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탈북학생 대상 대안학교 교사의 국어 수업전략 연구

Title
탈북학생 대상 대안학교 교사의 국어 수업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Korean Teacher in the Alternative School for Students in North Korea Defectors
Authors
이민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탈북청소년의 국내 입국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탈북학생의 학습 부적응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 탈북학생의 학습 부적응에 교사의 열의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산출되었으나, 교사의 지도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어교육 연구 동향 역시,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중등 국어교사들의 수업방법을 포괄하여 구체적으로 진술한 연구가 전무하다. 현장에 있는 교사는 수업방법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전략에 관한 연구가 실행되어 수업설계에 기틀을 마련해 줄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7명의 대안학교 교사의 국어 수업전략을 추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사의 국어 수업전략이 탈북학생의 어떤 특성을 반영해 개발 및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으며, 수업전략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의 국어 수업전략을 추출하고 그 특성을 논의하였다. 국어 수업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범위를 둔 고입고졸검정고시를 중심으로 행해진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문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 경험과 비판적 이해 및 창의적 표현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 반면, 7명의 교사의 수업은 ‘고입고졸검정고시 국어과 합격’이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고입고졸검정고시에 직접 제시되지 않는 듣기, 말하기는 생략하였고 쓰기는 대학 진학을 위해서만, 읽기는 원리 지도 보다는 원활한 문학 수업을 위해 활용하고 있었다. 즉, 고입고졸검정고시로 인해 교육내용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탈북학생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는 교수․학습 모형의 변화를 가져왔다. 수업전략은 탈북학생의 학습 경험의 결핍은 능동적인 이해와 경험을 유발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교사 중심으로 지식을 전달하거나 학습법을 지도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문학 및 읽기 수업에서 교사는 문학영역에 생소함을 가진 탈북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남한 평가 방식에서 어려움을 겪는 탈북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해결 전략을 행하였다. 또한 반복학습으로 지루함을 갖는 탈북학생의 흥미를 고려하여 시청각 매체 전략을 활용하였다. 문법 수업에서 교사는 어휘 지식이 부족한 탈북학생들을 위해 문맥 정보를 이용한 의미 발견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기초 어휘 보완을 인지하는 기억 강화 활동이 행하였다. 또한 문제 풀이를 통해 문맥 지식을 귀납적으로 익혀 자신감과 만족감을 주는 동기유발 전략을 행하였다. 쓰기 수업에서 교사는 탈북학생이 대학 진학을 원한다는 점과 대학에서 수행해야 할 쓰기능력 저조하다는 점을 고려해 글을 구조화하는데 중심을 둔 장르 중심의 지도 전략과 정서법을 중심에 둔 결과 중심의 지도 전략이 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추출한 수업전략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수업전략의 개선 방향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3년도에 개발된 <탈북학생 지도용 국어과 교육과정 표준안>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교육내용이 소통, 학습, 치유, 공존 영역이 통합적으로 연계되도록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하였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공통적으로 학습자의 이해 및 활동, 그리고 학습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전략 역시 탈북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보았다. 문학 및 읽기 수업에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탈북학생의 활동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스토리텔링 전략은 말하기의 주체를 탈북학생으로 설정하고 듣기에 대한 지도를 행해야하며, 문제해결 전략은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에 적용되어 충실한 내용 점검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점진적으로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한다. 매체 활용 전략은 학생이 주체가 되어 매체를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문법 수업은 문법 지식 신장을 위해 탈북학생의 이해를 중시할 필요가 있다. 의미 발견 전략은 의미를 탐색하고 자신의 언어로 이해한 어휘를 되새기는 과정이 필요하며, 기억강화 전략은 어휘 목록을 구성하여 반복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동기유발 전, 교사가 문법에 대한 선 이해를 갖고 귀납적으로 도출한 문법 지식을 명확히 설명해주어야 한다. 쓰기 수업은 쓰기 과제를 지속할 수 있도록 과정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장르 중심의 쓰기 전략은 탈북학생이 반성적 평가를 행할 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결과 중심의 쓰기 전략은 쓰기 과정 중 격려를 행하고 오류를 범한 문장을 정리해 주는 지지가 있어야 한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삼았던 기존의 연구 관점을 교사 대상으로 전환하여, 탈북학생의 학습 부적응을 해결할 수 있는 수업전략을 추출하였다. 둘째, 개인의 수업사례가 아닌 7명의 교사 수업을 논의하여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수업전략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그 과정이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탈북학생 대상 국어 수업전략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 문법, 쓰기 영역과 같은 다소 광범위한 국어영역을 서술하였다. 넷째, 탈북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 중심으로 학습 방법을 지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여러 국어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전략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여섯째,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교사가 참조할 수 있는 수업방법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는 탈북청소년의 교육지원을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탈북학생 역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이기에 흥미를 느끼는 활동이나 국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에서 남한학생과 교집합적인 성격을 갖추고 있었다. 연구의 논의가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어 수업전략을 규명하는데 의의가 있으나, 남한학생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국어교사는 국어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일반학생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논의를 참조하는 국어교사는 대안학교 비(非)전공 교사가 부족함을 보였던 국어지식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전무한 탈북학생 대상 국어 수업전략의 연구를 행했다는데 의의가 있음에도, 다소 광범위한 국어영역을 다룸으로서 각각의 수업전략을 밀도 있게 서술하지 못하였다. 또한 선행연구가 전무하여 수업전략의 개선 방향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못했다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탈북학생 대상 수업전략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시행되어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국어교사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trac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rom korean class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s for students in North Korea defectors and to organize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ctor students reflected in korean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determined, and the amendment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discussed. In chapter 1, research methods are introduced. The specimens are 7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s for students in North Korea defectors. The one-to-one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for each specime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xtracted, classified and organized in the procedure. The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pproach is applied in this study. In chapter 2,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in North Korean defectors are investigated as design consideration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In chapter 3,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investigated from interviews with the specimens and educational properties of thes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discusse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categorized as reading, grammar and writing instructional strategies by range of questions of korean language subject in Korean graduation equivalency examination. In chapter 4, improvements and amendment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rom chapter 3, are discussed. Student-centric learning of the defector students in class as primary educational player are suggested and emphasiz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Student-centric learning strategies motiva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defector students and intensify their educational intention. The significanc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argets in research perspectives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changed from the defector students to their teachers in the alternative school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systemized and improved to solve their educational maladjustment by this change. Secondly, reliability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gained and procedural similarity in instructional strategies by consideration for those of the 7 teachers. Thirdly, wide field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are considered, even though there is no precedent research in related field. Fourthly, teacher-centric learning are conducted in current alternative school since unusu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North Korean defectors are applied to instructional strategies. Fifthly, improvement method and amendment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discussed in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field. Sixth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teach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