is apparently applied to legitimize the gender discriminative perception and normative heterosexuality fostering the idea that individual personality and identity are formed from 'appearance'. Third, reinforcing the existing gender dichotomy through the discourse of depression, the category of 'wome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is re/build. It is believed that the cause of women depression is the hormonal change in the discourse of it. Its effects are that women are presumed to be unitary being and that the category of 'women' is restricted to reproductivity. The female hormone is perceived as problem at the reproductive stage, that is to say the sequential process of menstruation-pregnancy-childbirth-menopause. The manner of the emotional management is proposed to women on a more elaborate basis, since it is emphasized to them. In the discourse of women depression, women are represented to be dependent on interpersonal ties. Therefore, it is argued that female depression must be treated in the light of the distinctive gender characteristic. Moreover, as the emotional standard refers differently to men and women, whether the level of the emotion is either optimal or excessive is determined in gender discriminative way. Gender norms are actively utilized in constructing the meaning of both 'femininity' and 'masculinity' in the emotional site. In particular, it is discovered that the middle-aged women play a part of the depressed subject in the discourse of depression. Because, the narrative of the heterosexually emotional recover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others'' emotion are conducted in the normative 'maternity' frame. The way of managing the emotion is exhaustively deemed a matter of personal 'choice' in Korea. Not only are 'emotions' invisible, however, but also they are manifested in the socioculturally shared feeling, which it is normative frame. Gendered discourse of depression invites women themselves, as the neoliberal subject, to internalize gender norms through the emotional management. Women depression is explained by the biological factors and gender roles throughout the discourse of it in the era of neoliberalism. Since it supposes biological sex and universal gender as certain roles in compliance with sexual differences, the existing category of 'women' is intensified and reconstituted. With trivialization of 'the emotion' as the only personal disorder, both the process and the context which produce its meaning in a gendered way are easily covered. The neoliberal discourse of depression in Korea serves to the apparatus that rebuilds gender dichotomy by 'the emotion', encouraging its management in marketized fo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기존연구 검토 3 C.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7 Ⅱ. 여성의 우울증 : 생애주기와 가족주의 14 A. 여성의 나이와 우울증 15 1. 성별에 따른 유병율의 강조 15 2. 우울증과 여성의 나이 17 B. 정상가족의 매개 : 여성 우울증 25 1. 결혼과 메리지 블루(marriage blue) 25 2. 임신과 우울증 난임 여성의 우울증 29 3. 중년의 위기 빈둥지증후군 31 Ⅲ. 신자유주의시대 성공신화와 감정관리 34 A. 실패의 감정 우울 35 1. 감정과 질병의 모호한 경계 35 2. 성공-실패의 이분법과 선택되는 감정 37 B. 규범적 감정과 책임 43 1. 우울한 엄마의 등장 44 2. 삭제된 가족과 남겨진 주부 47 C. 구체화되는 감정관리 50 1. 감정관리의 방편 몸 관리 담론의 균열 51 2. 산후 우울증의 경고와 자기통제 56 Ⅳ. 재구성되는 여성 범주 62 A. 고정된 젠더로서의 여성 63 1. 호르몬의 지배를 받는 여성의 몸 63 2. 성별화된 감정 : 여성적 감정들 71 3. 이성애적 감정회복 76 B. 신자유주의시대 여성 범주 80 1. 여성 범주의 차별화 전략 80 2. 여성 범주의 강화와 성별규범 85 Ⅴ. 결론 91 참고문헌 94 분석자료 98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00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신자유주의시대 감정관리와 '여성' 범주의 재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디어의 여성 우울증 담론 분석-
dc.title.translatedThe Emotional Management and Reconstruction of the 'Wome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 A Discourse Analysis on Female Depression in the Media-
dc.creator.othernameBae, Sung Shin-
dc.format.pagev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