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4 Download: 0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

Title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
Other Titles
Children's achievement by teachers' percep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4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maine regarding children's achievement by teachers' percep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4.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4? 1-1. What is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1-2. How do preschool teachers implement Nuri curriculum?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ion of Nuri curriculum?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implemention of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reschool teachers and 796 children in 13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In order to seek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of the teachers, I revised some parts of Son’s (2012) the survey of perception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in order to fit 3 to 4 years old children, which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Bu, 1998; Huh, 2010; Lee, 2006; Park, 2008; Park 2012; Seo, 2004) and referred from the studies (Bu, 1998; Lim, 2010; Park, 2008) that addressed the difficulties of preschool teachers in implementing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 support.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he teachers’ implementation in curriculum, I modified some parts of Son’s(2013) the survey of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teachers' for age 3 to 4, which Bu(1998) used for the 5th Kindergarten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of Moore and his colleagues(1994) created in the Ontario Scaraborough Board of Education Center. Furthermore, in order to seek children’s achievement, I used Lee et al.’s(2013) ‘3-year-old child observation scale for Nuri curriculum’ and ‘4-year-old child observation scale for Nurinurriculum’ for age 3 and 4 respectively. This scale is an assessment tool for age 3 to 5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for Nuri curriculum, which was announc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d the Ministry Health and Welfare. For analysis of data,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4,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curriculum contents and conducted them. Also, the degree of implementing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at of perception it. In addition, among the results of teachers’ perception, teachers showed more interest in and focused more on the appropriateness in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an implementation and support for it. They did not fee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general, but they were likely to require more support for it in educational field. The lack of human resources was the highest among the results of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 instructional tools was the highest among requirements for support in implementation. Lastly, among the sub categories of teachers’ implementation, the level of implication method the highest and resource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ents, goals, and assessment were in order. Second, as the results of children’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s of teachers’ perception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4, when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case of 3-year-old children, they showed high achievement in all five subjects and in the case of 4-year-old children, they presented high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and social areas. When it comes to children’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lementing of teachers’ curriculum, when their implementation level in curriculum was high, 3-year-old child showed high performance in science and 4-year-old children presented high achievement in arts and science.;본 연구의 목적은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은 어떠한가? 1-1.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행수준은 어떠한가? 2.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1. 교사의 인식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13곳의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만 3·4세 학급 담임교사 40명과 각 학급 유아 7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선행연구(박승렬, 2008; 박창현, 2012; 부성숙, 1998; 서동숙, 2004; 이경진, 2006; 허유진, 2010)와 교육과정 운영 시 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에 대한 논문(박승렬, 2008; 부성숙, 1998; 임선미, 2010)을 참고로 하여 손수연(2012)이 5세 누리과정에 대한 내용으로 수정하여 구성한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측정 설문지’를 일부 수정하여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측정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교사의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Ontario의 Scaraborough Board of Education 연구센터에서 Moore와 그의 동료들(1994)에 의해 만들어진 설문지를, 부성숙(1998)이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맞게 사용하였고, 이를 손수연(2013)이 ‘5세 누리과정’의 내용으로 수정한 설문지를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수준 측정설문지’로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를 알아보기 위해서 3세는 ‘3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를, 4세는 ‘4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이기숙, 황해익, 박경자, 이경미, 2013)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에서 개정 고시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들의 교육적 성취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행수준을 살펴본 결과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이 모두 높은 편이었으며,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보다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수준이 더 높았다. 그리고 교사의 인식 중에서는 관심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실행 및 지원에 대한 인식보다 높았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 크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는 않았으나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는 높은 편이었다. 실행의 어려움 중에서는 자원인사 부족에 대한 어려움이 높았고,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중에는 교재·교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교사 실행수준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방법에 대한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고, 자료, 이론적 근거 및 성격, 내용, 목표,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정도 및 실행수준에 따라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를 살펴 본 결과, 교사의 누리과정 인식정도가 높을 경우 3세 유아는 5개 전 영역에서, 4세 유아는 의사소통 영역, 사회관계 영역의 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성취에서는 교사의 실행수준이 높을 경우 3세 유아는 자연탐구 영역에서, 4세 유아는 예술경험 영역, 자연탐구 영역에서의 성취가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