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9 Download: 0

통합유치원에서 실시한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가 장애 유아와 또래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유치원에서 실시한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가 장애 유아와 또래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ing the Teaching Method of Asking Questions Using Smart Technology- Case Study of a High School History Classes on World War 1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통합교육의 활성화로 인하여 많은 장애 유아들이 일반교육 현장에서 또래들과 함께 교육을 받게 되었다. 통합교육 환경은 장애 유아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고 일반화와 유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건이 고루 갖추어진 곳으로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교수를 위한 최상의 실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중재와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물리적인 통합만 이루어진다면 오히려 사회적 기술의 결함을 가지고 있는 장애 유아가 교실 상황에서 또래 관계 및 또래와의 상보적인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가지는 위험한 환경이 될 가능성이 크다. 통합 환경에서 장애 유아와 또래의 원만한 관계를 위하여 세심하게 계획된 중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상보적인 관계의 문제인 만큼 장애 유아나 일반 유아 어느 한 쪽에만 치우쳐서 교수되기보다는 모두를 위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유치원에서 장애 유아와 또래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단짝친구 기술 중재는 사전에 훈련받은 일반 유아와 장애 유아가 단짝친구가 되어 하루 일과 속에서 함께 있기, 같이 놀기, 이야기하기의 기술을 실행함으로써 장애 유아가 또래로부터 적합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또래 주도 교수방법이다. 1992년부터 지금까지 여러 국외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단짝친구 기술 중재를 우리나라 통합유치원 현장에 맞게 구성하여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급 차원의 중재로 실행함으로써 학급의 다양한 또래와 일상적 활동에서 발생하는 의미 있고 자연스러운 학습기회를 활용하고, 또래가 장애유아를 동등한 학급 구성원으로 인식하도록 도우며, 장애유아에게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는 기초 중재가 되도록 하며, 복합 중재 요소를 적용하여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을 연계하려 하였다.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단짝친구 기술교육, 시각자료, 단짝친구 놀이, 촉진, 비디오 피드백, 정적강화로 구성되었으며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의 구체적 실행 절차는 대집단 상황에서 함께 있기, 같이 놀기, 이야기하기의 단짝친구 기술을 교수한 뒤, 자유선택활동에서 소집단으로 역할놀이를 하는 단짝친구 놀이를 통해 단짝친구 기술을 훈련하였다. 연구자는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구어적 촉진과 정적강화를 제공하다가 연구가 진행되면서 점차 소거하였다. 연구 참여 장애 유아를 포함한 소집단의 단짝친구들은 일주일 단위로 구성원이 바뀌며 학급의 모든 유아가 장애 유아와 함께 단짝친구 놀이에 참여하였으며 소집단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단짝친구 기술 교수에 대한 피드백은 전체 학급 차원으로 비디오를 보여주며 진행되었다. 세 명의 장애 유아가 소속된 세 개의 통합학급에서 각각 분산되어 중재가 실시되었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후 참여 유아 1, 2, 3이 각각 4, 6, 7주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의 효과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장애 유아 모두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에 참여한 이후 또래와의 상호작용 발생률이 기초선 기간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장애 유아와 또래의 상호작용 발생률의 증가는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 중재가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 유아와 또래의 상호작용을 발생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 교사의 촉진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증진된 또래 상호작용 발생률이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므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class-wide buddy skills on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thre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in inclusive kindergart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four-year and one five-year kindergart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classmates.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to determine if a class-wide buddy skills in which all students were trained to interact would increase non-adult-directed interaction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occurrence of interactions in the free play time. Following baselin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class-wide training on the strategies of stay, play and talk with their friends in a circle time. Then children were trained in small group by playing and talking in free play time to adapt buddy skill which they learne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buddy skill training, buddy play, feedback, and reinforcement was then used to support children's interactions.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4, 6 and 7 weeks later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rate of interaction increased in all thre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through the class-wide buddy skills intervention. Second, the rate of interac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ass-wide buddy skills are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provides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and extending the class- wide buddy skills intervention in inclusive kindergarten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