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이유경-
dc.creator이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65-
dc.description.abstract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Korea children with normal and mental retardation on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s. The curren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echnologies are largely based on conceptual models of adults who are not disabled (Light, 1993; Light & Drager, 2002; Light & Lindsay, 1991). As a result, there are cognitive demands placed on young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previous studies,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language organization conditions. Play contexts were developed by eliciting each of the target vocabulary items; the rates of using this system, however, were low especially in free play situation. The purposes of study were (1) how accurate are group 4- and 6-year-old Korean children locating vocabulary pre-stored in AAC technologies using an place-related and categorical organizations , and (2) which language organization would be preferred in the group. We used place-related organization condition instead of event-related organization con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personal event schema of young children. Thirty-nine children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rteen children are with mental retardation(MR) age from 4 to 6, thirteen are chronical age matched peers(CA-N) and thirteen are language age matched peers(L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cate vocabulary item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n accuracy testing session and a preference testing session. The 27 items (18 items for accuracy test and 9 items for preference test) were selected from lists of words frequently used by young children. All vocabulary items were concrete nouns. The findings from the two-way mixed ANOVA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n accuracy based on place-related. There was difference in group between MR and CA-N, CA-N and LA-N in accuracy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MR and LA-N.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n accuracy based on categorical organization. All of these three groups(MR, CA-N and LA-N) show higher effect in the placed-related condition rather than categorical one. There was effect of interact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based on language organization(categorical & placed-related). CA-N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both language organizations, categorical condition of the MR was higher than that of LA-N, placed-related condition of the LA-N was higher than that of MR. Second, there was no effect of interact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by language organization(categorical & placed-related) preferred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laced-related condition is more effective than categorical condition for accuracy performance in MR children's vocabulary items. However, the two language organizations of preference perform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suggests that 4- and 6-year-old children struggled to organize their language concepts. Although the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the language organizations of AAC systems for MR children. And this study allow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particular vocabulary choice navigation type is not limited to the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navig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condition of preferred to the array of vocabulary should be provided flexibly.;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어휘를 배우고 습득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어휘들을 조직화하여 범주화를 형성, 의사소통을 할 때는 범주화 된 틀 안에서 목표하는 어휘를 찾는 어휘 선택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범주화에 대해 Light(1992)는 네 가지 어휘 선택 경로를 제시하였는데 일반적인 전형성 및 위계적 질서에 따른 분류학적 범주화, 사건 도식에 따른 도식적 범주화,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는 철자 범주화, 개인적 경험 및 사고에 따른 개인적 범주화 등 네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이하 보완대체의사소통) 기술은 지적장애를 동반한 복합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언어를 사용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자연스러운 언어 발달과 보완 또는 대체적인 대체의사소통이라는 두 가지 목표 모두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 의사소통 및 사회관계적 특성, 학습상의 강점, 지적장애를 지닌 아동들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전반적인 발달 패턴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어휘 선택 경로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최근에 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보완대체의사소통 서비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National Joint Committee for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003).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기존의 어휘 연구는 아동보다는 성인에게 맞추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아이들에게 지나치게 많은 학습과 초과된 용량, 주의 집중력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보완대체의사소통 분야에서 아동을 위한 새로운 보완대체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의사소통의 힘은 어떤 상황에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데 있지만,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그 기술을 알기 쉽게 최소한의 교육만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기능적 배열, 공간적 배열)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잠정적 대상자인 지적장애 아동을 정상발달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어휘 선택 경로를 다르게 사용하는지를 살펴보고 지적장애 아동들이 실제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학습 용량을 줄이고 목표 어휘에 대한 선택 경로의 구조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및 경기도,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만 4;0-6;8세인 경계선급-경도 지적장애 아동 13명을 실험집단으로, 지적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로는 보편적 설계 기반 PC로 장애아동들은 물론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PC ATIV를 본체와 분리하여 태블릿 PC로 사용하였다. 이 태블릿 PC에 지식경제부 산하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 사업과제인 한국형 의사소통 콘텐츠 및 프로토콜로서 음성합성 기능을 가진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 '마이토키(가칭)'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과제적응단계, 정확도 평가단계, 선호도 평가단계 순서로 진행되었다. 과제적응단계에서는 마이토키의 사용에 적응하기 위해 연습용 목표어휘를 제시하여 아동이 제시된 배열에서 어휘 선택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정확도 평가단계에서는 기능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목표어휘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대상 아동들은 연구자가 과제유형에 따라 임의적으로 나눈 실험세트에 따라 반은 기능적 배열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먼저 실시하고, 반은 공간적 배열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먼저 실시하였다. 선호도 평가에서는 기능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의 어휘 선택 경로가 동시에 제시되며, 목표어휘를 듣고 배열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정확도 점수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집단(MR)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 집단이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CA-N 집단에 비해 지적장애 아동은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고, CA-N 집단에 비해 LA-N 집단 아동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지적장애 아동 집단과 LA-N 집단은 집단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휘 배열 유형에 따른 정확도 점수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세 집단 모두 기능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산출 하였다. 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는 기능적 배열과 공간적 배열 모두 CA-N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기능적 배열에서는 지적장애 집단, LA-N집단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배열에서는 LA-N 집단, 지적장애 집단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에 따라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선호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지적장애 아동 집단과 LA-N 집단은 기능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고, CA-N 집단은 기능적 배열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지적장애 아동 집단이 어휘 발달이 지체되어 있기는 하나, 생활연령이 어린 일반아동의 정상적 발달과 비슷함을 보였다. 즉, 집단간 어휘 경로 배열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지적장애 아동 집단은 생활연령이 빠른 CA-N 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LA-N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아동의 어휘 발달단계가 생활연령보다는 언어연령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또한, 특정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가 기능적 배열 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선호도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지적장애 아동이 어휘 선택 경로에서 위계적으로 조직화 되고 범주화 된 배열이든, 사건과 경험에 의해 범주화된 배열이든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목표어휘에 대한 정확도는 공간적 배열이 기능적 배열에서 보다 더 높을지 모르나, 선호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일만큼 더 선호하는 어휘 선택 경로의 배열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이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 할 때, 사건과 경험에 의해 범주화 되는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가 더 높았으나 선호도에서 어휘 선택 유형에 따른 배열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어휘를 선택 할 때 특정한 어휘 선택 경로에 한정하지 않고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과 경험을 고려하여 어휘 유형 경로에 따른 배열을 유연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태블릿 PC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8 B.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연구 11 C.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역동적 디스플레이와 어휘 경로 13 D. 지적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의 어휘특성 15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실험과제 24 C. 연구절차 30 D. 자료분석 34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35 Ⅳ. 연구 결과 36 A.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정확도 차이 36 B.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선호도 차이 41 Ⅴ. 결론 및 논의 43 A.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의 정확도 43 B.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의 선호도 48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 62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6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태블릿 PC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 정확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Language navigation type with Tablet PC-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AAC) in Language Organization selection of children with Normal and Mental Retardation.-
dc.creator.othernameLee, Yu Gyeong-
dc.format.pagex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