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에 기반한 현대시 이러닝 콘텐츠 개발 연구

Title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에 기반한 현대시 이러닝 콘텐츠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in poetry education based on the dialogue-centered teaching method : focusing 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third graders at middle school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최근 정보화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듦에 따라 청소년들은 디지털형 생활 방식과 그에 따른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실제 공간 못지않게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특성과 사이버 공간의 기능을 고려하는 효과적인 교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국어과에서도 실제 교실 학습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학습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일련의 시도들이 기존의 수업 내용을 디지털화하는 데에는 일정한 기여를 하였으나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적 고려가 부족했다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대화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중학교 국어 과목 중 현대시 교육의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학습의 대표적인 사례인 사이버 가정학습은 방과 후 학습자가 가정에서 이러닝을 활용해 학교 수업 보충은 물론 수준별 학습까지 시공간을 가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교육 서비스로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 중에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2014년부터는 정부의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중 하나인 디지털 교과서가 과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이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자료 중 ‘보충-심화 학습 자료’는 사이버 가정학습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교과서와 사이버 가정학습이 연계됨에 따라 사이버 가정학습을 이용하게 될 학습자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이버 가정학습 내에서 이러한 사회 변화와 학습자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과 연계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이 현실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중학교 국어과에서 지금까지 다루어 온 현대시 교육은 시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암기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왔다. 이러한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를 수동적으로 만들고 있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다양하게 해석하여 서로의 관점을 비교하고 수용할 수 있는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의식 아래 정부 주도하에 만들어진 사이버 가정학습 가운데 중학교 3학년 국어과 콘텐츠를 분석하고, 현대시 교육에서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이 이러닝 콘텐츠 내의 학습 커뮤니티인 ‘Wedorang’을 통해서 현실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대화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의 기원과 모형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닝 콘텐츠, 교수 설계와 스토리보드, 사이버 가정학습, 상호작용 유형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하게 될 개념과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Ⅱ장에서는 사이버 가정학습 콘텐츠를 분석할 평가 준거를 마련하였다. 콘텐츠 분석 평가의 준거는 현직 중학교 3학년 국어과 교사들과 현업에 종사 중인 교수설계자 및 이러닝 개발자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설문 영역은 일반적인 시 수업에 관한 측면,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에 관한 측면, 설계적 측면, 기능적 측면으로 크게 네 가지였는데, 설문지는 전문가 집단의 특성에 맞추어 각각 다르게 제작하였다. 현직 중학교 3학년 국어과 교사들에게는 먼저 에듀넷에 관한 일반적인 질문을 구성하였고, 이어서 일반적인 시 수업에 관한 사항과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에 관한 사항을 학습자 요구, 지도 방식, 지도상 어려움, 지도 중점, 상호작용, 평가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현업에 종사 중인 교수설계자 및 이러닝 개발자들에게는 콘텐츠를 개발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에 대해 설계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나누어 그 중요도를 표시하게 하여 콘텐츠 분석 평가 준거를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시도별 사이버 가정학습의 현황과 중등 에듀넷의 화면 구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2007년 개정 9학년 국어 교과서 12종에 수록된 현대시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9학년 국어과 대단원 공통 중 소단원인 ‘다양한 해석’에 관한 콘텐츠의 학습 구성을 파악하였다. 이어 Ⅱ장에서 완성된 이러닝 콘텐츠 평가 준거를 사용하여 ‘문학 작품 해석의 다양성’에 관한 콘텐츠를 일반적인 시 수업에 관한 측면,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에 관한 측면, 설계적 측면, 기능적 측면의 세부 내용을 토대로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Ⅳ장은 2013년 7월에 개발된 학습 커뮤니티 ‘Wedorang’ 시스템을 통해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이 각각 어떻게 현실화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구안하였다. 또한 각 대화의 구현 방법에 대해 대표성이 있는 설계 방법을 추출하여 이육사의 「청포도」를 학습 제재로 선정하여 설계 전략 및 프로토타입의 스토리보드를 제시하였다. 사이버 가정학습 콘텐츠에서 대화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과 ‘Wedorang’ 시스템이 어떻게 연동되고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2014년에 도입되는 디지털 교과서에 맞추어 자기주도 학습으로 그 활용 가치가 높아질 사이버 가정학습의 활성화에 대해 정리하였고, 현재 ‘Wedorang’이 개발된 상태와 아직은 구축되어 있지 않으나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관해 앞으로의 대안적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정리한다면 현직 교사와 이러닝 개발자와 같은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타당성 있는 이러닝 콘텐츠 평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는 점과, 대화 중심 교수 학습 방법에 기반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2014년부터 도입될 디지털 교과서와 보충-심화 학습 자료인 사이버 가정학습, 학습 커뮤니티인 ‘Wedorang’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이 어떻게 현실화될 수 있는지 구안함으로써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와 콘텐츠 개발에 하나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cently, as the world is moving into information age, adolescents are establishing digital life style and ensuing identities, and cyber space is working as a communication ground where they can build and confirm their identities. As the need for effective education service considering their characters and function of cyber space is increasing, many trials for education in the cyber space that could complement and replace actual school education are being hel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let those series of trials to digitalize existed contents of class, but with awareness of lack in consideration on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increasing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letting effective education could be achieved, and tried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by applying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modern poetry education among Korean subjects in the middle school. The cyber home study system which is one of typical example of utilizing cyber space let the leaners to use e-learning system at home after school, as a education service that could use regardless of space and time from complemental class for school to differentiated class, the office of education of 16 cities and provinces are using it since 2005 to now. And one step further, the digital textbook, one of smart education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will be applied successively from 2014. Among the education contents of digital textbook, ‘supplementary-advanced learning material’ is indicat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as this being linked to digital textbook, the learners who will us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ill increase more. Therefore, understanding this social change and character of learner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which could provide the ground for communication being affiliating with education are required. The modern education which has been treated so fa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of middle school has been focused on analyzing and memorizing modern poetries. This modern poetry education makes learners to be passive. So,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s which learners could enjoy literatures, interpret in various ways, and compare each other's view and accept it is required. In the stud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mong cyber home education which has been made under the government with this critical mind and tries to find the way to realize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in the modern poetry class through ‘Wedorang’ which is a study community in e-learning contents. In Chapter Ⅱ, the origin and model of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are introduced, and notions and theoretical ground that will be used in this study are verified based on existed studies regarding e-learning content, instructional design and story board,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interaction types. Also in Chapter Ⅱ, evaluation ground for analyz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has been prepared. It is developed based on survey results from current Korean teachers of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instructional designers who currently working on the field, e-learning developers and etc. The survey area was four big types as perspectives on poetry class, dialog-centered teaching learning, design, and function, and it has been design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s. To the teachers who worked in department of Korean of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the general questions regarding EDUNET are provided at first, and items relating to poetry class generally and items concerning dialog-centered teaching learning are surveyed with dividing into questions like learners demand, teaching method, difficulties in teaching, teaching-oriented, interaction, and evaluation. From the instructional designers who currently worked in the field and e-learning developers, the content analyzed evaluation standard was deducted by marking that degree of importance with dividing into design aspect and functional aspect about items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ly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In Chapter Ⅲ, it grasped the present condition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screen layouts of EDUNET for secondary education. Also it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modern poems in those 12 kinds of Korean textbooks for 9th graders which were revised in 2007, and investigated the layout of learning contents on ‘various interpretations’ which is sub-unit among common chapter of Korean textbooks for 9th graders. Based on the e-learning contents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established in ChapterⅡ, following Chapter Ⅲ also examined the contents of ‘diversity of in literary work interpretation’ based on details of the aspect of general poetry class, the aspect of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aspect of design and the aspect of functions. In Chapter Ⅳ discussed the way of how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to realize in each via ‘Wedorang' which is learning community system developed in July, 2013. Also, by extracting the design methods which has representatives on realization methods of each dialogue, selecting the chapter called「Green Grape」 by Yuk-sa LEE as a learning material and proposing the design strategies and prototype storyboard. The chapter also seek about how, in the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dialogue-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works with ‘Wedorang’ system and how the concerned method is actually operated. Lastly, in Chapter Ⅴ, it organized the vitalization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which will be promoted as a valuable self-driven learning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digital textbook which will be introduced in 2014, and suggested future alternative development strategies concerning the part where needs improvements even wasn't constructed yet and developed condition of current 'Wedorang'. To sum up achievement of this study and its significance, e-learning content evaluation standard which has a validity is developed based on experts like current teachers and e-learning developers, and detailed result of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based on dialog-centered teaching learning method is suggested. Also this study has its meaning on the digital textbook which will be introduced from 2014, cyber home learning which is complement-advanced study materials, and ‘Wedorang’ which is study community to seek how various interaction can be realized, and suggested one way for relating study and developing the cont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