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박향기-
dc.creator박향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9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actical dimension an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analysis of 5-year-ol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tudy analyzed the dimension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ith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mens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asom class?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asom class? 3. What are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asom cla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Dasom class of Raon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eoul. Twenty-eight 5-year-old children and one teacher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th, 2013 to October 7th, 2013, using 21 participating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photography, audio recording, documentation. The contents of collected data are the brief field note and the transcript of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len(2007)'s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asom class showed a multifaced dimension. Teacher Park and children developed guidanced relationship as a teacher and student, and teacher also established caring relationship which works as a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and child are life 'partners' for consolidating supportive relationship, and also they are 'good companions' which bears familiar relationship. Moreover, teacher builds up authoritative relationship as a head and member, and shows conflictive relationship which represents alienation. Some of the children who are in Dasom class depends on the teacher, and they experience dependent relationship as an adult and child. Hea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was spotted as a consultor and client. Esth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was formed by experiencing beauty of humanity and meeting each other as a man to ma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in the Dasom class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Teacher and child established various kinds of relationships complexly, and the relationship changed by the context. Also, teacher develope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simultaneously.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in the classroom as a public place and it lasts continuously aft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ended. Third,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asom class can be divided into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eacher Park's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reflective thinking as a teacher or man, strong belief in life and education, high teaching efficacy, learning effort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changes into positive and harmonious character, high happiness level, and a close and stable relationship, strengthen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lso, children'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 relationship with parents, developmental level, and problem behavior were classified as factors which determin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Kindergarten routine based on the children's life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reative and open teaching materials, and autonomous, participative, and caring atmosphere of the classroom contribute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However, a heavy administrative work and a very high teacher-child ratio were the factors which deteriorat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becomes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 the principal educational factors such as teacher and student. Also,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 has educational worth for it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 Not all interaction connects to the relationship even though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made by teacher-child interaction. Relationship lasts in spite of the absence of interaction, so teacher need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cognition abou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refore, based on the in-depth understanding and authenticity about teacher-child relationship, teacher needs to accomplish desirable teacher-child relationship.;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학급의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교실에서 구현되는 교사-유아 관계의 실제적 양상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유아 관계의 양상과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 및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양상은 어떠한가? 2.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은 무엇인가? 3.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라온유치원 만 5세 다솜반에서 수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유아 28명과 교사 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2013년 9월 2일부터 10월 7일까지 이루어졌고, 총 21회의 참여관찰, 형식적 면담 및 비형식적 면담, 사진 촬영,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의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는 현장 약기, 형식적 및 비형식적 면담 전사본 등이 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솜반의 교사와 유아의 관계는 다면적인 양상을 보였다. 박교사와 유아는 ‘스승과 제자’로서 지도적 관계를 발전시켰고, 교사는 유아와 ‘부모와 자녀’로 만나는 보호적 관계를 수립했다. 교사와 유아는 삶의 ‘동반자’로서 지지적 관계를 강화했으며, ‘좋은 친구’와 같은 친교적 관계를 형성했다. 또한 교사와 유아는 ‘단장과 단원’처럼 권위적 관계를 맺기도 했으며, ‘소원한 사이’인 갈등적 관계의 모습도 보였다. 다솜반의 몇몇 유아들은 교사에게 의지하며 ‘어른과 아기’처럼 의존적 관계를 경험하기도 했다. 다솜반의 교사와 유아는 ‘상담자와 내담자’로서의 치유적 관계와 ‘인간 대 인간’으로 만나며 인간적인 아름다움을 느끼는 심미적 관계를 구현하기도 했다. 둘째, 다솜반의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서는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박교사와 유아는 여러 관계의 모습들을 복합적으로 맺었고, 교사와 유아의 관계는 맥락에 따라 변화했으며, 교사는 여러 유아들과 동시에 관계를 구축했다. 교사와 유아의 관계는 공적 공간인 교실에서 공개적으로 수립됐으며, 상호작용의 종결 후에도 지속되는 연속성을 보였다. 셋째, 다솜반의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개인적 특성, 유아의 개인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됐다. 박교사의 교사 및 인간으로서의 반성적 사고와 삶과 교육에 대한 굳은 신념, 높은 교수 효능감, 인간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학업적 노력, 긍정적이고 원만한 성격으로의 변화, 양질의 행복감, 밀도 높고 안정적인 인간관계는 유아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했다. 한편, 유아의 기질과 성격, 부모와의 관계, 발달수준, 문제행동은 교사와의 관계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유아의 생활에 기초하고 발달에 적합한 일과의 계획 및 운영,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교수자료, 자율적이고 참여적이며 배려적인 교실분위기는 교사-유아 관계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다. 그러나 과중한 행정업무와 교사 대 유아의 높은 비율은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관계는 교사와 유아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심리와 행동에 의해 구현되므로, 교육의 주체인 교사 및 유아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가 되고, 긍정적인 교사-유아 관계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교사-유아 관계는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의해 수립되지만, 모든 상호작용이 관계로 발전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작용이 부재해도 관계는 지속되므로,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와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진정성을 바탕으로, 유아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사-유아 관계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자 6 Ⅱ. 이론적 배경 11 A. 인간관계와 교육 11 1. 인간관계의 이해 11 2. 인간관계의 교육적 의미 16 B. 교사-유아 관계 17 1. 교사-유아 관계의 개념 및 의의 17 2.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3. 바람직한 교사-유아 관계 25 III. 연구방법 30 A. 문화기술적 연구방법 30 B. 연구대상 31 1. 라온유치원 31 2. 다솜반 32 3. 교사 37 4. 유아 39 C. 연구절차 41 1. 연구과정 41 2. 자료 수집 42 3. 자료 분석 44 Ⅳ. 연구결과 45 A.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양상 45 1. 지도적 관계: 스승과 제자 46 2. 보호적 관계: 부모와 자녀 51 3. 지지적 관계: 동반자 54 4. 친교적 관계: 좋은 친구 60 5. 권위적 관계: 단장과 단원 63 6. 갈등적 관계: 소원한 사이 68 7. 의존적 관계: 어른과 아기 72 8. 치유적 관계: 상담자와 내담자 76 9. 심미적 관계: 인간 대 인간 81 B.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 89 1. 복합성 89 2. 맥락성 93 3. 동시성 95 4. 공개성 97 5. 연속성 100 C.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5 1. 교사의 개인적 특성 105 2. 유아의 개인적 특성 117 3. 환경적 특성 124 Ⅴ. 논의 및 결론 136 A. 논의 136 1.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양상 136 2.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 140 3.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3 B. 결론 및 제언 149 참고문헌 154 ABSTRACT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3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라온유치원 만 5세 다솜반의 교사-유아 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about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5-Year-Old Dasom class at Raon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Park, Hyang Ki-
dc.format.pagevi, 1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