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742-
dc.description.abstract국어과 교육에서 수행 평가는 1990년대 말부터 연구되어 왔는데 주로 읽기 영역과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수행 평가가 7차 교육과정에서 권장하는 평가 방법이 되면서 쓰기 영역과 말하기 영역에도 연구가 활발해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도 널리 적용되었다. 하지만 문법 영역에 있어서의 수행 평가에 대한 연구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도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일반계 A 고등학교에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법 수행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법 수행평가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있는 그대로 기술한다. 연구자는 내부 참여자이자 연구 대상자를 관찰하는 연구자의 시각으로 학교 현장 속 교사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기록하고 해석하여 A 고등학교 교사의 실제 협의 사례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법 수행평가를 면밀히 살펴보고 그 과정에 일어나는 문법 수행평가의 흐름을 담는다. 동시에 문법 수행평가를 바라보는 교사들의 자세 및 의식의 변화와 평가에 대한 시각을 검토하면서 반성적인 자세로 문법 수행평가의 발전적 방향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문법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이기 때문에 문법 수행평가의 현상으로 일반화될 수는 없지만 실제 고등학교에서 문법 요소가 수행평가의 대상이 되고 평가로 이어지는 과정을 내밀하게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2013년 10월에 걸친 문법 수행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이루어졌던 교사간의 협의 내용을 상기하거나 녹음을 통해 전사하여 이를 일차적으로 코딩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그리고 연구자는 반성적 성찰 및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자료 수집과 자료에 대한 해석을 동시에 이루면서 고등학교에서 실행된 문법 수행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맥락 및 수행평가에서 문법 영역이 갖는 특수성에 대해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흐름은 Ⅳ장에서 볼 수 있는데 Ⅳ장에서는 고등학교의 문법 수행평가를 실행 전 준비 단계와 실행 단계에서의 수정 및 보완의 적용 단계, 마지막으로 수행 평가 실행 후 나타난 문제점 및 실행 후 느끼는 교사들의 총평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의 문법 수행평가의 한계와 보완점이 대두되었고, 수행평가를 위해 몇 차례의 협의를 거쳤지만 정작 문법 수행평가는 변죽만 울리고만 문법 수행평가였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수행평가가 될 수 있도록 그 내용과 형식, 평가 방법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민을 하였지만 결국 본 수행평가에서 이루어야 하는 ‘언어 순화’라는 수행 목표에 도달한 학생은 매우 적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본 수행평가는 성공적이라고 볼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1) 문법 교육을 위한 수행이 이루어졌는가 2) 학생이 주도하는 수행으로 이루어졌는가 3) 교사 협의를 통한 의사 소통은 원활히 이루어졌는가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번 문법 수행평가의 실행 과정을 성찰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본 수행 평가가 수행 평가 접근, 학습 요소 선정, 평가 기준과 방법 등에서 문법 교육을 위한 방향으로 계획되지 않았다는 것과 학생 주도로 실행되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교사 협의에서 교사 간 의사 소통이 수행평가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실제 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법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교사에서 찾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학교 현장의 문법 수행평가 실행을 통해 교사에게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자세가 반드시 필요한 요건임을 밝히고 있다. 본고를 통해 질적 연구가 연구하는 교사의 가치를 공고히 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협의가 국어 교육의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기를 기대한다.;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late 1990s mainly on literature and reading parts. Around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the Seventh Curriculum encouraged schools to use the performance assessment so a number of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writing and speaking parts were conducted, leading the assessment to be used at many schools. However, researches on the assessment of grammar parts can hardly be found and it is seldom used in the school field. For this reason, this high school describes how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Korean grammar parts is implemented. The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is based on the teachers’ discussion which they have in order to practice the assessment for the general high school first graders. The researcher, as an internal participant who observes the subjects with a researcher’s perspective, keeps track of vivid stories of teachers at the chalkface and interprets them, focusing on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made by A high School teachers’ actual discussion.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reviews teachers’ awareness of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changes of their attitude toward it. The research aims at reflecting on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and finding better way of it. It cannot be generalized since it is a case study on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Nevertheless, it is valued in that it keeps careful eyes on the procedure where grammatical elements become subjects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are evaluated at the actual high school. For this, the details of teachers’ discussion for implementing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from July to October 2013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as research materials. The researcher collected materials and interpreted them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ctive writing, while analyzing problems of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was used at the high school as well as finding the contexts of the problems and the uniqueness of Korean grammar parts in the assessment. There are more details in Chapter Ⅳ where it presents the procedure of high school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preparation stage, application of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stage, and the final stage for teachers’ comments on the result and the problems. The limitations and the supplements of high school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s so teachers had several discussions for them. Unfortunately, it turned out that implementing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produced no meaningful results. Teachers tried to revise from its contents and format to the way of evaluation in order to make the assessment more meaningful to students. But the assessment could not be seen as a success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ached the performance goal, “purification of Korean language” were very few. According to this, the researcher reflected on three aspects of the process of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1) Was this performance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2) Did the students lead the performance autonomically? 3) Did teachers’ discussio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With thre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it was not planned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erms of approaching performance assessment, selecting learning element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Besid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erformance was not led by students and the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in discussion could be a crucial factor for successful performance assessment. Overall,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 of the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employed in many schools and the ways for teachers to find its solution from themselves by examining the real case of the actual high school. Also, it indicates that being a “research-minded teacher” is a necessary qualification for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would enhance the value of teachers who are striving for study and teachers’ discussion in the school field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와 범위 3 C. 선행 연구 검토 3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교 현장에서의 국어과 문법 수행평가 6 1.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맥락 6 2. 국어과 문법 수행평가의 속성과 의의 9 B. 국어과 문법 수행평가 실행 주체로서의 교사 11 1. 협의를 통한 수행평가의 실행 11 2. 수행평가 실행을 통한 자기 장학 14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1. 연구 현장 17 2. 연구 참여자 18 B. 방법 및 절차 20 C. 자료 분석 23 Ⅳ. 연구 결과 25 A. 수행평가 계획 협의 25 1. 수행평가 구성 25 가. 수업 진도에 따른 수행평가 26 나. 점수 산출을 위한 수행평가 28 2. 문법 수행평가의 특수성 30 가. 문법 영역에 대한 교육적 안목 부족 31 나. 계량화할 수 있는 평가 방식 마련 32 B. 문법 수행평가의 교사 협의 사례 33 1. 수행평가 전 : 어떤 수행평가를 해볼까요 33 가. 국어과 내 교사 변동 34 나. 문법 수행평가 세부 사항 설정 37 다. 2차시 분량의 수업 자료 제작 40 2. 수행평가 중 : 수행평가 진행은 잘 되고 있나요 46 가. 교사 설문을 통한 보완점 발견 47 나. 교사 협의를 통한 수행평가 수정 및 보완 50 3. 수행평가 후 : 평가는 잘 이루어졌나요 58 가. 수업으로 반영되지 않은 협의 내용 59 나. 협의 교사와의 인터뷰 1 72 다. 협의 교사와의 인터뷰 2 82 C. 문법 수행평가에 대한 성찰 88 1. 문법 교육을 위한 수행 89 가. 수행평가 접근의 문제 89 나. 학습 요소 선정의 문제 90 다. 평가 기준의 문제 93 2. 학생이 주도하는 수행 97 가. 자료 수집의 문제 97 나. 분반 수준의 문제 100 다. 평가 방법의 문제 102 3. 교사 협의를 통한 의사 소통 104 가. 수행평가의 방향 설정 105 나. 수행평가의 문제점 발견 107 다. 교사 신뢰 형성의 과정 108 Ⅴ. 결론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20 부록 124 ABSTRACT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59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고등학교 문법 수행평가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의 성찰과 성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A 고등학교의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dc.title.translatedTeacher's Reflection and Growth through Implementing Korean Grammar Performance Assessment at High School :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of A High School in Seoul-
dc.creator.othernameKim, Min Jung-
dc.format.pagevi,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